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고상우 기자] 4ㆍ19 혁명의 부상자 명단과 참여자 구술조사서, 계엄선포문 등의 민주화 문화유산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다.
문화재청은 9일 "4ㆍ19 혁명 60주년을 맞이해 1960년 4월 19일 민주화의 역사적 현장을 기억하고, 역사ㆍ교육 시사점을 표출하기 위해 `4ㆍ19 혁명 문화유산`을 집중 발굴하고 있다"며 "민주화 문화유산으로는 처음으로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문화재청은 지방자치단체와 유관기관의 추천을 받아 총 179건의 4ㆍ19 혁명 관련 유물을 발굴했다.
이 유물들을 대상으로 문화재선정자문회의가 총 7건을 등록 우선 추진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신청 등 사전절차를 거친 후 순차적으로 전문가 현장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최종 등록되게 된다.
상반기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될 문화유산은 총 3건이다. ▲「4ㆍ19 혁명 참여 고려대학생 부상자 명단」3종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ㆍ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9종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ㆍ19 혁명 계엄포고문)」19종이다.
전문가들은 해당 문화재들이 4ㆍ19 혁명기 시위의 경과, 진압과 피해 내역 등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4ㆍ19 혁명은 학생과 시민이 주도해 독재 정권과 부정선거에 항거한 민주주의 혁명"이라며 "혁명 문화유산 등록이 민주주의 성숙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유경제=고상우 기자] 4ㆍ19 혁명의 부상자 명단과 참여자 구술조사서, 계엄선포문 등의 민주화 문화유산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된다.
문화재청은 9일 "4ㆍ19 혁명 60주년을 맞이해 1960년 4월 19일 민주화의 역사적 현장을 기억하고, 역사ㆍ교육 시사점을 표출하기 위해 `4ㆍ19 혁명 문화유산`을 집중 발굴하고 있다"며 "민주화 문화유산으로는 처음으로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문화재청은 지방자치단체와 유관기관의 추천을 받아 총 179건의 4ㆍ19 혁명 관련 유물을 발굴했다.
이 유물들을 대상으로 문화재선정자문회의가 총 7건을 등록 우선 추진대상으로 선정했다. 지방자치단체의 신청 등 사전절차를 거친 후 순차적으로 전문가 현장조사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문화재로 최종 등록되게 된다.
상반기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될 문화유산은 총 3건이다. ▲「4ㆍ19 혁명 참여 고려대학생 부상자 명단」3종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ㆍ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9종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ㆍ19 혁명 계엄포고문)」19종이다.
전문가들은 해당 문화재들이 4ㆍ19 혁명기 시위의 경과, 진압과 피해 내역 등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고 평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4ㆍ19 혁명은 학생과 시민이 주도해 독재 정권과 부정선거에 항거한 민주주의 혁명"이라며 "혁명 문화유산 등록이 민주주의 성숙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