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공사비 증액으로 시공자와 조합 간 갈등을 겪어왔던 노량진6구역이 6개월 만에 합의를 마무리하고 조만간 공사에 들어갈 전망이다.
서울시는 이달 2일 노량진6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증액 조정이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당초 노량진6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자가 설계 변경ㆍ연면적 증가 등에 922억 원, 물가 인상과 금융 비용 1272억 원 등 총 2194억 원 증액을 요구하면서 조합과의 갈등이 심화돼 착공이 상당 기간 지연될 우려에 놓여있었다. 이에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노량진6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시ㆍ자치구ㆍ조합ㆍ시공자가 참여하는 조정 및 중재 회의를 지속해 왔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재개발ㆍ재건축 등 정비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중재하는 민간 전문가(건축ㆍ도시계획ㆍ법률 등)를 말한다.
시는 최초 증액 요청액 2194억 원, 마감재 변경과 특화 부분에 대한 추가 요청액 219억 원을 모두 검토해 1976억 원 규모의 중재안을 제시했고, 이후 지난 4월 29일 최종 합의안을 마련했다. 조합은 지난 5월 31일 시공사 도급 계약 변경안을 의결했다.
시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분쟁으로 인한 착공 지연 문제를 해소한 첫 번째 사례라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올해 노량진6구역을 포함해 대조1구역, 신반포4지구 등 3개 구역에서 공사비 분쟁 합의를 이뤄냈으며, 현재 노량진8구역, 월계동 487-17 등 5개 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분쟁 조정ㆍ중재를 진행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사업 지연, 조합원 부담을 크게 만드는 정비사업 공사비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량진6구역 재개발사업은 동작구 등용로4길 78(노량진동) 일대 7만2822㎡를 대상으로 지하 4층~지상 28층 공동주택 14개동 1499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짓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시공은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맡았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공사비 증액으로 시공자와 조합 간 갈등을 겪어왔던 노량진6구역이 6개월 만에 합의를 마무리하고 조만간 공사에 들어갈 전망이다.
서울시는 이달 2일 노량진6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증액 조정이 합의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당초 노량진6구역 재개발사업은 시공자가 설계 변경ㆍ연면적 증가 등에 922억 원, 물가 인상과 금융 비용 1272억 원 등 총 2194억 원 증액을 요구하면서 조합과의 갈등이 심화돼 착공이 상당 기간 지연될 우려에 놓여있었다. 이에 시는 지난해 10월부터 노량진6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시ㆍ자치구ㆍ조합ㆍ시공자가 참여하는 조정 및 중재 회의를 지속해 왔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재개발ㆍ재건축 등 정비사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중재하는 민간 전문가(건축ㆍ도시계획ㆍ법률 등)를 말한다.
시는 최초 증액 요청액 2194억 원, 마감재 변경과 특화 부분에 대한 추가 요청액 219억 원을 모두 검토해 1976억 원 규모의 중재안을 제시했고, 이후 지난 4월 29일 최종 합의안을 마련했다. 조합은 지난 5월 31일 시공사 도급 계약 변경안을 의결했다.
시는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분쟁으로 인한 착공 지연 문제를 해소한 첫 번째 사례라고 설명했다.
앞서 시는 올해 노량진6구역을 포함해 대조1구역, 신반포4지구 등 3개 구역에서 공사비 분쟁 합의를 이뤄냈으며, 현재 노량진8구역, 월계동 487-17 등 5개 구역에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파견해 공사비 분쟁 조정ㆍ중재를 진행 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사업 지연, 조합원 부담을 크게 만드는 정비사업 공사비 갈등을 사전에 예방하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노량진6구역 재개발사업은 동작구 등용로4길 78(노량진동) 일대 7만2822㎡를 대상으로 지하 4층~지상 28층 공동주택 14개동 1499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짓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시공은 GS건설과 SK에코플랜트가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