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한국은행은 지난해 중소기업 대출금리 평균이 연 3.69%를, 대기업 대출금리는 3.14%를 기록해 금리격차가 `0.55%포인트(p)` 차이가 난다는 내용이 담긴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발표했다. 이는 2007년 0.63%포인트 벌어진 이후 최대 수치다.
앞서 대출금리 격차는 2012년 0.48%포인트에서 2013년 0.46%포인트로 떨어졌다가 2014년에 0.50%포인트, 2015년에 0.47%포인트를 기록한바 있다.
대기업 대출금리가 중소기업보다 상대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것이 지난해 대출금리 격차의 원인이란 전언이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2015년 3.4%에서 지난해 3.14%로 0.26%포인트 줄었다. 중소기업은 마찬가지로 떨어졌으나 3.87에서 3.69%로 0.18%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재계 한쪽에서는 지난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효력이 중소기업에는 상대적으로 덜 미쳤음을 제기하고 나섰다. 일부 한은 관계자들도 지난해 은행들이 위험관리를 해나가는 과정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바꾸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금리 차이가 확대됐다고 분석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대출금리 격차의 가장 큰 원인은 `실질적인 재무건전성 차이`라는 게 재계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실제 한은의 기업경영분석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대기업의 부채비율은 107.7%로 전년 대비 19.3%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중소기업은 동 기간 161.4%에서 182%로 올랐다.
또한 지난해 은행의 대기업 대출금은 9조7000억 원으로 줄었으나, 중소기업 대출금은 30조5000억 원으로 늘어났다.
이 같은 재무건전성의 차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방식 차이에서 기인한다. 대기업은 회사채 발행을 비롯한 직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은행 빚을 갚을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금융기관에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미국 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중소기업이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소비자단체들은 대출을 받은 때 대기업은 여러 은행을 이용하면서 `금리 주도권`을 꿰찰 수 있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금리 결정뿐만 아니라 만기연장도 힘들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016년 대기업과 중소기업 은행권 대출금리의 차이가 9년 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지난 19일 한국은행은 지난해 중소기업 대출금리 평균이 연 3.69%를, 대기업 대출금리는 3.14%를 기록해 금리격차가 `0.55%포인트(p)` 차이가 난다는 내용이 담긴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를 발표했다. 이는 2007년 0.63%포인트 벌어진 이후 최대 수치다.
앞서 대출금리 격차는 2012년 0.48%포인트에서 2013년 0.46%포인트로 떨어졌다가 2014년에 0.50%포인트, 2015년에 0.47%포인트를 기록한바 있다.
대기업 대출금리가 중소기업보다 상대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것이 지난해 대출금리 격차의 원인이란 전언이다. 대기업 대출금리는 2015년 3.4%에서 지난해 3.14%로 0.26%포인트 줄었다. 중소기업은 마찬가지로 떨어졌으나 3.87에서 3.69%로 0.18%포인트 하락하는 데 그쳤다.
재계 한쪽에서는 지난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효력이 중소기업에는 상대적으로 덜 미쳤음을 제기하고 나섰다. 일부 한은 관계자들도 지난해 은행들이 위험관리를 해나가는 과정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대출심사를 까다롭게 바꾸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금리 차이가 확대됐다고 분석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대출금리 격차의 가장 큰 원인은 `실질적인 재무건전성 차이`라는 게 재계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실제 한은의 기업경영분석 통계에 따르면 2015년 대기업의 부채비율은 107.7%로 전년 대비 19.3%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중소기업은 동 기간 161.4%에서 182%로 올랐다.
또한 지난해 은행의 대기업 대출금은 9조7000억 원으로 줄었으나, 중소기업 대출금은 30조5000억 원으로 늘어났다.
이 같은 재무건전성의 차이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 방식 차이에서 기인한다. 대기업은 회사채 발행을 비롯한 직접금융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은행 빚을 갚을 수 있지만 중소기업은 금융기관에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미국 금리 인상으로 국내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중소기업이 불리한 상황에 놓였다. 소비자단체들은 대출을 받은 때 대기업은 여러 은행을 이용하면서 `금리 주도권`을 꿰찰 수 있으나 중소기업의 경우 금리 결정뿐만 아니라 만기연장도 힘들 수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