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오는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상호적이지 않다"는 이유를 달았다.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던 25% 관세율은 유지한 채 부과 시점을 뒤로 미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각국(한국, 일본 등)의 무역 관련 서한에서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겨우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일본에는 당초 24%에서 1% 올려 25%로 통보했다.
이 서한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했다.
관세율 25%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호관세 25%와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뒤 한국에는 지금까지 기본관세 10%만 부과한 상태로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는데, 앞으로 한-미간에 새로운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로 8월 1일이 되면 원래대로 25%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90일 유예 기간 내 협상 타결이 어렵다는 점을 설명하며 유예 기간 연장을 요청해왔는데 이번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계속 협상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오는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의 무역 관계가 상호적이지 않다"는 이유를 달았다.
9일부터 적용될 예정이었던 25% 관세율은 유지한 채 부과 시점을 뒤로 미뤘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공개한 각국(한국, 일본 등)의 무역 관련 서한에서 "2025년 8월 1일부터 우리는 미국으로 보낸 모든 한국산 제품에 겨우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며 이 관세는 모든 품목별 관세와 별도"라고 밝혔다.
일본에는 당초 24%에서 1% 올려 25%로 통보했다.
이 서한은 이재명 대통령을 수신자로 지정했다.
관세율 25%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2일 한국에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상호관세 25%와 같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초 지난 4월 9일 상호관세 부과를 90일 유예한 뒤 한국에는 지금까지 기본관세 10%만 부과한 상태로 무역 협상을 진행해왔는데, 앞으로 한-미간에 새로운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채로 8월 1일이 되면 원래대로 25%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 정부는 90일 유예 기간 내 협상 타결이 어렵다는 점을 설명하며 유예 기간 연장을 요청해왔는데 이번 서한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과 계속 협상하겠다는 입장을 시사했다.
이 뉴스는 투데이포커스(www.todayf.kr) 공유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