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김소연 기자] 경기도가 동두천, 양주시와 `양주ㆍ동두천 경계지역 축사악취 저감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동두천 생연ㆍ송내 지구 주민들의 15년 숙원인 양주 하패리 축사 악취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축사 등의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장기적 대책으로 양주 하패리 일대에 물류단지를 조성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29일 오후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최용덕 동두천 시장, 김대순 양주 부시장(이성호 양주시장 대리)은 경기도청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양주ㆍ동두천 경계지역 축사악취 저감을 위한 협약서`에 공동으로 서명하고, 동두천 신시가지 악취 해소 및 환경 개선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협약서에는 ▲폐업을 원하는 축사에 대한 보상 추진 ▲폐업을 원하지 않는 축사에 대한 기술적, 행ㆍ재정적 지원을 통한 악취 저감 및 환경오염예방 ▲지속적이고 원활한 추진을 위한 실무회의 정례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날 협약으로 동두천 신시가지에 악취 문제를 야기했던 양주시 하패리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도는 양주, 동두천시와 보상비 등에 대한 상호 협의를 통해 폐업을 원하는 축사 소유주에게 적절한 보상비가 지급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폐업을 원하지 않는 축사에 대해서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축사별 맞춤형 악취 저감`을 추진하는 한편 기술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통해 악취 저감 및 환경오염예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특히 이날 협약식에서는 협약에 관한 내용 이외에도 하패리 일대 악취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 대책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됐다.
이 지사는 양주 하패리 일대 악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산업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개발하는 방법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라며 하패리 일대를 물류단지로 조성해 나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지사는 "균형 발전 차원에서라도 해당 지역(하패리 일대)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양주와 동두천 주민들은 물론 경기 전체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라며 "양주시가 관심을 갖고 있는 물류단지가 유치되려면 수요가 필요하다. 주민들의 반대에도 수요가 몰리고 있는 광주 등 경기 동부지역 대신 북부지역으로 물류단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도의회와도 힘을 합쳐 오늘 협약이 빨리 집행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북부지역이 지금까지 입은 억울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용덕 동두천 시장은 "악취 문제는 이미 15년이 넘었지만, 현장에 도지사가 온 적은 처음이다. 15년 간 해결되지 않던 일이 이제야 해결되는 것 같아 기쁘다"라며 "악취 저감도 큰 틀에서 보면 개발을 위한 일인 만큼 양주시와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화답했다.
김대순 양주 부시장도 "이번 협약을 통해 양주시와 동두천이 상호 상생 발전해 경기 북부지역의 중심이 되고 국가 기반시설도 유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며 "특별한 희생에 대해 특별한 보상을 실천해주신데 대해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하패리 축사 악취 문제는 악취발생 지역(양주)과 피해 지역(동두천)이 달라 양주시와 동두천시가 해결 방안에 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경기도는 2012년 도비 40억 원과 동두천ㆍ양주 시비 각 8억 원(총 16억 원) 등 56억 원을 지원해 11개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을 실시했다.
[아유경제=김소연 기자] 경기도가 동두천, 양주시와 `양주ㆍ동두천 경계지역 축사악취 저감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동두천 생연ㆍ송내 지구 주민들의 15년 숙원인 양주 하패리 축사 악취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특히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축사 등의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장기적 대책으로 양주 하패리 일대에 물류단지를 조성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29일 오후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최용덕 동두천 시장, 김대순 양주 부시장(이성호 양주시장 대리)은 경기도청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양주ㆍ동두천 경계지역 축사악취 저감을 위한 협약서`에 공동으로 서명하고, 동두천 신시가지 악취 해소 및 환경 개선을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협약서에는 ▲폐업을 원하는 축사에 대한 보상 추진 ▲폐업을 원하지 않는 축사에 대한 기술적, 행ㆍ재정적 지원을 통한 악취 저감 및 환경오염예방 ▲지속적이고 원활한 추진을 위한 실무회의 정례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이날 협약으로 동두천 신시가지에 악취 문제를 야기했던 양주시 하패리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 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도는 양주, 동두천시와 보상비 등에 대한 상호 협의를 통해 폐업을 원하는 축사 소유주에게 적절한 보상비가 지급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폐업을 원하지 않는 축사에 대해서는 한국환경공단에서 추진하고 있는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축사별 맞춤형 악취 저감`을 추진하는 한편 기술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통해 악취 저감 및 환경오염예방이 이뤄질 수 있도록 조치할 방침이다.
특히 이날 협약식에서는 협약에 관한 내용 이외에도 하패리 일대 악취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장기적 대책에 대한 논의도 함께 진행됐다.
이 지사는 양주 하패리 일대 악취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산업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개발하는 방법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라며 하패리 일대를 물류단지로 조성해 나가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지사는 "균형 발전 차원에서라도 해당 지역(하패리 일대)이 개발되기를 바란다. 양주와 동두천 주민들은 물론 경기 전체 발전에도 도움이 되는 만큼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라며 "양주시가 관심을 갖고 있는 물류단지가 유치되려면 수요가 필요하다. 주민들의 반대에도 수요가 몰리고 있는 광주 등 경기 동부지역 대신 북부지역으로 물류단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이 지사는 이어 "도의회와도 힘을 합쳐 오늘 협약이 빨리 집행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북부지역이 지금까지 입은 억울한 피해를 보상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용덕 동두천 시장은 "악취 문제는 이미 15년이 넘었지만, 현장에 도지사가 온 적은 처음이다. 15년 간 해결되지 않던 일이 이제야 해결되는 것 같아 기쁘다"라며 "악취 저감도 큰 틀에서 보면 개발을 위한 일인 만큼 양주시와 적극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화답했다.
김대순 양주 부시장도 "이번 협약을 통해 양주시와 동두천이 상호 상생 발전해 경기 북부지역의 중심이 되고 국가 기반시설도 유치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라며 "특별한 희생에 대해 특별한 보상을 실천해주신데 대해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한편, 하패리 축사 악취 문제는 악취발생 지역(양주)과 피해 지역(동두천)이 달라 양주시와 동두천시가 해결 방안에 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해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경기도는 2012년 도비 40억 원과 동두천ㆍ양주 시비 각 8억 원(총 16억 원) 등 56억 원을 지원해 11개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을 실시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