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경기도는 오는 10월까지 도내 공공입찰 실태조사 정책 운영에 대한 자체 분석과 진단을 실시한다고 이달 28일 밝혔다.
공공입찰 실태조사제도는 도와 도내 산하 공공기관이 발주한 건설공사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전점검제도로 2019년부터 도입됐다. 자격 미달 업체가 공공발주 공사에 응찰할 경우 낙찰 배제뿐 아니라 영업정지 또는 등록말소 등 행정 처분을 실시한다.
지난 6년간 약 2000여 곳 건설사업자의 등록기준 등을 조사해 약 700여 개소를 관련 규정 위반으로 적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2021년부터 계속 감소 추세였던 적발률이 지난해 재상승하는 결과가 나와 그간의 실적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연구과제로 선정, 직접 수행하게 됐다고 도는 설명했다.
연구과제에는 위반 내용 분석과 재발 방지 방안, 적발률 저감 대책,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실태조사 확대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연구는 실무 담당 공무원이 팀을 구성해 진행하며, 건설산업, 정책, 기술 분야 전문 연구원이 자문에 참여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정책 운영 개선안 연구 수행은 효율적 실태조사와 위반 업체의 인식 개선을 위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라며 "건설사업자의 건실한 운영과 도의 공정한 기회 제공이 공공사업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경기도는 오는 10월까지 도내 공공입찰 실태조사 정책 운영에 대한 자체 분석과 진단을 실시한다고 이달 28일 밝혔다.
공공입찰 실태조사제도는 도와 도내 산하 공공기관이 발주한 건설공사 입찰에 참여한 건설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전점검제도로 2019년부터 도입됐다. 자격 미달 업체가 공공발주 공사에 응찰할 경우 낙찰 배제뿐 아니라 영업정지 또는 등록말소 등 행정 처분을 실시한다.
지난 6년간 약 2000여 곳 건설사업자의 등록기준 등을 조사해 약 700여 개소를 관련 규정 위반으로 적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2021년부터 계속 감소 추세였던 적발률이 지난해 재상승하는 결과가 나와 그간의 실적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연구과제로 선정, 직접 수행하게 됐다고 도는 설명했다.
연구과제에는 위반 내용 분석과 재발 방지 방안, 적발률 저감 대책,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을 활용한 실태조사 확대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연구는 실무 담당 공무원이 팀을 구성해 진행하며, 건설산업, 정책, 기술 분야 전문 연구원이 자문에 참여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정책 운영 개선안 연구 수행은 효율적 실태조사와 위반 업체의 인식 개선을 위한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라며 "건설사업자의 건실한 운영과 도의 공정한 기회 제공이 공공사업의 안전과 품질을 보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