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올해 2분기 전국 부동산시장은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2개 분기 연속 증가하며 회복세를 이어갔다. 직전 두 분기 내내 100조 원을 밑돌았던 거래금액은 다시 100조 원을 넘어섰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이달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한 `2025년 2분기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라 2분기 전국 부동산 거래량이 29만9197건으로 전분기(25만8372건) 대비 15.8% 늘었다고 밝혔다. 거래금액은 124조6778억 원으로 26%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거래량은 5%, 금액은 22.6% 각각 상승했다.
유형별로는 공장ㆍ창고 등을 제외한 8개 부동산 유형에서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증가했다.
거래량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유형은 상가ㆍ사무실(26.2%)이었으며 연립ㆍ다세대(25.4%), 단독ㆍ다가구(22.7%), 아파트(21%), 상업ㆍ업무용 빌딩(16.1%), 토지(7.1%), 공장ㆍ창고 등(일반)(7.1%), 오피스텔(5.9%) 순으로 나타났다. 거래금액 역시 상가ㆍ사무실이 전분기 대비 54.3% 늘어 1위에 올랐고 공장ㆍ창고 등(일반)(54%), 상업ㆍ업무용 빌딩(42.4%), 연립ㆍ다세대(35.1%), 단독ㆍ다가구(28.1%), 아파트(22.6%), 토지(21.1%), 오피스텔(12.1%) 순으로 뒤를 이었다.
아파트 거래량은 13만9460건, 거래금액은 75조8858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21%, 22.6%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거래량은 14.8%, 거래금액은 29.2% 늘었다.
지역별로는 전남을 제외한 15개 시ㆍ도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 울산(116건ㆍ118.9%), 충남(387건ㆍ110.3%), 경북(324건ㆍ107.7%), 광주(149건ㆍ79.5%), 인천(906건ㆍ65.9%)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거래금액은 전남을 제외한 16개 시ㆍ도에서 증가했으며 울산(596억 원ㆍ454.9%)과 광주(877억 원ㆍ423%)가 특히 두드러졌다.
부동산플래닛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지난 6월 말 주택시장 규제 시행 직전의 거래 시장을 반영한 것"이라며 "향후 분기부터는 규제 영향에 따른 주택 거래 위축 및 비주거 부동산으로의 대체 투자 수요 확대 가능성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올해 2분기 전국 부동산시장은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2개 분기 연속 증가하며 회복세를 이어갔다. 직전 두 분기 내내 100조 원을 밑돌았던 거래금액은 다시 100조 원을 넘어섰다.
상업용 부동산 전문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이달 1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토대로 한 `2025년 2분기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라 2분기 전국 부동산 거래량이 29만9197건으로 전분기(25만8372건) 대비 15.8% 늘었다고 밝혔다. 거래금액은 124조6778억 원으로 26%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거래량은 5%, 금액은 22.6% 각각 상승했다.
유형별로는 공장ㆍ창고 등을 제외한 8개 부동산 유형에서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모두 증가했다.
거래량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유형은 상가ㆍ사무실(26.2%)이었으며 연립ㆍ다세대(25.4%), 단독ㆍ다가구(22.7%), 아파트(21%), 상업ㆍ업무용 빌딩(16.1%), 토지(7.1%), 공장ㆍ창고 등(일반)(7.1%), 오피스텔(5.9%) 순으로 나타났다. 거래금액 역시 상가ㆍ사무실이 전분기 대비 54.3% 늘어 1위에 올랐고 공장ㆍ창고 등(일반)(54%), 상업ㆍ업무용 빌딩(42.4%), 연립ㆍ다세대(35.1%), 단독ㆍ다가구(28.1%), 아파트(22.6%), 토지(21.1%), 오피스텔(12.1%) 순으로 뒤를 이었다.
아파트 거래량은 13만9460건, 거래금액은 75조8858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21%, 22.6% 상승했다. 전년 동기 대비 거래량은 14.8%, 거래금액은 29.2% 늘었다.
지역별로는 전남을 제외한 15개 시ㆍ도에서 거래량이 증가했다. 울산(116건ㆍ118.9%), 충남(387건ㆍ110.3%), 경북(324건ㆍ107.7%), 광주(149건ㆍ79.5%), 인천(906건ㆍ65.9%)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거래금액은 전남을 제외한 16개 시ㆍ도에서 증가했으며 울산(596억 원ㆍ454.9%)과 광주(877억 원ㆍ423%)가 특히 두드러졌다.
부동산플래닛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지난 6월 말 주택시장 규제 시행 직전의 거래 시장을 반영한 것"이라며 "향후 분기부터는 규제 영향에 따른 주택 거래 위축 및 비주거 부동산으로의 대체 투자 수요 확대 가능성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