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을 준공했다. 모듈러 주택은 주요 구조물과 건축 마감 등을 포함한 모듈러 유닛을 공장에서 선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해 조립해 건설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달 27일 지상 13층 높이의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인 경기 용인시 영덕 경기행복주택(이하 용인영덕 경기행복주택)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이 민간사업자로 참여해 시공한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사업은 106가구 규모의 중고층 모듈러 주택 실증사업이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발주했으며,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국가 R&D사업으로 진행됐다.
그간 「건축법」에 따라 지상 13층 이상 건물은 3시간 이상의 내화 기준(화재 시 버틸 수 있는 시간)을 갖춰야 하는 등의 이유로 국내 모듈러 주택의 높이는 지상 12층에 머물러 있었으나, 용인영덕 경기행복주택이 처음으로 이 한계를 극복했다.
모듈러 주택은 소음, 분진, 폐기물 발생이 적고 공사기간도 30~50%가량 단축할 수 있다. 현장작업이 최소화돼 근로자 안전도 개선과 자재 재활용ㆍ재사용이 가능해 탄소 저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12년부터 디자인, 신소재 적용, 정밀시공기법 등 모듈러 건축에 대한 연구개발 및 시공 역량 확보를 위해 노력해 왔다. 현재까지 건설신기술 1건과 특허 11건을 획득했으며, 서울주택도시공사(SH),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기관과의 공동연구 및 다수의 OSC(Off-Site Construction) 국가 R&D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현재는 SH가 발주한 `가리봉 구 시장부지 복합화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모듈러)`를 진행 중이다. 서울 구로구 일대에 174가구 규모의 행복주택을 모듈러 공법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지상 12층 높이로 건설된다.
플랜트사업 현장에 모듈러 공법을 적용하기도 했다. 2021년 11월 완공한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프로젝트 당시, 1.2km의 해상 접안 시설 중 500m에 해당하는 시설을 12개의 모듈로 구성해 6개월 이상의 공기 단축 효과를 얻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 분야에서도 모듈화를 통한 OSC 확대를 추구, 전반적인 사업영역에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외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현재 세계 모듈러 건축시장은 2022년 기준 약 121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약 200조 원 규모로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 및 서울 내 최대 규모 모듈러 주택뿐만 아니라 대형 규모의 플랜트 사업에도 모듈러 공법을 적용하는 등 현대엔지니어링의 모듈러 공법 역량은 높은 수준"이라며 "향후 모듈러사업에서 본격적인 국내 민간시장 확장과 해외사업 진출이 시작되면 연구개발 역량과 건축, 플랜트 사업 등 다방면에서의 현대엔지니어링이 업계를 리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을 준공했다. 모듈러 주택은 주요 구조물과 건축 마감 등을 포함한 모듈러 유닛을 공장에서 선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해 조립해 건설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달 27일 지상 13층 높이의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인 경기 용인시 영덕 경기행복주택(이하 용인영덕 경기행복주택)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이 민간사업자로 참여해 시공한 용인 영덕 경기행복주택사업은 106가구 규모의 중고층 모듈러 주택 실증사업이다.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발주했으며,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국가 R&D사업으로 진행됐다.
그간 「건축법」에 따라 지상 13층 이상 건물은 3시간 이상의 내화 기준(화재 시 버틸 수 있는 시간)을 갖춰야 하는 등의 이유로 국내 모듈러 주택의 높이는 지상 12층에 머물러 있었으나, 용인영덕 경기행복주택이 처음으로 이 한계를 극복했다.
모듈러 주택은 소음, 분진, 폐기물 발생이 적고 공사기간도 30~50%가량 단축할 수 있다. 현장작업이 최소화돼 근로자 안전도 개선과 자재 재활용ㆍ재사용이 가능해 탄소 저감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12년부터 디자인, 신소재 적용, 정밀시공기법 등 모듈러 건축에 대한 연구개발 및 시공 역량 확보를 위해 노력해 왔다. 현재까지 건설신기술 1건과 특허 11건을 획득했으며, 서울주택도시공사(SH),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기관과의 공동연구 및 다수의 OSC(Off-Site Construction) 국가 R&D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현재는 SH가 발주한 `가리봉 구 시장부지 복합화 민간참여 공공주택사업(모듈러)`를 진행 중이다. 서울 구로구 일대에 174가구 규모의 행복주택을 모듈러 공법으로 건설하는 사업으로, 지상 12층 높이로 건설된다.
플랜트사업 현장에 모듈러 공법을 적용하기도 했다. 2021년 11월 완공한 쿠웨이트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프로젝트 당시, 1.2km의 해상 접안 시설 중 500m에 해당하는 시설을 12개의 모듈로 구성해 6개월 이상의 공기 단축 효과를 얻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 분야에서도 모듈화를 통한 OSC 확대를 추구, 전반적인 사업영역에서의 확장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외시장 공략에도 적극 나설 예정이다. 현재 세계 모듈러 건축시장은 2022년 기준 약 121조 원 규모로 추산되며 2030년까지 약 200조 원 규모로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 및 서울 내 최대 규모 모듈러 주택뿐만 아니라 대형 규모의 플랜트 사업에도 모듈러 공법을 적용하는 등 현대엔지니어링의 모듈러 공법 역량은 높은 수준"이라며 "향후 모듈러사업에서 본격적인 국내 민간시장 확장과 해외사업 진출이 시작되면 연구개발 역량과 건축, 플랜트 사업 등 다방면에서의 현대엔지니어링이 업계를 리드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