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4개월 연속 상승하던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하락 전환했다. 특히 수도권이 30p 이상 떨어지며 하락세를 이끌었다. `6ㆍ27 부동산 대책`에 이어 추가 대출 규제에 대한 경계 심리가 작용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국 평균 21.9p 하락한 75.1로 집계됐다. 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분양 전망이 긍정적, 100 미만이면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수도권은 81.4로 전월(113.9)보다 32.5p 하락했고 비수도권은 73.7로 전월(93.4)보다 19.7p 내렸다.
수도권 중 서울(121.2→88.6), 경기(112.1→78.8), 인천(108.3→76.9)은 전월 대비 각각 32.6p, 33.3p, 31.4p 내리며 큰 하락 폭을 보였다.
주산연 관계자는 "`6ㆍ27 부동산 대책`의 영향과 추가 대출 규제에 대한 경계 심리로 아파트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분양시장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비수도권 역시 모든 지역에서 하락했다. ▲경북 42.9p(100→57.1) ▲전남 31.7p(91.7→60) ▲충북 30p(80→50) ▲경남 25p(100→75) ▲강원 24.2p(90.9→66.7) ▲대전 21.4p(100→78.6) ▲전북 18.2p(100→81.8) ▲제주 17.6p(88.2→70.6) ▲충남 14.3p(100→85.7) ▲세종14.3p(92.9→78.6) ▲울산 13.4p(86.7→73.3) ▲대구 12.9p(94.7→81.8) ▲광주 6.6p(93.3→86.7) ▲부산 2.5p(88.9→86.4) 순으로 내렸다.
비수도권 역시 수도권의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부동산시장이 경색되고 있고, 향후 추가적인 주택시장 규제 시행 가능성을 염려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과거 정권들에서 강력한 수요 억제 정책들이 3~6개월 단기 하락 이후 다시 반등해 왔던 전례를 살펴봤을 때 단기적인 대출 규제뿐 아니라 주택 공급 대책이 필요하다"며 "주택 공급 확대 효과가 지연될 경우 규제에 따른 사업자들의 부정적인 전망으로 오히려 공급이 감소돼 집값 상승폭이 더 커질 수 있다"라고 밝혔다.
올해 8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115.9) 대비 15.9p 하락한 100으로 전망됐다. 대출 규제로 인한 수요 위축과 신규 주택 건설 물량 감소로 원자재와 인력 수요가 감소하며 원가가 하락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103.1) 대비 25.8p 내린 77.3,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92.2)보다 4.8p 오른 97로 각각 집계됐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4개월 연속 상승하던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하락 전환했다. 특히 수도권이 30p 이상 떨어지며 하락세를 이끌었다. `6ㆍ27 부동산 대책`에 이어 추가 대출 규제에 대한 경계 심리가 작용한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국 평균 21.9p 하락한 75.1로 집계됐다. 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분양 전망이 긍정적, 100 미만이면 부정적이라는 의미다.
수도권은 81.4로 전월(113.9)보다 32.5p 하락했고 비수도권은 73.7로 전월(93.4)보다 19.7p 내렸다.
수도권 중 서울(121.2→88.6), 경기(112.1→78.8), 인천(108.3→76.9)은 전월 대비 각각 32.6p, 33.3p, 31.4p 내리며 큰 하락 폭을 보였다.
주산연 관계자는 "`6ㆍ27 부동산 대책`의 영향과 추가 대출 규제에 대한 경계 심리로 아파트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되면서 분양시장 전망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비수도권 역시 모든 지역에서 하락했다. ▲경북 42.9p(100→57.1) ▲전남 31.7p(91.7→60) ▲충북 30p(80→50) ▲경남 25p(100→75) ▲강원 24.2p(90.9→66.7) ▲대전 21.4p(100→78.6) ▲전북 18.2p(100→81.8) ▲제주 17.6p(88.2→70.6) ▲충남 14.3p(100→85.7) ▲세종14.3p(92.9→78.6) ▲울산 13.4p(86.7→73.3) ▲대구 12.9p(94.7→81.8) ▲광주 6.6p(93.3→86.7) ▲부산 2.5p(88.9→86.4) 순으로 내렸다.
비수도권 역시 수도권의 강력한 대출 규제 여파로 부동산시장이 경색되고 있고, 향후 추가적인 주택시장 규제 시행 가능성을 염려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과거 정권들에서 강력한 수요 억제 정책들이 3~6개월 단기 하락 이후 다시 반등해 왔던 전례를 살펴봤을 때 단기적인 대출 규제뿐 아니라 주택 공급 대책이 필요하다"며 "주택 공급 확대 효과가 지연될 경우 규제에 따른 사업자들의 부정적인 전망으로 오히려 공급이 감소돼 집값 상승폭이 더 커질 수 있다"라고 밝혔다.
올해 8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115.9) 대비 15.9p 하락한 100으로 전망됐다. 대출 규제로 인한 수요 위축과 신규 주택 건설 물량 감소로 원자재와 인력 수요가 감소하며 원가가 하락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103.1) 대비 25.8p 내린 77.3,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92.2)보다 4.8p 오른 97로 각각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