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김진원 기자]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이 자택 변기 수리와 쓰레기 처리를 보좌진에게 지시했다는 의혹이 일며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장관 자격 미달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다수 언론 보도에 따르면 강선우 후보자는 보좌진에게 "집 변기에 물이 새니 살펴봐 달라"고 요청했고, 보좌진은 "수리를 마쳤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강 후보자는 "집이 물바다가 됐다는 설명만 했다"면서 "가사도우미가 있기 때문에 보좌진에게 집안일을 시킨 적은 없다"고 해명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문자 메시지 내용이 공개되면서 강 후보자가 사실상 거짓 해명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 공분을 사는 점은 아무리 국회의원이라 하더라도 보좌진에게 자신의 집 변기 수리나 쓰레기 분리수거를 부탁할 수 있는 윤리의식과 그의 행태에 대한 지적이 크다.
여기에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했느냐는 위법적 요소마저 있어 당분간 논란이 사그라들기는 쉽지 않은 모양새다. 특히 현재 거론되는 이슈들은 직장 내 괴롭힘 매뉴얼에도 명시된 명백한 부당한 지시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국회의원은 공직자이자 국비로 급여를 받는 보좌진을 관리하는 자리다. 이들을 집안일에 동원하는 것이 정당한 직무지시일 수는 없다.
우려스러운 것은 이 같은 지시가 반복됐을 가능성이다. 국회 보좌진 익명 커뮤니티에는 이미 지난해 "자신의 집 쓰레기도 수행비서에게 분리수거 시킨다"는 폭로성 게시글이 올라온 바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 충격적인 점은 강 후보자가 2020년 국회 입성 이후 5년간 무려 51명을 임용하고, 46명을 면직했다는 사실이다. 보좌진의 면직 건수가 매우 상식 밖이다. 기본적으로 9명의 정원이 고정인 국회의원실에서 연평균 9명 이상이 퇴사했다는 건 매우 이례적인 수치다. 직장문화나 리더십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방증일 수밖에 없다.
또 하나, 강 후보자는 과거 간호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과 직장 내 괴롭힘 방지를 골자로 한 이른 바 `태움 방지법`을 대표발의 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정부와 여당에 묻고 싶다.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인사가 여성가족부 수장으로서 젠더 갈등을 조율하고, 약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제대로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모든 의혹은 청문회를 통해 소명하겠다는 것이 강 후보자 측 입장일지는 몰라도 `변기 수리` 해명 하나조차 번복된 마당에, 과연 그 해명이 국민적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아유경제=김진원 기자]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더불어민주당 강선우 의원이 자택 변기 수리와 쓰레기 처리를 보좌진에게 지시했다는 의혹이 일며 파문이 일고 있는 가운데 장관 자격 미달이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다수 언론 보도에 따르면 강선우 후보자는 보좌진에게 "집 변기에 물이 새니 살펴봐 달라"고 요청했고, 보좌진은 "수리를 마쳤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강 후보자는 "집이 물바다가 됐다는 설명만 했다"면서 "가사도우미가 있기 때문에 보좌진에게 집안일을 시킨 적은 없다"고 해명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문자 메시지 내용이 공개되면서 강 후보자가 사실상 거짓 해명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 공분을 사는 점은 아무리 국회의원이라 하더라도 보좌진에게 자신의 집 변기 수리나 쓰레기 분리수거를 부탁할 수 있는 윤리의식과 그의 행태에 대한 지적이 크다.
여기에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했느냐는 위법적 요소마저 있어 당분간 논란이 사그라들기는 쉽지 않은 모양새다. 특히 현재 거론되는 이슈들은 직장 내 괴롭힘 매뉴얼에도 명시된 명백한 부당한 지시라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국회의원은 공직자이자 국비로 급여를 받는 보좌진을 관리하는 자리다. 이들을 집안일에 동원하는 것이 정당한 직무지시일 수는 없다.
우려스러운 것은 이 같은 지시가 반복됐을 가능성이다. 국회 보좌진 익명 커뮤니티에는 이미 지난해 "자신의 집 쓰레기도 수행비서에게 분리수거 시킨다"는 폭로성 게시글이 올라온 바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 충격적인 점은 강 후보자가 2020년 국회 입성 이후 5년간 무려 51명을 임용하고, 46명을 면직했다는 사실이다. 보좌진의 면직 건수가 매우 상식 밖이다. 기본적으로 9명의 정원이 고정인 국회의원실에서 연평균 9명 이상이 퇴사했다는 건 매우 이례적인 수치다. 직장문화나 리더십에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방증일 수밖에 없다.
또 하나, 강 후보자는 과거 간호사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과 직장 내 괴롭힘 방지를 골자로 한 이른 바 `태움 방지법`을 대표발의 한 바 있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갑질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정부와 여당에 묻고 싶다.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인사가 여성가족부 수장으로서 젠더 갈등을 조율하고, 약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제대로 펼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모든 의혹은 청문회를 통해 소명하겠다는 것이 강 후보자 측 입장일지는 몰라도 `변기 수리` 해명 하나조차 번복된 마당에, 과연 그 해명이 국민적 신뢰를 얻을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