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경제 > 부동산
기사원문 바로가기
[아유경제_부동산] 부산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해제 추진
repoter : 조명의 기자 ( cho.me@daum.net ) 등록일 : 2025-10-28 11:37:39 · 공유일 : 2025-10-28 13:00:38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부산광역시 남구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해제로 일대의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질 전망이다.

최근 부산시는 이달 23일 열린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CUNMCKㆍ이하 국제관리위원회) 제52차 정기총회에서 `유엔기념공원 주변 경관지구 관리방안`에 대한 조건부 동의를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부산시, 유엔기념공원(UNMCK) 관리처 관계자, 국제관리위원회 소속 11개국 대사 등 대표들이 참석했다.

일부 위원은 규제 완화 이후 개발로 인해 유엔기념공원의 경건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으나, 시는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건축물의 높이ㆍ규모ㆍ용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며 설득했다.

시는 경관지구 해제 이후에도 지형 여건에 따라 두 개 구역으로 나눠 건축물 높이를 제한하고, 경관 변화에 따른 경건성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 용도와 외관을 제한하기로 했다. 또 상세 계획 수립 단계에서 국제관리위원회와 지속 합의해 진행할 것을 조건으로 동의를 얻었다.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 공식 묘지다. 한국전쟁 당시 전사한 유엔군 장병이 안장된 세계적 성지다. 현재 14개국(국제관리위원회 회원국 11개국ㆍ비회원국 3개국) 2333명의 전사자가 안장돼 있으며, 세계 평화와 인류의 희생을 기억하는 공간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1951년부터 조성된 이 묘지는 한국이 유엔에 영구 기증했으며, 유엔총회 결의에 따라 각국 주한대사로 구성된 국제관리위원회가 관리하고 있다.

1959년 체결된 한국과 유엔 간 협약에 따라 농업ㆍ주거 등 묘지의 존엄성을 훼손하지 않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1971년 지정된 경관지구는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번 합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는 유엔기념공원의 존엄성과 상징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시 기능 회복과 주거환경 개선을 병행하는 합리적인 도시관리계획 조정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경관지구 완화와 함께 도시재생 차원의 유엔기념공원 주변 지역 관리방안을 포함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시민 삶의 품격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남구청은 2026년 상반기 도시관리계획 입안을 위한 용역에 착수하고, 이어 하반기부터는 시에서 도시관리계획 결정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성과가 2026년 세계유산위원회 제50차 총회 부산 개최를 앞두고 유엔기념공원 일대 정비와 주변 도시환경 개선에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합의는 그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중요한 계기다"라며 "국제관리위원회와의 합의를 성실히 이행하고,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통해 세계유산의 가치와 주거환경 개선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료유료
스크랩하기 공유받기O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