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김필중 기자] 서울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장기화로 외국인 근로자 도입 지연 등 최악의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의 일손부족을 해결하고, 실직ㆍ폐업 등으로 일자리를 찾는 서울시민 100명을 연결해 주는 `농촌일자리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다음 달(9월)부터 오는 11월 중 2회에 걸쳐 총 100여 명(1회 60여 명, 2회 40여 명)이 9박 10일간 강원도 춘천시ㆍ양구군ㆍ인제군 등 3곳에서 토마토, 사과, 고추 수확 등 농촌 근로활동을 하게 된다. 참여자들에게 지급되는 보수는 시급 1만 원이며, 근로 시간은 1일 8시간 (식사, 휴식 외)으로, 참여자와 농가 간 협의를 통해 자율 조정 가능하다.
서울시와 농림축산식품부, 강원도가 협업으로 진행하는 이번 `농촌일자리 지원사업`의 참여자는 농가에서 제공하는 임금과 별도로 교통ㆍ숙박ㆍ상해보험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농가 현장에 배치될 전문 관리인력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안전관리를 제공받게 된다.
서울시가 지역 간 교통비와 농장 코디네이터 운영비를 지원하고, 농식품부가 지원하는 농협인력중개센터는 지역 내 이동에 필요한 교통비ㆍ숙박비 및 상해 보험료를, 강원도는 농가 알선을 지원한다.
시는 오는 19일부터 다음 달(9월) 4일까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1차 신청자를 온라인 모집한다. 신청자는 의사소통 능력, 참여 의지 및 기초체력 확인을 위한 사전 인터뷰와 현장 실습을 거쳐 선발되며, 최종 선정자는 지역농가 연결 후 오는 9월 15일부터 최소 10일간 근로활동을 하게 될 예정이다.
만 19세 이상 서울에 주소를 두고 있는 서울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2회차는 오는 9월 14일부터 10월 2일까지 참여자 모집 후 오는 10월 13~22일 10일간 근로를 이어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단기 근로기간이 끝난 후 계속 일하고 싶은 참가자를 지역농가와 연계하는 등 사후관리를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농가와 참여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아울러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예방을 위해 발열 체크, 문진표 작성은 물론이고 강원도와 연계해 농가 전역의 철저한 소독과 손소독제 비치 등 기본 방역을 철저하게 운영할 예정이다. 또 현장에서 매일 발열증상을 체크해 이상 증세가 있는 참여자는 즉시 격리조치하고 지역 보건소로 인계할 방침이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올해 강원지역에서의 성과를 분석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를 통해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농촌일자리 지원사업이 서울시민에게는 지역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지역은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상생모델로 자리 잡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유경제=김필중 기자] 서울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장기화로 외국인 근로자 도입 지연 등 최악의 인력난을 겪고 있는 농촌지역의 일손부족을 해결하고, 실직ㆍ폐업 등으로 일자리를 찾는 서울시민 100명을 연결해 주는 `농촌일자리 지원사업`을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다음 달(9월)부터 오는 11월 중 2회에 걸쳐 총 100여 명(1회 60여 명, 2회 40여 명)이 9박 10일간 강원도 춘천시ㆍ양구군ㆍ인제군 등 3곳에서 토마토, 사과, 고추 수확 등 농촌 근로활동을 하게 된다. 참여자들에게 지급되는 보수는 시급 1만 원이며, 근로 시간은 1일 8시간 (식사, 휴식 외)으로, 참여자와 농가 간 협의를 통해 자율 조정 가능하다.
서울시와 농림축산식품부, 강원도가 협업으로 진행하는 이번 `농촌일자리 지원사업`의 참여자는 농가에서 제공하는 임금과 별도로 교통ㆍ숙박ㆍ상해보험을 지원받을 뿐만 아니라, 농가 현장에 배치될 전문 관리인력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안전관리를 제공받게 된다.
서울시가 지역 간 교통비와 농장 코디네이터 운영비를 지원하고, 농식품부가 지원하는 농협인력중개센터는 지역 내 이동에 필요한 교통비ㆍ숙박비 및 상해 보험료를, 강원도는 농가 알선을 지원한다.
시는 오는 19일부터 다음 달(9월) 4일까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1차 신청자를 온라인 모집한다. 신청자는 의사소통 능력, 참여 의지 및 기초체력 확인을 위한 사전 인터뷰와 현장 실습을 거쳐 선발되며, 최종 선정자는 지역농가 연결 후 오는 9월 15일부터 최소 10일간 근로활동을 하게 될 예정이다.
만 19세 이상 서울에 주소를 두고 있는 서울시민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2회차는 오는 9월 14일부터 10월 2일까지 참여자 모집 후 오는 10월 13~22일 10일간 근로를 이어갈 예정이다.
서울시는 단기 근로기간이 끝난 후 계속 일하고 싶은 참가자를 지역농가와 연계하는 등 사후관리를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고, 농가와 참여자 모두의 만족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아울러 코로나19의 지역사회 전파 예방을 위해 발열 체크, 문진표 작성은 물론이고 강원도와 연계해 농가 전역의 철저한 소독과 손소독제 비치 등 기본 방역을 철저하게 운영할 예정이다. 또 현장에서 매일 발열증상을 체크해 이상 증세가 있는 참여자는 즉시 격리조치하고 지역 보건소로 인계할 방침이다.
김의승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올해 강원지역에서의 성과를 분석해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를 통해 전국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농촌일자리 지원사업이 서울시민에게는 지역에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지역은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상생모델로 자리 잡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