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지금까지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비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ㆍ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고 이달 10일 밝혔다.
그동안 역세권 중심의 개발 추진 과정에서 역세권이 아닌 일부 주거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지고 노후화가 심화되자, 도시의 효율적 활용과 균형 있는 개발을 위해 역세권 이외 지역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조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ㆍ생활SOCㆍ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ㆍ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거ㆍ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SOC, 보행환경ㆍ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개선이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2026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미래 성장거점으로 탈바꿈시킬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도시 전반적인 활성화를 통해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지금까지 역세권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면서 상대적으로 저개발된 비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ㆍ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고 이달 10일 밝혔다.
그동안 역세권 중심의 개발 추진 과정에서 역세권이 아닌 일부 주거지역은 상대적으로 개발이 뒤처지고 노후화가 심화되자, 도시의 효율적 활용과 균형 있는 개발을 위해 역세권 이외 지역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조사는 대중교통 접근성, 기반시설, 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 핵심이다.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ㆍ생활SOCㆍ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시는 이번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ㆍ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지역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주거ㆍ상업 기능 공급과 생활SOC, 보행환경ㆍ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개선이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한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2026년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미래 성장거점으로 탈바꿈시킬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도시 전반적인 활성화를 통해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