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노우창 기자] 통일부는 우리 정부가 부르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공식 직함은 `국무위원장`이라고 지난 5일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의 공식 호칭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식명칭이지만 약칭으로 김정은 위원장이라고 많이 불리는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정식 명칭이 국무위원장이냐`는 거듭된 질문에 "그렇다. 정상회담에 있어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고 말했다.
이날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의 공식 호칭을 무엇으로 하기로 했느냐`는 질문에 "국무위원장이다. 저희가 계속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고 써왔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은 노동당 위원장, 국무위원장 등 여러 개의 직함을 갖고 있는데, 국내 언론은 북한에서는 노동당이 최상위 기구임을 고려해 대체로 '노동당 위원장'이란 직함을 자주 사용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방남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문 대통령에게 "국무위원장의 특명을 받고 왔습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상회담 이외의 통상적인 상황에서도 국무위원장이 공식 직함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하지만 (2016년) 7차 당 대회 이후에 김 위원장이 당에서도 위원장으로 됐기 때문에 혼선이 있을 수도 있는데 맥락을 봐야 한다. 100% 국무위원장이라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김정은의 직함이 국무위원장이라면 북한을 국가 대 국가의 관계로 보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는 아니지만, 특수관계에서 우리 대통령의 격에 맞는 북한의 명칭을, 전에 2000년과 2007년 회담에도 그랬고 지금도 같이 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아유경제=노우창 기자] 통일부는 우리 정부가 부르는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공식 직함은 `국무위원장`이라고 지난 5일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정은의 공식 호칭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공식명칭이지만 약칭으로 김정은 위원장이라고 많이 불리는 것 같다"고 답했다.
이어 `정식 명칭이 국무위원장이냐`는 거듭된 질문에 "그렇다. 정상회담에 있어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고 말했다.
이날 청와대 핵심관계자도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김정은의 공식 호칭을 무엇으로 하기로 했느냐`는 질문에 "국무위원장이다. 저희가 계속 김정은 국무위원장이라고 써왔다"고 밝혔다.
김정은 위원장은 노동당 위원장, 국무위원장 등 여러 개의 직함을 갖고 있는데, 국내 언론은 북한에서는 노동당이 최상위 기구임을 고려해 대체로 '노동당 위원장'이란 직함을 자주 사용했다.
그러나 지난 2월 방남한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문 대통령에게 "국무위원장의 특명을 받고 왔습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상회담 이외의 통상적인 상황에서도 국무위원장이 공식 직함이냐`는 질문에는 "그렇다. 하지만 (2016년) 7차 당 대회 이후에 김 위원장이 당에서도 위원장으로 됐기 때문에 혼선이 있을 수도 있는데 맥락을 봐야 한다. 100% 국무위원장이라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김정은의 직함이 국무위원장이라면 북한을 국가 대 국가의 관계로 보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는 아니지만, 특수관계에서 우리 대통령의 격에 맞는 북한의 명칭을, 전에 2000년과 2007년 회담에도 그랬고 지금도 같이 하고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