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채소 주산지인 성주, 고령군에서는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폭4.8m 높이2.3m)로 인하여 대형 농기계 진입이 불가능함에 따라 농가 경영비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북도에서는 2012년부터 농식품부의 시설원예 품질개선사업으로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개·보수(폭5.4m 높이2.6m이상) 및 시설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시군단위 시설원예발전계획이 수립된 성주, 고령군(229ha)에 만 사업비 117억원을 지원했다.
시설원예 품질개선사업은 원예전문생산단지, 시설원예농업인(법인)을 대상으로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개·보수, 시설현대화(양액재배시설, 시설환경복합제어시설, 자동개폐기 등)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비의 50%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북도에서는 그동안 농식품부에서 시군단위 시설원예발전계획이 수립된 시군에 한해서 지원하던 것을 수차례 건의하여 2013년부터는 농식품부의 지침 완화로 타 시군에도 지원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더 많은 시설원예 농업인이 혜택을 받는 것으로, 향후 2015년까지 600ha 200억원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아유경제=김재원기자] 경상북도는 FTA 등 시장개방에 대비하여 온실 등 노후화된 원예생산기반 시설에 현대화, 규모화, 전문화함으로써 농산물의 품질개선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84억원(보조 42억원)을 투입한다.
※ 조금열(성주군 월항면 수죽리) 사례
- 사업량 : 참외(5,900㎡) * 시설하우스 개·보수
- 생산량 : 38톤(관행재배 33톤, 증15%)
- 조수입(`13년기준) : 100백만원(관행재배 70백만원, 증42%)
- 자동보온덮개 설치로 인한 일조량 증가로 품질향상, 생산량 증가
- 자동보온덮개, 대형농기계 농작업으로 노동력 절감(관행재배 대비 80%절감)
시설채소 주산지인 성주, 고령군에서는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폭4.8m 높이2.3m)로 인하여 대형 농기계 진입이 불가능함에 따라 농가 경영비 부담이 가중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북도에서는 2012년부터 농식품부의 시설원예 품질개선사업으로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개·보수(폭5.4m 높이2.6m이상) 및 시설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시군단위 시설원예발전계획이 수립된 성주, 고령군(229ha)에 만 사업비 117억원을 지원했다.
시설원예 품질개선사업은 원예전문생산단지, 시설원예농업인(법인)을 대상으로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개·보수, 시설현대화(양액재배시설, 시설환경복합제어시설, 자동개폐기 등)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비의 50%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경북도에서는 그동안 농식품부에서 시군단위 시설원예발전계획이 수립된 시군에 한해서 지원하던 것을 수차례 건의하여 2013년부터는 농식품부의 지침 완화로 타 시군에도 지원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더 많은 시설원예 농업인이 혜택을 받는 것으로, 향후 2015년까지 600ha 200억원을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 `12) 229ha(117억원) → `13) 270ha(84) → `14) 300ha(100) → `15) 300ha(100)
경상북도 김준식 친환경농업과장은 "시설원예 농가들의 가장 큰 어려움은 노후화된 시설하우스 교체와 시설현대화였으나, 시설원예 품질개선사업을 통해 시설하우스 현대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면서, 고품질 농산물 생산과 경영비 절감을 통해 농가소득 증대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사이트명(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