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서남권 대표 산업거점인 G밸리(옛 구로공단)의 배후 주거지이자 노후 주택이 밀집한 금천구 독산ㆍ시흥동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44만 ㎡의 대규모 도시정비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다음 달(8월) 착수 에정인 독산동 380 일대 재개발을 제외하고 공동주택 약 7300가구(인근 모아타운 포함 약 1만 가구) 등이 건립된다.
이달 9일 서울시는 독산로변 시흥로 810 일대(시흥1구역 재개발)를 시작으로 시흥대로 동측과 독산로 일대 총 5곳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수립ㆍ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동서 지역 간 연계 강화를 위한 도로 등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도시 활력을 서측에서 동측으로 확산시키고 지역 내 개발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시흥대로 동측 독산ㆍ시흥동 일대는 오랜 기간 개발이 정체된 노후 저층 주거지로 도로, 공원, 주차장 등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주거환경이 열악해 주민 불편이 제기돼 왔다. 또 시흥대로와 독산로 등 남북 축을 중심으로 도시구조가 형성되면서 동서 간 연결이 단절되고, 시흥대로 서측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돼 반대편인 동측과 독산로 일대는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소외됐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지역 첫 신속통합기획 대상지인 시흥1구역 재개발은 2023년 4월 신속통합기획이 완료되고 지난해 7월 구역 지정을 마쳤다. 금천구 독산로32나길 32(시흥4동) 일원 6만8201.6㎡를 대상으로 한 이곳에는 지상 최고 35층 공동주택 1100가구 규모가 들어서며, 개별 단지 주거환경 개선뿐 아니라 열악한 독산로변 가로 정비, 지역에 필요한 공공청사ㆍ체육시설 확충 등이 추진된다.
시흥동 871 일대 재개발은 2023년 12월 신속통합기획이 완료됐으며 올해 1월 구역 지정됐다. 지상 최고 45층 내외 공동주택 2000가구 규모 단지가 조성되며, 연접한 모아타운과 연계해 시흥대로~독산로간 동서도로 확장 등 지역 접근성 개선 위한 도시정비사업이 추진된다.
시는 이달 독산동 1036ㆍ1072 일대 재개발 2곳의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하면서 독산ㆍ시흥동 일대 약 32만 ㎡(4곳ㆍ7300가구 내외)에 대한 통합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 신속통합기획안이 확정된 독산동 1036ㆍ1072 일대에는 각각 공동주택 2100가구, 총 4200가구를 공급하고 2곳의 신속통합기획을 동시에 추진해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우선 시흥대로~독산로를 잇는 동서 도로(폭 20m)를 신설해 지역 내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폭 4~6m인 주변 도로를 넓히고 보차를 분리하는 등 교통 편의성을 높인다. 또 자녀, 부모 등 3대를 아우르는 세대 맞춤형 생활 인프라를 확충한다. 독산초와 연접한 기존 공원은 스쿨파크(학교연계 공원ㆍ독산동 1036)로 확대 조성하고 공원 소외지역을 고려해 새로 설치하는 공원(독산동 1072)은 분산 배치했다.
저출산ㆍ초고령 사회에 대비해 아동복지시설(독산동 1072)과 노인돌봄시설(독산동 1036)을 계획해 부모와 자녀가 함께 누리는 `3대 거주형 주거 단지`를 조성한다는 구상도 전했다. 아동ㆍ노인복지시설은 주민 이용 편의성과 접근성을 고려해 대상지 남측 시흥동 871 일대에 계획한 사회복지시설과 독산2동주민센터와 연계해 배치할 계획이다.
통학로, 출퇴근 동선 등 기존 보행이 끊어지지 않도록 공공보행통로와 보도, 광폭 횡단보도 등을 적절히 배치한다. 경사나 단차로 불편했던 구간에는 엘리베이터와 경사로 등을 설치해 보행약자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용도지역을 제2종(7층 이하)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최대 2단계 상향하고 지상 최고 40층의 탄력적인 높이 계획 등 유연한 도시계획을 적용했다. 또한 `2030 서울시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 등 사업 지원 방안도 적극 도입한다.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 시흥대로~독산로~목골산으로 이어지는 열린 통경축을 확보하고, 학교ㆍ주거지ㆍ인접 개발지 등과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도 계획했다.
시는 독산동 1036ㆍ독산로 1072 일대 재개발의 연내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정비계획이 빠르게 수립되도록 앞으로 적극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독산ㆍ시흥동 일대는 기획 초기부터 생활권 단위의 기반시설 확충에 초점을 두고 지역맞춤형 통합 정비계획을 수립한 사례"라며 "오랜 기간 개발에서 소외돼 불편을 겪어온 주민들을 위해 후속 절차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서남권 대표 산업거점인 G밸리(옛 구로공단)의 배후 주거지이자 노후 주택이 밀집한 금천구 독산ㆍ시흥동 일대가 신속통합기획을 통해 44만 ㎡의 대규모 도시정비사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다음 달(8월) 착수 에정인 독산동 380 일대 재개발을 제외하고 공동주택 약 7300가구(인근 모아타운 포함 약 1만 가구) 등이 건립된다.
