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뉴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위원장 박영환)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13일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을, 국가교육위원회(국굥ㅟ) 위원장으로 차정인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내정했다. 교육부는 유·초·중등 교육을 포함한 공교육 전체를 책임지는 자리이며,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은 교육의 백년지대계를 설계하는 독립적 중장기 교육정책수립 기구의 수장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코로나 시기 초등 1, 2학년을 대상으로 학급당 학생수 20명 상한을 가장 먼저 도입했다. 또한 교사 정원 감축을 반대했고 수업지원 교사제도를 운영했다. 학교 지원본부를 설립하여 학교 현장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공교육 멈춤의 날에 교사 행동을 지지하고,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제도를 마련했다. AI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반대했으며 학생정신건강센터 설립으로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교육혁신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세종 교육의 민주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최교진 후보자는 현장 교사 출신의 3선 교육감이다. 전교조 2~3대와 6대 전교조 충남지부장과 4대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유·초·중등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해 줄 것을 기대한다는 것이 전교조의 기대다.
2020년에는 제8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으로 취임해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규약 일부개정 △사무국 직제규정 일부 개정 △사무국 조직 개편(2과 1실 20명)을 했다.
차정인 후보자는 총장직선제를 유지해 대학 민주주의를 지켜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이명박 박근혜 정부가 ‘국립대 선진화 방안’을 통해 대학이 총장직선제를 유지하면, 정부의 각종 재정지원 사업에서 그 대학을 탈락시켰다. 그러나 차정인 후보자가 중심이 된 부산대학교는 굴복시키지 못했다.
전교조는 “이번 2기 국교위는 더 이상 형식적인 위원회, 정치의 거수기, 현장을 배제한 졸속 심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면서 “교사, 교수, 학부모, 학생, 시민 등 교육 주체가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구조, 정치로부터 독립된 숙의형 기구, 투명하고 책임 있는 국민 참여 기반 정책 심의 기구로 반드시 거듭나게 할 것을 차정인 내정자에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청문회를 포함한 검증 절차를 면밀하게 지켜보며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차정인 교수는 교사와 학생의 삶을 바꾸는 교육개혁을 추진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따져볼 것”이라면서 “교육은 행정이 아니라 철학과 삶의 문제”라고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답을 준비하는 몫은 후보자에게 달려 있다”고 날을 세웠다.
[에듀뉴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위원장 박영환)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13일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을, 국가교육위원회(국굥ㅟ) 위원장으로 차정인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내정했다. 교육부는 유·초·중등 교육을 포함한 공교육 전체를 책임지는 자리이며,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은 교육의 백년지대계를 설계하는 독립적 중장기 교육정책수립 기구의 수장이다.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코로나 시기 초등 1, 2학년을 대상으로 학급당 학생수 20명 상한을 가장 먼저 도입했다. 또한 교사 정원 감축을 반대했고 수업지원 교사제도를 운영했다. 학교 지원본부를 설립하여 학교 현장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공교육 멈춤의 날에 교사 행동을 지지하고,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제도를 마련했다. AI디지털 교과서 도입에 반대했으며 학생정신건강센터 설립으로 정신건강 진단 및 치료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교육혁신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세종 교육의 민주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최교진 후보자는 현장 교사 출신의 3선 교육감이다. 전교조 2~3대와 6대 전교조 충남지부장과 4대 전교조 수석부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유·초·중등교육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해 줄 것을 기대한다는 것이 전교조의 기대다.
2020년에는 제8대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으로 취임해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규약 일부개정 △사무국 직제규정 일부 개정 △사무국 조직 개편(2과 1실 20명)을 했다.
차정인 후보자는 총장직선제를 유지해 대학 민주주의를 지켜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이명박 박근혜 정부가 ‘국립대 선진화 방안’을 통해 대학이 총장직선제를 유지하면, 정부의 각종 재정지원 사업에서 그 대학을 탈락시켰다. 그러나 차정인 후보자가 중심이 된 부산대학교는 굴복시키지 못했다.
전교조는 “이번 2기 국교위는 더 이상 형식적인 위원회, 정치의 거수기, 현장을 배제한 졸속 심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면서 “교사, 교수, 학부모, 학생, 시민 등 교육 주체가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구조, 정치로부터 독립된 숙의형 기구, 투명하고 책임 있는 국민 참여 기반 정책 심의 기구로 반드시 거듭나게 할 것을 차정인 내정자에게 요구한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청문회를 포함한 검증 절차를 면밀하게 지켜보며 최교진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차정인 교수는 교사와 학생의 삶을 바꾸는 교육개혁을 추진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따져볼 것”이라면서 “교육은 행정이 아니라 철학과 삶의 문제”라고 정의하고 “이에 대한 대답을 준비하는 몫은 후보자에게 달려 있다”고 날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