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염색공단의 발전소, 폐수처리장, 개별 입주업체의 집진기 등에서 배출되는 악취와 대기오염 문제는 공단과 입주업체의 지속적인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왕에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이상 악취 저감시설도 설치해야 하고 대기오염(백연 감소) 문제도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나가야 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이같은 설비를 갖추기 위해서는 막대한 투자 자금이 필요하다.
영세 입주업체들이 자체적으로 부담하기에는 너무 큰 숙제가 아닐 수 없다.
입주업체의 한 관계자는 "말이 관리지 실제 자금을 투입해 설비를 보완하라는 것이 아니겠나, 그럴려면 돈이 들어가야 하는데 염색 경기가 침체돼 자금 압박을 받는 기업들이 한 둘이 아닌데 어떻게 하라는 것인가? 설비 교체에 필요한 자금 지원책을 먼저 마련해 주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상당수 입주업체들은 정부나 대구시가 전기집진기 설치 비용을 90% 지원 해온 것과 마찬가지로 악취저감 및 대기오염 저감 설비 구축에도 적극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다.
대구염색공단은 현재 입주 업체 126곳에서 모두 악취저감을 위한 집진기(활성탄 흡착식 집진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전기식·열촉매 방식 집진기에 비해 악취 제거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수년전부터 이를 교체하고 있다.
전기식·열촉매 방식 집진기는 악취가 섞인 유증기의 90% 이상을 빨아들이는데 비싼 비용 탓에 이를 설치한 업체가 적었다.
전기식·열촉매 방식 집진기는 대당 5억원을 호가하는 고가의 장비여서 대구시와 중앙정부의 자금 지원(90% 지원)을 받아 설치해 오고 있다.
대구염색공단 이전이 순항하더라도 상당기간 현재의 자리에서 공장을 운영해야 하는만큼 악취나 대기정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나 대구시의 적극적인 지원책이 먼저 필요하다 하겠다.
이 뉴스는 투데이포커스(www.todayf.kr) 공유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