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오세훈 시장이 이달 28일 서울 구로구 가리봉2구역 재개발 현장을 찾아 `10ㆍ15 부동산 대책`에 따른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오 시장은 이날 오후 최근 추진위구성승인을 받고 조합 설립을 준비 중인 구로구 가리봉동 87-177 일대(가리봉2구역)를 방문했다.
오 시장이 가리봉2구역을 찾은 이유는 정부의 10ㆍ15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른 것이다. 과열지구 및 조정 대상으로 지정되면 조합원 지위 양도와 도시정비사업 분양 재당첨 제한(5년 이내),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 위축, 조합원 동의율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오 시장은 "앞으로 예상되는 우려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서울에서 추진되는 도시정비사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민간과 협력하고 해법을 모색해 주택 공급 정상화, 시민 주거 안정을 동시에 달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로공단 배후지이자 남구로역세권인 가리봉 2구역은 2014년 뉴타운에서 해제되고 도시재생지역에 지정된 이후 지역 발전에 큰 변화 없이 방치돼 왔다. 그러다가 시가 노후 주거환경 개선과 가산ㆍ대림 광역 중심에 걸맞은 복합 주거 단지 조성을 위해 2023년 6월 재개발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했다.
당시 시는 신속통합기획 외에도 시가 지난해 9월 발표한 `2030 기본계획수립` 등을 반영해 ▲일부 지역 `준주거지역` 상향 ▲기준용적률(20%) 완화 ▲사업성 보정계수(9.6%) 적용 등으로 사업 여건을 대폭 개선했다.
여기에 인ㆍ허가 규제 혁신을 통해 도시정비사업 기간을 기존 18.5년에서 12년으로 단축하는 `신속통합기획 2.0`을 적용해 향후 사업 추진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현재 심각한 주택 공급 절벽에 직면해 있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지난 10여 년간(2012~2020년) 정비구역 총 389곳이 해제되고 2015년 이후 뉴타운 지구를 제외한 재개발 신규 지정이 단 한 건도 없었던 결과다.
이에 시는 `주택 공급 정상화`를 목표로 과감한 제도 혁신과 현장 중심의 소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이달 16일 오 시장은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서정연)를 만나 정책간담회를 갖고 10ㆍ15 부동산 대책에 따른 현장의 어려움과 개선안을 직접 청취하기도 했다.
오 시장은 "지난 20여 년간 가리봉 주민이 느꼈던 좌절이 반복되지 않도록 현장 목소리를 더 가까이 듣고 정부에 전할 것은 전하고 개선할 것은 분명히 고치겠다"며 "가리봉2구역 재개발사업을 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힘 있게 추진해 나가는 한편 신속통합기획 2.0으로 공급을 빠르게 밀어 올려 주택시장 안정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오세훈 시장이 이달 28일 서울 구로구 가리봉2구역 재개발 현장을 찾아 `10ㆍ15 부동산 대책`에 따른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오 시장은 이날 오후 최근 추진위구성승인을 받고 조합 설립을 준비 중인 구로구 가리봉동 87-177 일대(가리봉2구역)를 방문했다.
오 시장이 가리봉2구역을 찾은 이유는 정부의 10ㆍ15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예상됨에 따른 것이다. 과열지구 및 조정 대상으로 지정되면 조합원 지위 양도와 도시정비사업 분양 재당첨 제한(5년 이내),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거래 위축, 조합원 동의율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오 시장은 "앞으로 예상되는 우려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서울에서 추진되는 도시정비사업이 흔들림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민간과 협력하고 해법을 모색해 주택 공급 정상화, 시민 주거 안정을 동시에 달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로공단 배후지이자 남구로역세권인 가리봉 2구역은 2014년 뉴타운에서 해제되고 도시재생지역에 지정된 이후 지역 발전에 큰 변화 없이 방치돼 왔다. 그러다가 시가 노후 주거환경 개선과 가산ㆍ대림 광역 중심에 걸맞은 복합 주거 단지 조성을 위해 2023년 6월 재개발 신속통합기획안을 확정했다.
당시 시는 신속통합기획 외에도 시가 지난해 9월 발표한 `2030 기본계획수립` 등을 반영해 ▲일부 지역 `준주거지역` 상향 ▲기준용적률(20%) 완화 ▲사업성 보정계수(9.6%) 적용 등으로 사업 여건을 대폭 개선했다.
여기에 인ㆍ허가 규제 혁신을 통해 도시정비사업 기간을 기존 18.5년에서 12년으로 단축하는 `신속통합기획 2.0`을 적용해 향후 사업 추진에 한층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현재 심각한 주택 공급 절벽에 직면해 있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지난 10여 년간(2012~2020년) 정비구역 총 389곳이 해제되고 2015년 이후 뉴타운 지구를 제외한 재개발 신규 지정이 단 한 건도 없었던 결과다.
이에 시는 `주택 공급 정상화`를 목표로 과감한 제도 혁신과 현장 중심의 소통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앞서 이달 16일 오 시장은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서정연)를 만나 정책간담회를 갖고 10ㆍ15 부동산 대책에 따른 현장의 어려움과 개선안을 직접 청취하기도 했다.
오 시장은 "지난 20여 년간 가리봉 주민이 느꼈던 좌절이 반복되지 않도록 현장 목소리를 더 가까이 듣고 정부에 전할 것은 전하고 개선할 것은 분명히 고치겠다"며 "가리봉2구역 재개발사업을 본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힘 있게 추진해 나가는 한편 신속통합기획 2.0으로 공급을 빠르게 밀어 올려 주택시장 안정을 이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