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박진아 기자]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대중교통 활성화와 교통비 절감을 위해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광역알뜰교통카드(이하 알뜰카드) 사업대상 지역이 오는 17일부터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된다고 16일 밝혔다.
현재까지 서울시는 알뜰카드 사업에 자치구 단위로 참여해 5개구(종로구, 중구, 구로구, 서초구, 강남구) 주민들만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에 서울시가 시 차원에서 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서울시민 누구나 알뜰카드를 사용해 대중교통비 절감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대광위와 사업운영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서울시내 미참여 지역 거주 시민들의 알뜰카드 사업 확대 요청에 따라 서울시의 사업 참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에 관계기관들이 알뜰카드 정책과 시의 그린 모빌리티 정책이 `보행ㆍ자전거 이용 활성화`라는 같은 취지의 정책이라는 인식을 공유함에 따라 서울시의 전격 사업 참여가 이뤄졌다.
서울시 전 지역이 참여함에 따라 알뜰카드는 대중교통수송 분담률이 높은 수도권과 광역시(인천ㆍ부산ㆍ대구ㆍ광주ㆍ대전ㆍ울산ㆍ세종) 전 지역에서 가입할 수 있게 됐고, 대상지역은 128개 시ㆍ군ㆍ구(기존 108개)로 확대돼 전국 인구의 80%가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지급(최대 20%)하고, 카드사가 추가 할인(약 10%)을 제공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다.
특히 20~30대(이용자의 82%)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고 이달 기준 총 8만여 명이 이용 중으로, 이번 서울시 참여를 계기로 이용인원이 더욱 증가해 조만간 1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대광위는 내다봤다.
카드는 광역알뜰교통카드 누리집에서 신청ㆍ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카드 신청ㆍ발급은 사업대상지역 주민(주민등록기준)만 가능하나 카드 사용 및 마일리지 적립은 지역과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할 수 있다.
장구중 국토부 대권위 광역교통요금과장은 "서울시의 참여는 수도권과 모든 광역시 등 대중교통 중심도시의 시민 모두가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지역의 주민들이 알뜰카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방 대도시권역을 중심으로 신규지역 확대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아유경제=박진아 기자]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대중교통 활성화와 교통비 절감을 위해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광역알뜰교통카드(이하 알뜰카드) 사업대상 지역이 오는 17일부터 서울시 전역으로 확대된다고 16일 밝혔다.
현재까지 서울시는 알뜰카드 사업에 자치구 단위로 참여해 5개구(종로구, 중구, 구로구, 서초구, 강남구) 주민들만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이번에 서울시가 시 차원에서 사업에 참여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서울시민 누구나 알뜰카드를 사용해 대중교통비 절감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대광위와 사업운영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서울시내 미참여 지역 거주 시민들의 알뜰카드 사업 확대 요청에 따라 서울시의 사업 참여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다. 이에 관계기관들이 알뜰카드 정책과 시의 그린 모빌리티 정책이 `보행ㆍ자전거 이용 활성화`라는 같은 취지의 정책이라는 인식을 공유함에 따라 서울시의 전격 사업 참여가 이뤄졌다.
서울시 전 지역이 참여함에 따라 알뜰카드는 대중교통수송 분담률이 높은 수도권과 광역시(인천ㆍ부산ㆍ대구ㆍ광주ㆍ대전ㆍ울산ㆍ세종) 전 지역에서 가입할 수 있게 됐고, 대상지역은 128개 시ㆍ군ㆍ구(기존 108개)로 확대돼 전국 인구의 80%가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광역알뜰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지급(최대 20%)하고, 카드사가 추가 할인(약 10%)을 제공해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다.
특히 20~30대(이용자의 82%) 젊은 층에게 인기가 높고 이달 기준 총 8만여 명이 이용 중으로, 이번 서울시 참여를 계기로 이용인원이 더욱 증가해 조만간 1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대광위는 내다봤다.
카드는 광역알뜰교통카드 누리집에서 신청ㆍ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다. 카드 신청ㆍ발급은 사업대상지역 주민(주민등록기준)만 가능하나 카드 사용 및 마일리지 적립은 지역과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할 수 있다.
장구중 국토부 대권위 광역교통요금과장은 "서울시의 참여는 수도권과 모든 광역시 등 대중교통 중심도시의 시민 모두가 알뜰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됐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보다 많은 지역의 주민들이 알뜰카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방 대도시권역을 중심으로 신규지역 확대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