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경제 > 부동산
기사원문 바로가기
전문직 시대, 점점 멀어지나
repoter : 김현석기자 ( koreaareyou@naver.com ) 등록일 : 2013-08-27 19:40:57 · 공유일 : 2014-06-10 10:32:33


[아유경제=김현석기자]변호사, 의사, 한의사, 공인회계사 등 전문자격증을 가진 이른바 '사(士 또는 師)자 직업'들의 전성시대가 저물어 가고 있다. 그동안 자격증을 따기만 해도 부와 명예를 보장해 줘 '계층 이동의사다리' 역할을 해 왔지만, 요즘은 살아남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다.

이들 전문직들의 공통점은 내부 경쟁이 치열해져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는 것이다. 의사의 경우 대한의사협회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인구 10만명당 164명이던 의사수가 2012년에는 28% 증가한 210명으로 나타났다. 의사 1인당 인구수도 611명에서 457명으로 22.3% 감소했다. 반면 매년 신규 의사 수는 3000명에 이른다. OECD 평균 증가률인 1.6%보다 훨씬 높다(5%).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불경기와 더불어 경쟁이 치열해지다보니 의사들의 개개 수입은 감소하고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한의사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00년 8845명이던 한의사가 2011년 1만6038명으로 10년간 81%나 늘어났다. 매년 850명의 신규 인력이 배출되고 있다. 시장 경쟁이 격화될 수밖에 없다. 대한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자격증 획득 후에 97.3%가 개원하는데 건물 임대료 등 비용 증가로 어려움이 크다"고 호소했다.

변호사들의 경우도 나을 게 없다. 지난해 로스쿨 출신 1기 변호사들의 취업률은 60%대에 불과하다. 충남대(31.3%), 강원대(38.7%) 등 몇몇 로스쿨은 30%대에 그치고 있다. 이미 개업한 변호사들도 극심한 양극화에 시달리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변호사의 16.1%가 연 소득 2400만원 이하를 신고해 월 200만원도 벌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예전보다 훨씬 낮은 직급으로 공직 채용에 응하는 변호사들이 수두룩하다. 지난해 부산시, 인천시 등이 연봉 3000만원 정도밖에 안 되는 7급 공무원으로 변호사들을 공개 채용했지만 치열한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때 잘 나가던 '공인회계사'도 이젠 어렵사리 딴 자격증을 그냥 놀리는 경우가 많다. 한국공인회계사회에 따르면 2013년 1월31일 현재 1만5767명의 등록회원 중 30% 가량인 5089명이 휴업중이다.

이렇다 보니 고시에 대한 인기도 시들해져 수험생들로 북적거리던 서울 신림동 고시촌이 '공동화'되고 있다. 2009년 5만명이던 고시촌 '입주자' 수는 올해 2만 5000여명으로 줄어들었다. 전국고시원협회 관계자는 "신림동 고시촌 경기는 거의 죽은 것이나 다름없다. 고시원, 학원, 식당 등 고시생을 상대로 장사하던 지역 상권이 모두 가라앉았다. 고시원의 절반이 비어 있다"고 말했다.

ⓒ 사이트명(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무료유료
스크랩하기 공유받기O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