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에서 얼굴을 마주치지 않는 `비대면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예금과 적금에 가입하는 건수가 지점을 통한 오프라인 거래 실적을 훌쩍 넘어선 게 이를 방증한다.
최근 재계에 따르면 은행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지점을 줄이고 인력을 감축하는 동시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한 비대면 거래를 대폭 확대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는 분석이다. 특히 온라인으로 가입하면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예ㆍ적금 가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달 8일 신한은행이 지난 1년간(2016년 3월~2017년 2월) `신한 주거래 적금` 신규 가입 건수를 집계한 결과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거래가 31만2598건으로 영업점을 통한 23만2507건보다 더 많았다. 지난 1년간 55만개에 육박하는 신규 계좌가 개설된 대표 적금 판매 건수 중 전체의 57.3%가 모바일 앱인 `신한S뱅크`와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이뤄졌다.
같은 기간 `신한 S20 적금`은 온라인 비대면 채널에서 이뤄진 가입 건수가 2만4789건으로 지점 실적(2414건)의 10배에 달했다. 여성을 겨냥해 내놓은 `신한 알파레이디 적금`도 모바일 등 온라인 채널 판매 비중이 94.5%에 달했다. 스마트폰 앱과 연동해 운동 목표를 달성하면 우대이율을 주는 이색 전략으로 올해 신한은행 최고 히트 상품으로 떠오른 `헬스플러스 적금`의 전체 판매 실적 가운데 40%도 온라인 몫이다.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다. KEB하나은행의 `셀프-기프팅 적금`은 외환은행과 전산 통합 후인 지난해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신규 가입 2만8985건이 이뤄져 전체 가입 건수의 68%를 차지했다. `리틀빅 정기예금`도 동 기간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매 비중이 6:4로 온라인 채널 강세가 뚜렷했다.
온라인으로 계좌를 만들거나 거래하면 적잖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는 게 온라인 상품의 공통점이다. 신한 주거래 적금의 경우 기본금리는 12개월 가입 기준으로 연 1.05% 수준이지만 신한S뱅크 로그인 실적이 있거나 비대면 채널로 가입하면 0.2%포인트(p)의 추가 금리를, 온라인 이벤트에 참여하면 0.3%포인트를 제공하는 등 온라인 가입 시 최고 금리가 연 2.35%까지 올라간다. 신한 S20 적금도 모바일 뱅킹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면 0.2%포인트의 금리를 더 받을 수 있다.
아예 온라인 가입 시 받는 우대금리가 영업점에서 가입할 때 적용되는 기본금리보다 높은 상품도 있다. 하나 셀프-기프팅 적금은 가입 고객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뱅킹에서 퍼즐 맞추기 미션에 참여하면 1%포인트, 비대면 채널을 통해 다른 예금에 추가로 가입하면 0.5%포인트 등 총 연 1.5%포인트의 온라인 우대금리를 준다. 우대금리 수준 자체가 이 적금의 기본금리(연 1.1%)를 훌쩍 넘어선다. 다른 조건까지 합쳐 최대 1.8%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다 받으면 최고 연 2.9%에 달하는 적금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은행권에서 얼굴을 마주치지 않는 `비대면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 온라인으로 예금과 적금에 가입하는 건수가 지점을 통한 오프라인 거래 실적을 훌쩍 넘어선 게 이를 방증한다.
최근 재계에 따르면 은행들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지점을 줄이고 인력을 감축하는 동시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한 비대면 거래를 대폭 확대해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는 분석이다. 특히 온라인으로 가입하면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예ㆍ적금 가입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달 8일 신한은행이 지난 1년간(2016년 3월~2017년 2월) `신한 주거래 적금` 신규 가입 건수를 집계한 결과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거래가 31만2598건으로 영업점을 통한 23만2507건보다 더 많았다. 지난 1년간 55만개에 육박하는 신규 계좌가 개설된 대표 적금 판매 건수 중 전체의 57.3%가 모바일 앱인 `신한S뱅크`와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 이뤄졌다.
같은 기간 `신한 S20 적금`은 온라인 비대면 채널에서 이뤄진 가입 건수가 2만4789건으로 지점 실적(2414건)의 10배에 달했다. 여성을 겨냥해 내놓은 `신한 알파레이디 적금`도 모바일 등 온라인 채널 판매 비중이 94.5%에 달했다. 스마트폰 앱과 연동해 운동 목표를 달성하면 우대이율을 주는 이색 전략으로 올해 신한은행 최고 히트 상품으로 떠오른 `헬스플러스 적금`의 전체 판매 실적 가운데 40%도 온라인 몫이다.
다른 은행도 마찬가지다. KEB하나은행의 `셀프-기프팅 적금`은 외환은행과 전산 통합 후인 지난해 7월부터 올해 2월까지 온라인 채널을 통해 신규 가입 2만8985건이 이뤄져 전체 가입 건수의 68%를 차지했다. `리틀빅 정기예금`도 동 기간에 온라인과 오프라인 판매 비중이 6:4로 온라인 채널 강세가 뚜렷했다.
온라인으로 계좌를 만들거나 거래하면 적잖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는 게 온라인 상품의 공통점이다. 신한 주거래 적금의 경우 기본금리는 12개월 가입 기준으로 연 1.05% 수준이지만 신한S뱅크 로그인 실적이 있거나 비대면 채널로 가입하면 0.2%포인트(p)의 추가 금리를, 온라인 이벤트에 참여하면 0.3%포인트를 제공하는 등 온라인 가입 시 최고 금리가 연 2.35%까지 올라간다. 신한 S20 적금도 모바일 뱅킹으로 가입하고 로그인하면 0.2%포인트의 금리를 더 받을 수 있다.
아예 온라인 가입 시 받는 우대금리가 영업점에서 가입할 때 적용되는 기본금리보다 높은 상품도 있다. 하나 셀프-기프팅 적금은 가입 고객이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뱅킹에서 퍼즐 맞추기 미션에 참여하면 1%포인트, 비대면 채널을 통해 다른 예금에 추가로 가입하면 0.5%포인트 등 총 연 1.5%포인트의 온라인 우대금리를 준다. 우대금리 수준 자체가 이 적금의 기본금리(연 1.1%)를 훌쩍 넘어선다. 다른 조건까지 합쳐 최대 1.8%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다 받으면 최고 연 2.9%에 달하는 적금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