이달 9일 서울시는 독산로변 시흥로 810 일대(시흥1구역 재개발)를 시작으로 시흥대로 동측과 독산로 일대 총 5곳에 대한 신속통합기획을 수립ㆍ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동서 지역 간 연계 강화를 위한 도로 등 기반시설 정비를 통해 도시 활력을 서측에서 동측으로 확산시키고 지역 내 개발 불균형을 해소한다는 취지다.
시흥대로 동측 독산ㆍ시흥동 일대는 오랜 기간 개발이 정체된 노후 저층 주거지로 도로, 공원, 주차장 등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주거환경이 열악해 주민 불편이 제기돼 왔다. 또 시흥대로와 독산로 등 남북 축을 중심으로 도시구조가 형성되면서 동서 간 연결이 단절되고, 시흥대로 서측을 중심으로 개발이 진행돼 반대편인 동측과 독산로 일대는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소외됐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지역 첫 신속통합기획 대상지인 시흥1구역 재개발은 2023년 4월 신속통합기획이 완료되고 지난해 7월 구역 지정을 마쳤다. 금천구 독산로32나길 32(시흥4동) 일원 6만8201.6㎡를 대상으로 한 이곳에는 지상 최고 35층 공동주택 1100가구 규모가 들어서며, 개별 단지 주거환경 개선뿐 아니라 열악한 독산로변 가로 정비, 지역에 필요한 공공청사ㆍ체육시설 확충 등이 추진된다.
시흥동 871 일대 재개발은 2023년 12월 신속통합기획이 완료됐으며 올해 1월 구역 지정됐다. 지상 최고 45층 내외 공동주택 2000가구 규모 단지가 조성되며, 연접한 모아타운과 연계해 시흥대로~독산로간 동서도로 확장 등 지역 접근성 개선 위한 도시정비사업이 추진된다.
시는 이달 독산동 1036ㆍ1072 일대 재개발 2곳의 신속통합기획을 확정하면서 독산ㆍ시흥동 일대 약 32만 ㎡(4곳ㆍ7300가구 내외)에 대한 통합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 신속통합기획안이 확정된 독산동 1036ㆍ1072 일대에는 각각 공동주택 2100가구, 총 4200가구를 공급하고 2곳의 신속통합기획을 동시에 추진해 기반시설을 확충한다.
우선 시흥대로~독산로를 잇는 동서 도로(폭 20m)를 신설해 지역 내 접근성을 높이는 한편, 폭 4~6m인 주변 도로를 넓히고 보차를 분리하는 등 교통 편의성을 높인다. 또 자녀, 부모 등 3대를 아우르는 세대 맞춤형 생활 인프라를 확충한다. 독산초와 연접한 기존 공원은 스쿨파크(학교연계 공원ㆍ독산동 1036)로 확대 조성하고 공원 소외지역을 고려해 새로 설치하는 공원(독산동 1072)은 분산 배치했다.
저출산ㆍ초고령 사회에 대비해 아동복지시설(독산동 1072)과 노인돌봄시설(독산동 1036)을 계획해 부모와 자녀가 함께 누리는 `3대 거주형 주거 단지`를 조성한다는 구상도 전했다. 아동ㆍ노인복지시설은 주민 이용 편의성과 접근성을 고려해 대상지 남측 시흥동 871 일대에 계획한 사회복지시설과 독산2동주민센터와 연계해 배치할 계획이다.
통학로, 출퇴근 동선 등 기존 보행이 끊어지지 않도록 공공보행통로와 보도, 광폭 횡단보도 등을 적절히 배치한다. 경사나 단차로 불편했던 구간에는 엘리베이터와 경사로 등을 설치해 보행약자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계획했다.
용도지역을 제2종(7층 이하)일반주거지역에서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최대 2단계 상향하고 지상 최고 40층의 탄력적인 높이 계획 등 유연한 도시계획을 적용했다. 또한 `2030 서울시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 등 사업 지원 방안도 적극 도입한다.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 경관을 조성하기 위해 시흥대로~독산로~목골산으로 이어지는 열린 통경축을 확보하고, 학교ㆍ주거지ㆍ인접 개발지 등과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도 계획했다.
시는 독산동 1036ㆍ독산로 1072 일대 재개발의 연내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정비계획이 빠르게 수립되도록 앞으로 적극 지원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독산ㆍ시흥동 일대는 기획 초기부터 생활권 단위의 기반시설 확충에 초점을 두고 지역맞춤형 통합 정비계획을 수립한 사례"라며 "오랜 기간 개발에서 소외돼 불편을 겪어온 주민들을 위해 후속 절차도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