[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동작구 복합행정타운 내 보건소ㆍ구민회관 부지에 노인주택 조성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달 22일 제17차 도시ㆍ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상도지구 지구단위계획(변경) 및 특별계획구역 지정(안)`에 대해 조건부로 수정 가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대상지는 동작구 상도동 176-1 일원 1만4025.5㎡ 규모로, 지하철 7호선과 서부선(예정)의 환승역세권에 위치한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동작구 복합행정타운 내 보건소와 구민회관이 이전함에 따라 도시계획시설 중 공공청사 일부를 폐지하고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는 사항이다. 보건소는 올해 1월 이전을 마쳤고 구민회관은 2029년 11월 이전 예정이다. 해당 유휴 공공부지에는 초고령화 사회를 맞아 노인주거 복지 안정을 위해 노인주택 공급을 추진한다.
다만, 시는 공공청사를 폐지하는 안은 유보하기로 했다. 공공부지를 활용하는 사업인 만큼 사업성과 공공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향후 사업 실행 시점에서 민간 사업자 선정, 사업실현성 등에 대한 결과를 보고 받아 결정ㆍ고시할 계획이다.
동작구 관계자는 "민ㆍ관 협력형 개발 구조를 통해 사업의 공공성 확보와 안정적 추진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초기 기획부터 운영단계까지 일관된 관리체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개발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동작구 복합행정타운 내 보건소ㆍ구민회관 부지에 노인주택 조성이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달 22일 제17차 도시ㆍ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상도지구 지구단위계획(변경) 및 특별계획구역 지정(안)`에 대해 조건부로 수정 가결했다고 최근 밝혔다.
대상지는 동작구 상도동 176-1 일원 1만4025.5㎡ 규모로, 지하철 7호선과 서부선(예정)의 환승역세권에 위치한다.
이번 지구단위계획 변경은 동작구 복합행정타운 내 보건소와 구민회관이 이전함에 따라 도시계획시설 중 공공청사 일부를 폐지하고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하는 사항이다. 보건소는 올해 1월 이전을 마쳤고 구민회관은 2029년 11월 이전 예정이다. 해당 유휴 공공부지에는 초고령화 사회를 맞아 노인주거 복지 안정을 위해 노인주택 공급을 추진한다.
다만, 시는 공공청사를 폐지하는 안은 유보하기로 했다. 공공부지를 활용하는 사업인 만큼 사업성과 공공성에 대한 보다 면밀한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향후 사업 실행 시점에서 민간 사업자 선정, 사업실현성 등에 대한 결과를 보고 받아 결정ㆍ고시할 계획이다.
동작구 관계자는 "민ㆍ관 협력형 개발 구조를 통해 사업의 공공성 확보와 안정적 추진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초기 기획부터 운영단계까지 일관된 관리체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개발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