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일제강점기부터 1975년까지 작성된 `토지기록물`을 복원해 전산화하는 `영구 토지기록물 DB 통합 구축사업`을 시행한다고 이달 14일 밝혔다.
올해 44만 건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총 100만 건, 2030년까지 200만 건에 대한 디지털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서울기록원에 종이나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보관 중인 토지이동결의서를 디지털화해 장기적이고 안전한 보존체계를 마련하고, 온라인으로 검색ㆍ열람이 가능하도록 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다.
토지기록이 복원ㆍ디지털화되면 시 토지기록의 역사적 가치 보존은 물론 필요한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ㆍ열람하고 기관별 분산 기록을 통합ㆍ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 미해결 민원이나 토지 관련 소송에 필요한 과거 이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행정 처리 정확도와 속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시는 체계적으로 복원된 토지기록을 도시계획이나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도 활용하고 공간정보시스템 등 다른 행정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부서 간 정보 공유와 데이터 기반 행정 운영 토대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시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토지 관련 조사, 개발사업ㆍ보상 업무, 부동산 정책 등에 활용하는 한편, 지적보존문서시스템 일괄 검색ㆍ열람 기능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올해 서울기록원에 보관 중인 토지기록물 44만 건의 디지털화를 시작으로, 2026년에는 2차 사업을 통해 56만 건을 추가 전산화한다. 앞서 시는 2022년 흑백(저해상도)으로 저장돼 식별이 어려웠던 33만 건의 자료를 고화질 컬러로 개선한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우리 땅의 역사를 보존하고 되새기는 뜻깊은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행정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고 시민 편의를 강화하는 디지털 기반 기록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일제강점기부터 1975년까지 작성된 `토지기록물`을 복원해 전산화하는 `영구 토지기록물 DB 통합 구축사업`을 시행한다고 이달 14일 밝혔다.
올해 44만 건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총 100만 건, 2030년까지 200만 건에 대한 디지털화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서울기록원에 종이나 마이크로필름 형태로 보관 중인 토지이동결의서를 디지털화해 장기적이고 안전한 보존체계를 마련하고, 온라인으로 검색ㆍ열람이 가능하도록 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이번 사업의 목표다.
토지기록이 복원ㆍ디지털화되면 시 토지기록의 역사적 가치 보존은 물론 필요한 자료를 신속하게 검색ㆍ열람하고 기관별 분산 기록을 통합ㆍ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기 미해결 민원이나 토지 관련 소송에 필요한 과거 이력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행정 처리 정확도와 속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시는 체계적으로 복원된 토지기록을 도시계획이나 정책 수립 기초자료로도 활용하고 공간정보시스템 등 다른 행정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부서 간 정보 공유와 데이터 기반 행정 운영 토대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시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토지 관련 조사, 개발사업ㆍ보상 업무, 부동산 정책 등에 활용하는 한편, 지적보존문서시스템 일괄 검색ㆍ열람 기능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올해 서울기록원에 보관 중인 토지기록물 44만 건의 디지털화를 시작으로, 2026년에는 2차 사업을 통해 56만 건을 추가 전산화한다. 앞서 시는 2022년 흑백(저해상도)으로 저장돼 식별이 어려웠던 33만 건의 자료를 고화질 컬러로 개선한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우리 땅의 역사를 보존하고 되새기는 뜻깊은 사업"이라며 "앞으로도 행정의 투명성과 신뢰를 높이고 시민 편의를 강화하는 디지털 기반 기록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