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신용 위험 전망치가 급증함에 따라 국내 은행들의 대출 태도도 함께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4일 한국은행은 `금융기관 대출 행태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금융업계가 예측한 2017년 1분기 가계와 기업의 종합 신용 위험 지수 전망치가 약 40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4분기 22(실적치)에서 18포인트 오른 수치다.
올해 1분기 대기업(30)과 중소기업(43), 가계(37)의 신용 위험 지수는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기업ㆍ중소기업의 신용 위험의 원인은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수익성 부진 및 자금 사정 악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 증가, 보호무역주의 대두에 따른 수출 부진 및 채산성 악화 등이다. 가계의 경우 부채 누증에 따른 취약 계층의 재무건전성 악화, 소득 개선 제약 및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능력 악화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이처럼 신용 위험이 증가하자 은행들의 대출 문턱도 높아질 전망이다. 국내 은행은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경우 대내외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증대, 기업의 영업 실적 안화와 우려 등을 고려해 여신건전성 관리차원에서 대출 태도를 강화할 것으로 봤다.
실제로 국내 은행의 대출 태도 지수는 2015년 4분기부터 마이너스에 머물고 있다. 대출 태도 지수가 낮아질수록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국내 은행은 대기업의 대출 수요가 증가하나, 설비 투자 유인 저조 등으로 그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며, 중소기업의 대출 수요는 운전자금 수요 지속,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유동성 확보 필요성 등으로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란 엇갈리는 전망을 내놨다.
가계의 대출 수요는 일반 대출의 경우 생활 자금을 중심을 다소 증가하나,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 대책 등의 영향으로 늘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비은행기관 또한 기업실적 부진 및 가계소득 개선 제약 등을 고려해 여신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깐깐한 대출 태도로 일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금융업계의 진단이다. 이와 더불어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기업실적 부진 및 가계소득 개선 제약, 담보가치 하락 가능성,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상환 부담 증가 등으로 비은행기관 신용 위험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1분기 신용 위험 전망치가 급증함에 따라 국내 은행들의 대출 태도도 함께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4일 한국은행은 `금융기관 대출 행태 서베이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금융업계가 예측한 2017년 1분기 가계와 기업의 종합 신용 위험 지수 전망치가 약 40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 4분기 22(실적치)에서 18포인트 오른 수치다.
올해 1분기 대기업(30)과 중소기업(43), 가계(37)의 신용 위험 지수는 모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대기업ㆍ중소기업의 신용 위험의 원인은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수익성 부진 및 자금 사정 악화,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 증가, 보호무역주의 대두에 따른 수출 부진 및 채산성 악화 등이다. 가계의 경우 부채 누증에 따른 취약 계층의 재무건전성 악화, 소득 개선 제약 및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채무상환능력 악화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이처럼 신용 위험이 증가하자 은행들의 대출 문턱도 높아질 전망이다. 국내 은행은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경우 대내외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증대, 기업의 영업 실적 안화와 우려 등을 고려해 여신건전성 관리차원에서 대출 태도를 강화할 것으로 봤다.
실제로 국내 은행의 대출 태도 지수는 2015년 4분기부터 마이너스에 머물고 있다. 대출 태도 지수가 낮아질수록 은행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울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국내 은행은 대기업의 대출 수요가 증가하나, 설비 투자 유인 저조 등으로 그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며, 중소기업의 대출 수요는 운전자금 수요 지속,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유동성 확보 필요성 등으로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란 엇갈리는 전망을 내놨다.
가계의 대출 수요는 일반 대출의 경우 생활 자금을 중심을 다소 증가하나,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 대책 등의 영향으로 늘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비은행기관 또한 기업실적 부진 및 가계소득 개선 제약 등을 고려해 여신건전성 관리 차원에서 깐깐한 대출 태도로 일관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금융업계의 진단이다. 이와 더불어 경기회복 지연에 따른 기업실적 부진 및 가계소득 개선 제약, 담보가치 하락 가능성,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상환 부담 증가 등으로 비은행기관 신용 위험도 함께 높아질 것으로 예측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