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노후화된 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는 서울 동작구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이 한강 조망이 가능한 아파트 1080가구 규모 주거 단지로 건립된다.
최근 서울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본동구역 주택정비형 공공재개발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동작구 노량진로 256(본동) 일원 5만1696㎡를 대상으로 한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은 공동주택 1080가구(임대 252가구) 주거 단지가 들어서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대상지는 가파른 골목길이 많아 보행이 어렵고 노후한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곳으로, 시 `2030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받아 분양 가구수가 기존 750가구에서 828가구로 78가구가 늘었다.
아울러 정비계획(안)에는 ▲지형의 고저차를 극복하는 지형순응형 단지 조성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적정밀도 확보 ▲열린 커뮤니티 단지 조성 ▲주변 공원을 연결하는 생태녹지축 조성 등이 담겼다.
시는 고저차가 큰 구릉지라는 대상지 특성을 반영해 고층동은 저지대에, 저층동은 구릉지에 각각 배치해 자연스러운 도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한강 조망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하철 9호선 노들역에서 정비구역 반대편까지 연결되는 직선형 통경축을 통해 도심과 한강, 용양봉저정공원까지 이어지는 개방감 있는 경관을 조성한다.
어린이공원, 단지 내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보행자 전용길(공공보행통로), 어르신 돌봄시설(데이케어센터) 등 생활에 필요한 공공시설도 새로 짓는다.
본동구역은 2021년 3월 공공재개발 1차 후보지로 선정된 후, 기획ㆍ공람ㆍ심의를 거쳐 기존 제1종일반주거지역과 제2종(7층)일반주거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과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이 이번 정비계획을 통해 도시 경관 회복과 공공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노후화된 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는 서울 동작구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이 한강 조망이 가능한 아파트 1080가구 규모 주거 단지로 건립된다.
최근 서울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본동구역 주택정비형 공공재개발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동작구 노량진로 256(본동) 일원 5만1696㎡를 대상으로 한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은 공동주택 1080가구(임대 252가구) 주거 단지가 들어서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대상지는 가파른 골목길이 많아 보행이 어렵고 노후한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곳으로, 시 `2030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받아 분양 가구수가 기존 750가구에서 828가구로 78가구가 늘었다.
아울러 정비계획(안)에는 ▲지형의 고저차를 극복하는 지형순응형 단지 조성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적정밀도 확보 ▲열린 커뮤니티 단지 조성 ▲주변 공원을 연결하는 생태녹지축 조성 등이 담겼다.
시는 고저차가 큰 구릉지라는 대상지 특성을 반영해 고층동은 저지대에, 저층동은 구릉지에 각각 배치해 자연스러운 도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한강 조망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하철 9호선 노들역에서 정비구역 반대편까지 연결되는 직선형 통경축을 통해 도심과 한강, 용양봉저정공원까지 이어지는 개방감 있는 경관을 조성한다.
어린이공원, 단지 내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보행자 전용길(공공보행통로), 어르신 돌봄시설(데이케어센터) 등 생활에 필요한 공공시설도 새로 짓는다.
본동구역은 2021년 3월 공공재개발 1차 후보지로 선정된 후, 기획ㆍ공람ㆍ심의를 거쳐 기존 제1종일반주거지역과 제2종(7층)일반주거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과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이 이번 정비계획을 통해 도시 경관 회복과 공공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