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노후 공공청사 복합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LH는 `9ㆍ7 부동산 대책`의 후속 조치로, 수도권 도심의 노후 공공청사 부지를 활용해 복합 거점형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앞서 정부는 `9ㆍ7 부동산 대책`을 통해 노후 공공청사ㆍ국유지 등을 재정비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2만8000가구(기획재정부 국유재산심의위원회 2만 가구 포함) 착공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복합 개발 모델은 주거시설과 행정ㆍ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지역 개방형 생활공간이자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조성된다.
LH는 복합개발사업 속도 제고를 위해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TF`를 신설한다. 전담 TF는 복합 개발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 ▲국토교통부ㆍLHㆍ지자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복합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관련 제도ㆍ법령 개선 지원 등을 전담할 예정이다.
LH는 노후청사 복합개발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총 28개 지구 4956가구를 준공했다. 지난해 9월 서울 강동구에 기존 노후 주민센터 부지를 활용해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를 지었다. 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로, 지상 1층~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배치됐으며, 7층부터 14층에는 공공임대주택(94가구)이 들어섰다.
LH 관계자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 공급 확대, 노후 공공자산 활용,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이라며 "전담 조직도 신설한 만큼, 노후 공공청사 개발사업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 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해 노후 공공청사 복합 개발을 본격 추진한다고 최근 밝혔다.
LH는 `9ㆍ7 부동산 대책`의 후속 조치로, 수도권 도심의 노후 공공청사 부지를 활용해 복합 거점형 모델 개발을 추진한다. 앞서 정부는 `9ㆍ7 부동산 대책`을 통해 노후 공공청사ㆍ국유지 등을 재정비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2만8000가구(기획재정부 국유재산심의위원회 2만 가구 포함) 착공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복합 개발 모델은 주거시설과 행정ㆍ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지역 개방형 생활공간이자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조성된다.
LH는 복합개발사업 속도 제고를 위해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TF`를 신설한다. 전담 TF는 복합 개발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며 ▲국토교통부ㆍLHㆍ지자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복합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관련 제도ㆍ법령 개선 지원 등을 전담할 예정이다.
LH는 노후청사 복합개발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총 28개 지구 4956가구를 준공했다. 지난해 9월 서울 강동구에 기존 노후 주민센터 부지를 활용해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를 지었다. 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로, 지상 1층~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배치됐으며, 7층부터 14층에는 공공임대주택(94가구)이 들어섰다.
LH 관계자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 공급 확대, 노후 공공자산 활용,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이라며 "전담 조직도 신설한 만큼, 노후 공공청사 개발사업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 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