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경기도가 2040년까지 도내 공공주택ㆍ택지지구 등 신축 아파트 80만 가구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활용, 에너지 거래,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전기ㆍ냉난방비 등 관리비를 대폭 절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김동연 도지사는 이달 11일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예비인증을 획득한 화성 동탄2 A93블록 장기전세주택 현장에서 이 같은 내용의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을 발표했다.
김 도지사는 "기술의 발달로 신재생에너지 효율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주거와 실생활에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면 관리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AI와 기후테크를 통해 유지관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 에너지 수익까지 더하면 명실상부한 관리비 제로를 실현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관리비 제로 아파트 계획은 4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공용 전기비용 제로화`다. 2026년까지 신축아파트 18만2000가구에 공용 전기비를 제로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아파트 단지 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주차장 조명, 가로등, 엘리베이터, 경비실, 관리사무소 등의 공용 전기를 자체적으로 제공한다. 건물 일체형 태양광, AI 태양광 시스템 등의 개발을 통해 제로 전기를 아파트 표준모델로 개발해 선도적으로 적용한다는 빙침이다.
2단계는 `총 전기 비용 제로화`로 2030년까지 신축 아파트 40만4000가구를 대상으,로 공용 전기뿐 아니라 가정용 전기료까지 제로로 만든다. 고효율 건물 일체형 태양광, 지능형 태양광 시스템 등을 확대 보급해 가구 내 전기까지 태양광 전력으로 충당하고, `경기기후플랫폼`을 고도화해 RE100 추진 기업과 재생에너지 인증서 거래를 활성화해 늘어난 발전량과 수익을 모두 전기료를 줄이는 데 사용한다.
3단계 `에너지비용 제로화`는 2040년까지 신축 아파트 21만7000가구를 대상으로 전기료는 물론 냉난방 비용까지 제로화하는 내용이다. 태양광과 함께 하수, 폐수, 유출 지하수 등 버려지던 수열 에너지원도 적극 활용하고, AI에너지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재생에너지의 생산, 소비, 저장 등 전 과정을 최적화한다. 아파트 단지에서 자체 생산한 에너지와 재생에너지 거래수익을 늘려 에너지 비용 부담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4단계는 관리비 제로화는 AI 관리 시스템, 로봇 등을 아파트 관리에 접목해 청소, 수리, 경비 등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한다. 관리시스템이 사용하는 에너지도 아파트 단지에서 자체 생산한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
김 도지사는 "관리비 제로 아파트는 모두의 나라, 내 삶의 선진국을 실현하는 아파트다. 단순한 생활비 절감을 넘어 에너지 자립, 2050 탄소중립실현, 미래 먹거리 창출 등 국가적 과제의 실천과도 맞닿아 있다"며 "관리비 제로 아파트는 나를 위해, 우리를 위해,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도는 에너지비용 제로 아파트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수자원공사와 하남교산지구 `수열ㆍ태양광 활용 에너지비용 제로아파트`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범사업은 GH가 추진하는 하남교산지구 내 임대주택 604가구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 수열ㆍ태양광 활용 제로아파트를 도입한다. 광역상수원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냉ㆍ난방을 실시해 에너지비용의 50%를 절감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에너지비용의 50%를 생산한다. 해당 아파트는 2029년 준공 예정이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경기도가 2040년까지 도내 공공주택ㆍ택지지구 등 신축 아파트 80만 가구를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활용, 에너지 거래,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전기ㆍ냉난방비 등 관리비를 대폭 절감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김동연 도지사는 이달 11일 제로에너지건축물 5등급 예비인증을 획득한 화성 동탄2 A93블록 장기전세주택 현장에서 이 같은 내용의 `관리비 제로 아파트 비전`을 발표했다.
김 도지사는 "기술의 발달로 신재생에너지 효율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주거와 실생활에 신재생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면 관리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AI와 기후테크를 통해 유지관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여기에 에너지 수익까지 더하면 명실상부한 관리비 제로를 실현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관리비 제로 아파트 계획은 4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공용 전기비용 제로화`다. 2026년까지 신축아파트 18만2000가구에 공용 전기비를 제로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아파트 단지 내 태양광 발전을 통해 주차장 조명, 가로등, 엘리베이터, 경비실, 관리사무소 등의 공용 전기를 자체적으로 제공한다. 건물 일체형 태양광, AI 태양광 시스템 등의 개발을 통해 제로 전기를 아파트 표준모델로 개발해 선도적으로 적용한다는 빙침이다.
2단계는 `총 전기 비용 제로화`로 2030년까지 신축 아파트 40만4000가구를 대상으,로 공용 전기뿐 아니라 가정용 전기료까지 제로로 만든다. 고효율 건물 일체형 태양광, 지능형 태양광 시스템 등을 확대 보급해 가구 내 전기까지 태양광 전력으로 충당하고, `경기기후플랫폼`을 고도화해 RE100 추진 기업과 재생에너지 인증서 거래를 활성화해 늘어난 발전량과 수익을 모두 전기료를 줄이는 데 사용한다.
3단계 `에너지비용 제로화`는 2040년까지 신축 아파트 21만7000가구를 대상으로 전기료는 물론 냉난방 비용까지 제로화하는 내용이다. 태양광과 함께 하수, 폐수, 유출 지하수 등 버려지던 수열 에너지원도 적극 활용하고, AI에너지관리시스템을 도입해 재생에너지의 생산, 소비, 저장 등 전 과정을 최적화한다. 아파트 단지에서 자체 생산한 에너지와 재생에너지 거래수익을 늘려 에너지 비용 부담을 줄여나갈 방침이다.
4단계는 관리비 제로화는 AI 관리 시스템, 로봇 등을 아파트 관리에 접목해 청소, 수리, 경비 등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한다. 관리시스템이 사용하는 에너지도 아파트 단지에서 자체 생산한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
김 도지사는 "관리비 제로 아파트는 모두의 나라, 내 삶의 선진국을 실현하는 아파트다. 단순한 생활비 절감을 넘어 에너지 자립, 2050 탄소중립실현, 미래 먹거리 창출 등 국가적 과제의 실천과도 맞닿아 있다"며 "관리비 제로 아파트는 나를 위해, 우리를 위해,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가야 할 길"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도는 에너지비용 제로 아파트 시범사업 추진을 위해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수자원공사와 하남교산지구 `수열ㆍ태양광 활용 에너지비용 제로아파트`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범사업은 GH가 추진하는 하남교산지구 내 임대주택 604가구를 대상으로 국내 최초 수열ㆍ태양광 활용 제로아파트를 도입한다. 광역상수원 수열에너지를 활용한 냉ㆍ난방을 실시해 에너지비용의 50%를 절감하고,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에너지비용의 50%를 생산한다. 해당 아파트는 2029년 준공 예정이다.
ⓒ AU경제(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