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ㆍ이하 국토부)는 이달 9일 각 지자체의 총괄ㆍ공공건축가의 활동을 지원하는 2025년 민간전문가 지원 공모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고 최근 밝혔다.
총괄ㆍ공공건축가는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자체장의 위촉을 받아 주요 도시건축 공간 정책ㆍ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민간 전문가로 공공건축의 품격을 높이고자 2008년 도입됐다.
국토부에 따르면 심사 결과 총괄ㆍ공공건축가 운영 지원사업(각 3000만 원 지원)에는 대전광역시, 경기 광명시, 경남 하동군이 선정됐다. 경북 경주시와 영주시에는 공간환경전략계획 수립을 지원(5000만 원~1억 원)한다.
대전시는 총괄건축가 지원 부서를 시장 직속으로 설치하고, 총괄적인 건축디자인을 먼저 실시한 후 사업기획을 하는 등 `명품건축정책` 자문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광명시는 수도권 교통중심지로 개발압력이 높은 광명시의 특성을 반영해 총괄건축가가 주요 도시개발사업 등 총괄 기획할 예정이다.
하동군은 총괄건축가를 활용해 일관된 건축 비전 아래 공공시설을 설계하고 있으며, 공공건축 사업당 1:1 공공건축가를 매칭해 설계ㆍ시공ㆍ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한다.
경주시는 총괄건축가 지원사업을 통해 `2000년 고도 경주의 부활` 목표 달성을 위한 황촌 한옥마을, 보문단지 `천년건축 시범마을` 등 통합 건축ㆍ도시기획을 진행한다.
영주시는 총괄건축가의 활동과 기초조사를 통해 `영주형 10분 동네`를 위한 공공건축과 서비스 재배치 등 저비용·고효율 도시공간 재편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번 공모는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9일까지 이뤄졌으며, 이달 5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신청 지자체를 종합 심사했다.
국토부는 해당 사업으로 2019년부터 총괄ㆍ공공건축가를 위촉해 운영하는 68개 지자체(광역 10개소ㆍ기초 58개소)를 대상으로 약 38억 원을 지원했으며, 그 결과 현재 전국에 총 1479명의 총괄ㆍ공공건축가가 활동 중이다. 또 2019년부터 전국 47개 지자체(광역 4개소ㆍ기초 43개소)에 약 76억 원을 지원해 지자체의 공간환경전략계획 수립도 돕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총괄ㆍ공공건축가의 손끝에서 시작되는 매년 1000건 이상의 공공건축이 대한민국의 미래건축문화자산이 될 것"이라며 "제3차 경관정책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우리 공공건축을 이끄는 총괄ㆍ공공건축가분들이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실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전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ㆍ이하 국토부)는 이달 9일 각 지자체의 총괄ㆍ공공건축가의 활동을 지원하는 2025년 민간전문가 지원 공모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고 최근 밝혔다.
총괄ㆍ공공건축가는 중앙행정기관 또는 지자체장의 위촉을 받아 주요 도시건축 공간 정책ㆍ전략 수립을 지원하는 민간 전문가로 공공건축의 품격을 높이고자 2008년 도입됐다.
국토부에 따르면 심사 결과 총괄ㆍ공공건축가 운영 지원사업(각 3000만 원 지원)에는 대전광역시, 경기 광명시, 경남 하동군이 선정됐다. 경북 경주시와 영주시에는 공간환경전략계획 수립을 지원(5000만 원~1억 원)한다.
대전시는 총괄건축가 지원 부서를 시장 직속으로 설치하고, 총괄적인 건축디자인을 먼저 실시한 후 사업기획을 하는 등 `명품건축정책` 자문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광명시는 수도권 교통중심지로 개발압력이 높은 광명시의 특성을 반영해 총괄건축가가 주요 도시개발사업 등 총괄 기획할 예정이다.
하동군은 총괄건축가를 활용해 일관된 건축 비전 아래 공공시설을 설계하고 있으며, 공공건축 사업당 1:1 공공건축가를 매칭해 설계ㆍ시공ㆍ품질관리에 만전을 기한다.
경주시는 총괄건축가 지원사업을 통해 `2000년 고도 경주의 부활` 목표 달성을 위한 황촌 한옥마을, 보문단지 `천년건축 시범마을` 등 통합 건축ㆍ도시기획을 진행한다.
영주시는 총괄건축가의 활동과 기초조사를 통해 `영주형 10분 동네`를 위한 공공건축과 서비스 재배치 등 저비용·고효율 도시공간 재편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번 공모는 지난 10월 29일부터 11월 29일까지 이뤄졌으며, 이달 5일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가 신청 지자체를 종합 심사했다.
국토부는 해당 사업으로 2019년부터 총괄ㆍ공공건축가를 위촉해 운영하는 68개 지자체(광역 10개소ㆍ기초 58개소)를 대상으로 약 38억 원을 지원했으며, 그 결과 현재 전국에 총 1479명의 총괄ㆍ공공건축가가 활동 중이다. 또 2019년부터 전국 47개 지자체(광역 4개소ㆍ기초 43개소)에 약 76억 원을 지원해 지자체의 공간환경전략계획 수립도 돕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총괄ㆍ공공건축가의 손끝에서 시작되는 매년 1000건 이상의 공공건축이 대한민국의 미래건축문화자산이 될 것"이라며 "제3차 경관정책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우리 공공건축을 이끄는 총괄ㆍ공공건축가분들이 최고의 역량을 발휘하실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라고 전했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