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박진아 기자] 이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서울과 수도권은 높았지만 지방은 낮아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남 재건축 바람을 타고 서울 지역 아파트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지난 29일 KB국민은행은 부동산 정보사이트를 통해 2016년 6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을 조사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13% 상승하며 전국 평균(0.37%) 상승률의 3배정도를 웃돌았다. 수도권 역시 0.79% 상승하며 전국 평균(0.37%) 대비 2배 높았다.
이에 반해 지방 5개 광역시는 0.07% 상승에 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반기를 보면 3월(-0.02%),4월(-0.01%), 5월(-0.04%), 6월(-0.01%) 4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조사돼 서울·수도권과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은 역시 재건축 단지가 눈에 띄었다. 강남구(1.38%), 서초구(1.69%), 송파구(1.32%)의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강남지역의 상승세를 주도한 것.
강북지역은 마포구(1.90%), 서대문구(1.50%) 동대문구(1.30%) 에서 상승률이 높았다.
경기지역은 과천(2.18%), 의왕(1.53%), 양주(1.43%)에서 경기지역 평균(0.55%)을 크게 웃도는 상승률로 조사됐다.
특히 금리인하 발표 소식과 함께 투자수요 문의가 증가하고 있어 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강세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 지역별 차별화로 나타났다. 부산(1.19%), 울산(0.94%), 광주(0.01%는 상승세, 대구(-1.70%), 대전(-0.03%)은 하락세로 나타났다.
한편, 6월 `KB부동산 전망지수`는 전국 기준으로 지난달(94.9)보다 5.5포인트 상승한 100.4를 기록했다.
이 전망지수가 100이상으로 상승한 것은 2015년 10월(114.7)이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KB부동산 전망지수`는 KB국민은행 시세조사 공인중개사의 3개월 이후 아파트 가격 변화 예상치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아파트시장 현장 경기를 체감하는 지표이다.
이 전망지수는 0~ 200범위 이내로 기준지수 100을 초과할수록 상승세를 전망하는 공인중개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수 역시 서울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지난달 (107.0)대비 10.9포인트 상승한 117.9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도 지난달 (102.4)대비7.9포인트 상승한 110.3으로 조사되었다.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 지난달(85.0)에서 이달 89.8로 소폭 상승에 그치며 100이하로 나타났다.
광역지역 중 대구(67.0)와 경북(62.0) 지역은 100에 크게 미달하며 하락 전망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여름철 비수기로 접어들었으나 재건축 사업추진이 활발해 지고 기준금리 인하에 힘입어 재건축 진행 단지는 물론 예정 단지에 대한 기대 및 투자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세계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과 정부의 분양시장 과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택시장에 관망세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아유경제=박진아 기자] 이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이 서울과 수도권은 높았지만 지방은 낮아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남 재건축 바람을 타고 서울 지역 아파트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는 것에서 기인한다는 분석이다.
지난 29일 KB국민은행은 부동산 정보사이트를 통해 2016년 6월 전국 주택 매매 및 전세시장 동향을 조사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13% 상승하며 전국 평균(0.37%) 상승률의 3배정도를 웃돌았다. 수도권 역시 0.79% 상승하며 전국 평균(0.37%) 대비 2배 높았다.
이에 반해 지방 5개 광역시는 0.07% 상승에 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상반기를 보면 3월(-0.02%),4월(-0.01%), 5월(-0.04%), 6월(-0.01%) 4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조사돼 서울·수도권과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서울은 역시 재건축 단지가 눈에 띄었다. 강남구(1.38%), 서초구(1.69%), 송파구(1.32%)의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강남지역의 상승세를 주도한 것.
강북지역은 마포구(1.90%), 서대문구(1.50%) 동대문구(1.30%) 에서 상승률이 높았다.
경기지역은 과천(2.18%), 의왕(1.53%), 양주(1.43%)에서 경기지역 평균(0.55%)을 크게 웃도는 상승률로 조사됐다.
특히 금리인하 발표 소식과 함께 투자수요 문의가 증가하고 있어 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매매가격이 강세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 지역별 차별화로 나타났다. 부산(1.19%), 울산(0.94%), 광주(0.01%는 상승세, 대구(-1.70%), 대전(-0.03%)은 하락세로 나타났다.
한편, 6월 `KB부동산 전망지수`는 전국 기준으로 지난달(94.9)보다 5.5포인트 상승한 100.4를 기록했다.
이 전망지수가 100이상으로 상승한 것은 2015년 10월(114.7)이후 8개월 만에 처음이다.
`KB부동산 전망지수`는 KB국민은행 시세조사 공인중개사의 3개월 이후 아파트 가격 변화 예상치를 토대로 작성한 것으로 아파트시장 현장 경기를 체감하는 지표이다.
이 전망지수는 0~ 200범위 이내로 기준지수 100을 초과할수록 상승세를 전망하는 공인중개사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수 역시 서울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의 경우 지난달 (107.0)대비 10.9포인트 상승한 117.9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도 지난달 (102.4)대비7.9포인트 상승한 110.3으로 조사되었다. 지방 5개 광역시의 경우 지난달(85.0)에서 이달 89.8로 소폭 상승에 그치며 100이하로 나타났다.
광역지역 중 대구(67.0)와 경북(62.0) 지역은 100에 크게 미달하며 하락 전망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여름철 비수기로 접어들었으나 재건축 사업추진이 활발해 지고 기준금리 인하에 힘입어 재건축 진행 단지는 물론 예정 단지에 대한 기대 및 투자심리가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세계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과 정부의 분양시장 과열에 대한 우려 등으로 주택시장에 관망세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