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이화정 기자] 이달 말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할 예정인 2014년 시공능력평가에서 지난해 1ㆍ2위에 이름을 올렸던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의 순위가 뒤바뀔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물산이 수주한 6조5000억원 규모의 호주 로이힐 광산 프로젝트가 착공에 들어가면서 이 사업이 삼성물산의 매출실적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어서다.
종합순위 1ㆍ2위 기업이 바뀌지 않더라도 최소한 삼성물산의 토목 부문 시공능력평가액은 현대건설을 추월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물산이 수주한 호주 로이힐 광산 프로젝트의 공정률은 현재 40%를 넘어선 상태다.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로이힐 프로젝트가 매출에 반영되면서 올해 들어 삼성물산의 매출실적 성장도 두드러졌다.
삼성물산의 올해 1분기 매출실적은 3조3565억원으로 이중 5000억원을 로이힐 프로젝트를 통해 거둬들였다. 해외 현장만 떼어 놓고 보면 로이힐 프로젝트가 해외매출의 3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매출액이 29.6% 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현대건설의 1분기 매출실적인 3조2906억원을 넘어섰다. 앞서 지난해 4분기에도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착공에 힘입어 4조290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한 삼성물산은 현대건설의 매출실적 4조714억원을 앞지른 바 있다.
업계 관계자들이 주목하는 점은 시공능력평가 산정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매출실적에서 삼성물산이 현대건설을 2분기 연속 추월했다는 점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공사실적과 경영평가, 기술능력, 신인도 등의 항목을 금액으로 평가한 뒤 이 값들을 더해 결정된다.
이때 공사실적은 1ㆍ2차 기성실적에 해당되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지난해부터 현대건설보다 더 많은 매출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삼성물산의 공사실적평가액이 현대건설을 추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건설기업 관계자는 "건축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 왔던 삼성물산은 현대건설에 비해 토목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면서 "하지만 단일 토목공사로는 최대 규모인 로이힐 광산 프로젝트 사업이 본격화된 이후 업계에서는 삼성물산의 토목 공사실적이 현대건설을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의 토목 부문 건설실적이 뒤바뀔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두 기업은 시공능력평가 종합순위에도 변화가 있을지 여부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삼성물산이 수주한 6조5000억원 규모의 호주 로이힐 광산 프로젝트가 착공에 들어가면서 이 사업이 삼성물산의 매출실적에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어서다.
종합순위 1ㆍ2위 기업이 바뀌지 않더라도 최소한 삼성물산의 토목 부문 시공능력평가액은 현대건설을 추월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업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물산이 수주한 호주 로이힐 광산 프로젝트의 공정률은 현재 40%를 넘어선 상태다.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로이힐 프로젝트가 매출에 반영되면서 올해 들어 삼성물산의 매출실적 성장도 두드러졌다.
삼성물산의 올해 1분기 매출실적은 3조3565억원으로 이중 5000억원을 로이힐 프로젝트를 통해 거둬들였다. 해외 현장만 떼어 놓고 보면 로이힐 프로젝트가 해외매출의 30%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는 매출액이 29.6% 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현대건설의 1분기 매출실적인 3조2906억원을 넘어섰다. 앞서 지난해 4분기에도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 착공에 힘입어 4조2900억원의 매출액을 달성한 삼성물산은 현대건설의 매출실적 4조714억원을 앞지른 바 있다.
업계 관계자들이 주목하는 점은 시공능력평가 산정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매출실적에서 삼성물산이 현대건설을 2분기 연속 추월했다는 점이다. 시공능력평가 순위는 공사실적과 경영평가, 기술능력, 신인도 등의 항목을 금액으로 평가한 뒤 이 값들을 더해 결정된다.
이때 공사실적은 1ㆍ2차 기성실적에 해당되는 매출액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지난해부터 현대건설보다 더 많은 매출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삼성물산의 공사실적평가액이 현대건설을 추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건설기업 관계자는 "건축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 왔던 삼성물산은 현대건설에 비해 토목 부문에서 상대적으로 뒤쳐진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면서 "하지만 단일 토목공사로는 최대 규모인 로이힐 광산 프로젝트 사업이 본격화된 이후 업계에서는 삼성물산의 토목 공사실적이 현대건설을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의 토목 부문 건설실적이 뒤바뀔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두 기업은 시공능력평가 종합순위에도 변화가 있을지 여부에 대해서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