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지난 22일 논평에서 바른정당에 대해 본가(本家)를 옥하는 `그른정당`이라고 비난하자 바른정당이 "새누리당은 이미 역사적 임무가 끝났다"며 황당한 흠집내기를 멈추고 현실을 직시하라고 맞받아쳤다.
바른정당 장제원 대변인은 "새누리당의 막말 정치공세가 점점 거칠어지고 있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영입이 사실상 무산되고, 소속 의원들의 추가 이탈이 가시화되자 바른정당에 화살을 돌리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바른정당이 24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앞두고 발 빠르게 전국정당의 면모를 갖추자 다급해진 마음에 말장난을 해가며 막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장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바른정당을 향해 `부끄러움도 모르고, 책임지고 있는 본가를 욕하는 것은 그른정당의 모습` 이라는 막말을 쏟아냈다"면서 "소속 의원들의 이탈이 봇물 터지자 초조함마저 드러내고 있다. 새누리당은 뼈를 깎는 반성과 성찰을 해도 모자랄 판에 알량한 당내 패권을 놓치지 않겠다고 아귀다툼을 벌이고 있다.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표현은 이런 경우에 쓰는 것"이라고 일침했다.
장 대변인은 이와 함께 "바른정당은 새누리당 같은 본가를 둔 적 없다. 잘못만 저질러 놓고 책임은 외면하는 사람들이 무슨 염치로 본가 운운하는지 모를 일"이라며 "자신들의 잘못과 치부를 덮으려는 물귀신작전에 불과"하다고 맹비난 했다.
보수의 궤멸을 막기 위해 패권으로 물든 새누리당을 떠나 허허벌판으로 나선 바른정당을 잔인하게 비난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장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또 `불타고 있는 집에서 나만 살기 위해 뛰쳐나간 것이나 다름없다. 당을 해체하고 새누리당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도 했다"면서 "침몰하는 새누리당에 그대로 남아 보수를 함께 망가뜨려야 했나?"라고 반문하며 "온건하고 개혁적인 대부분의 새누리당 구성원들은 이미 전소직전의 불길을 잡기 어려워진 새누리당을 떠나 깨끗한 보수, 따뜻한 보수의 대열에 하루빨리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권유하기도 했다.
장 대변인은 특히 "새누리당은 자신들이 무책임을 상징하는 정당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제발 하루빨리 깨닫기를 바란다"면서 "국민들은 새누리당의 해체를 원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역사적 임무는 이미 끝났다. 현실을 직시하기 바란다"고 일갈했다.
바른정당 장제원 대변인은 "새누리당의 막말 정치공세가 점점 거칠어지고 있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영입이 사실상 무산되고, 소속 의원들의 추가 이탈이 가시화되자 바른정당에 화살을 돌리며 억지를 부리고 있다"고 반박했다.
바른정당이 24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앞두고 발 빠르게 전국정당의 면모를 갖추자 다급해진 마음에 말장난을 해가며 막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장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바른정당을 향해 `부끄러움도 모르고, 책임지고 있는 본가를 욕하는 것은 그른정당의 모습` 이라는 막말을 쏟아냈다"면서 "소속 의원들의 이탈이 봇물 터지자 초조함마저 드러내고 있다. 새누리당은 뼈를 깎는 반성과 성찰을 해도 모자랄 판에 알량한 당내 패권을 놓치지 않겠다고 아귀다툼을 벌이고 있다.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표현은 이런 경우에 쓰는 것"이라고 일침했다.
장 대변인은 이와 함께 "바른정당은 새누리당 같은 본가를 둔 적 없다. 잘못만 저질러 놓고 책임은 외면하는 사람들이 무슨 염치로 본가 운운하는지 모를 일"이라며 "자신들의 잘못과 치부를 덮으려는 물귀신작전에 불과"하다고 맹비난 했다.
보수의 궤멸을 막기 위해 패권으로 물든 새누리당을 떠나 허허벌판으로 나선 바른정당을 잔인하게 비난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장 대변인은 "새누리당은 또 `불타고 있는 집에서 나만 살기 위해 뛰쳐나간 것이나 다름없다. 당을 해체하고 새누리당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도 했다"면서 "침몰하는 새누리당에 그대로 남아 보수를 함께 망가뜨려야 했나?"라고 반문하며 "온건하고 개혁적인 대부분의 새누리당 구성원들은 이미 전소직전의 불길을 잡기 어려워진 새누리당을 떠나 깨끗한 보수, 따뜻한 보수의 대열에 하루빨리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권유하기도 했다.
장 대변인은 특히 "새누리당은 자신들이 무책임을 상징하는 정당이라는 엄연한 사실을 제발 하루빨리 깨닫기를 바란다"면서 "국민들은 새누리당의 해체를 원하고 있다. 새누리당의 역사적 임무는 이미 끝났다. 현실을 직시하기 바란다"고 일갈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