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생활/문화 > 여행/레저
기사원문 바로가기
김영록 전남지사, “곡성․구례, 친환경농업․관광도시” 밝혀
27일 도민과 대화…“남부내륙관광종합발전계획, 국가계획 반영 주력”
repoter : 강대의 ( edaynews@paran.com ) 등록일 : 2019-02-28 10:43:39 · 공유일 : 2019-02-28 10:50:24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7곡성을 생태·근교형 내륙관광의 중심지이자 지속가능한 친환경 미래농업도시로, 구례를 전국 제1의 휴양·관광도시이자, 친환경농산물 생산·가공·유통 중심지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곡성군청에서 곡성군민과 대화를 갖고 심청전 발상지 곡성은 한 해 135만이 찾는 기차마을과 장미공원, 섬진강, 침실습지 등 뛰어난 경관을 보유하고 있고, 멜론·토란·딸기 등 친환경 농축산물 주산지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곡성은 곡성읍권·석곡권·옥과권 등 지역별 특성화전략을 잘 추진하고 있고, ‘곡성읍 스트리트 갤러리 사업’, ‘섬진강 동화정원 프로젝트’, ‘죽곡 함께마을학교등 특색있는 아이템이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효도택시, 1천원 버스, 경로당 온열치료기 보급, 치매안심센터 등 군민의 가려운 곳을 정확히 파악한 맞춤형 시책은 단연 으뜸이라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특히 산업용 직류기기 성능시험센터 기반 구축, 전라선(익산~곡성~여수) 고속철도 건설, 농촌융복합산업지구 조성, 섬진강천문대 전시관 신축 등 현안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돕겠다토란 가공식품 등 특산물을 남도 명품으로 육성하고, 곡성이 중심인 남부내륙관광종합발전계획의 국가계획 반영에도 주력해 군민행복지수 1라는 군정 비전이 실현되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곡성군은 팜업스토어, 전시공연체험시설 설치 등 중앙로 시가지 활성화사업을 요청했고, 김 지사는 청년을 위한 새 모델이 되도록 지원하겠다고 답했다. 경로당 급식도우미 지원, 지역화폐 도입 등 주민 건의도 적극 돕겠다고 답했다.

 

토란 아이스크림 등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청년창업 지원에 대해서는 전남도 일자리플랫폼을 신설했지만, 접근성에 어려움이 있다면 군 단위에서도 원스톱 민원처리를 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조만간 분야별 청년 200여 명을 대상으로 타운홀 미팅을 통해 청년창업의 애로사항을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구례군청에서 구례군민과 대화를 갖고 구례는 전국 최고의 산림레저·휴양타운인 지리산정원 등을 보유한 자연·생태의 대표 지역이고, 동편제 판소리의 창조적 계승자인 국악인 송만갑, 경술국치에 죽음으로 항거한 매천 황현 선생 등 걸출한 인물들을 배출했다지금은 2단지 조성이 완료된 자연드림파크를 통해 6차 융복합산업의 새 모델을 제시하고, 전국 최초로 친환경농업도시를 선포한 친환경농업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유기농산업 복합서비스 지원단지 조성과 섬진강 테마로드, 지리산 숲정원 조성, 지리산수목원 특성화사업, 전라선 고속철도 건설 등 현안이 미래 전략산업으로 커가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어느 지역보다 훌륭한 관광자원을 보유한 구례가 관광의 고장으로 웅비하도록 남부내륙관광종합발전계획 등을 통해 힘을 보태겠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구례군이 건의한 생명체험학교 리모델링을 통한 노인회관 운영비와 섬진강 힐링 생태탐방로 가로등 설치비 지원에 대해 흔쾌히 돕겠다고 약속했다. 또 전남지역 유일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운영비 지원에 대해서는 다른 시군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지원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주민들이 건의한 청년창업농 융자 거치 기간 연장과 가업 승계농 지원 방안에 대해선 “3년 거치 7년 상환인 기간 연장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게 건의하고, 종합 플랫폼이나 온라인상 프로그램을 신설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무료유료
스크랩하기 공유받기O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