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현대건설은 최근 경기 용인시 죽전에 `용인죽전퍼시픽써니데이터센터`를 준공했다고 이달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하고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와 신한금융투자가 공동 투자한 총 1조3000억 원 규모의 사업이다. 연면적 9만9125㎡(약 3만 평) 부지에 데이터센터 2개동과 부속시설이 조성됐다.
센터는 IT 로드(데이터센터 안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IT 본연의 기능에 쓰이는 전력) 64MW와 수전 용량 100MW의 전력 인프라를 갖췄다. 이는 약 16만~2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클라우드ㆍ인터넷ㆍ정보통신 등 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는 산업환경에 대응하고자 10kW 이상 고밀도 운용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됐다.
아울러 특정 통신사업자에도 종속되지 않는 망중립 구조로 구축돼 다양한 글로벌 사업자의 트래픽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개방형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대건설은 2022년 2월 착공 이후 약 43개월 만에 공사를 마쳤다. 특히 협소한 도심형 부지 여건을 고려해 지하 굴착과 지상 골조를 병행하는 STD(Strut-Top-Down) 공법을 적용하고, 프리컨스트럭션 사전기획 서비스, BIM 기반 간섭 최소화 설계, 패스트트랙 공정 운영 등을 통해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공사 기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했다.
또 첨단 설비 제어 기술과 에너지 절감형 운영 시스템을 통해 센터의 에너지 효율과 운영 안정성을 높였고, 고효율 냉방시스템과 프리쿨링 기술,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지표를 달성했다. 데이터센터 핵심 구간에는 비상발전기ㆍ무정전전원장치(UPS)ㆍ냉동기 등이 이중화ㆍ삼중화돼 한쪽 라인이 멈춰도 다른 라인이 즉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운영 체계를 갖췄다.
향후 센터는 판교권역과 인접한 입지적 이점을 바탕으로 수도권 남부권을 아우르는 디지털 허브 축의 중심 거점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용인 죽전 데이터센터 준공은 디지털산업의 고도화 속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 역량을 입증한 사례"라며 "수도권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AIㆍ클라우드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모델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현대건설은 최근 경기 용인시 죽전에 `용인죽전퍼시픽써니데이터센터`를 준공했다고 이달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퍼시픽자산운용이 발주하고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IB)와 신한금융투자가 공동 투자한 총 1조3000억 원 규모의 사업이다. 연면적 9만9125㎡(약 3만 평) 부지에 데이터센터 2개동과 부속시설이 조성됐다.
센터는 IT 로드(데이터센터 안에서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 IT 본연의 기능에 쓰이는 전력) 64MW와 수전 용량 100MW의 전력 인프라를 갖췄다. 이는 약 16만~20만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한다. 클라우드ㆍ인터넷ㆍ정보통신 등 고성능 컴퓨팅 수요가 급증하는 산업환경에 대응하고자 10kW 이상 고밀도 운용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됐다.
아울러 특정 통신사업자에도 종속되지 않는 망중립 구조로 구축돼 다양한 글로벌 사업자의 트래픽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개방형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했다.
현대건설은 2022년 2월 착공 이후 약 43개월 만에 공사를 마쳤다. 특히 협소한 도심형 부지 여건을 고려해 지하 굴착과 지상 골조를 병행하는 STD(Strut-Top-Down) 공법을 적용하고, 프리컨스트럭션 사전기획 서비스, BIM 기반 간섭 최소화 설계, 패스트트랙 공정 운영 등을 통해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면서도 공사 기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했다.
또 첨단 설비 제어 기술과 에너지 절감형 운영 시스템을 통해 센터의 에너지 효율과 운영 안정성을 높였고, 고효율 냉방시스템과 프리쿨링 기술,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업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효율지표를 달성했다. 데이터센터 핵심 구간에는 비상발전기ㆍ무정전전원장치(UPS)ㆍ냉동기 등이 이중화ㆍ삼중화돼 한쪽 라인이 멈춰도 다른 라인이 즉시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운영 체계를 갖췄다.
향후 센터는 판교권역과 인접한 입지적 이점을 바탕으로 수도권 남부권을 아우르는 디지털 허브 축의 중심 거점으로 기능할 전망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용인 죽전 데이터센터 준공은 디지털산업의 고도화 속에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인프라 구축 역량을 입증한 사례"라며 "수도권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디지털 인프라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AIㆍ클라우드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친환경 데이터센터 모델을 지속 개발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