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부산광역시는 이달 11일부터 이틀간 해운대 웨스틴조선부산과 북항 1ㆍ2단계 재개발 현장에서 `2025년 부산건설업체-건설대기업 상생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사는 부산지역 건설업체와 국내 주요 건설대기업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북항 재개발 등 대규모 사업에서의 수주 기회를 확대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부산건설업체와 건설대기업 상생데이, 함께 짓는 안전한 부산, 상생으로 여는 미래'를 주제로 진행되며, 국내 시공 능력 상위 건설대기업 19개 사와 역량강화(Scale Up)사업에 참여한 부산 전문건설업체 40개 사가 참석한다. 역량강화사업은 2018년 시작된 부산의 중소 건설업체를 대기업의 협력 업체로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현재까지 179개(심화과정ㆍ누계치) 사가 참여했다.
올해는 대기업 협력 업체 등록 확대와 부산건설업체 수주 향상의 집중화를 위한 내실 있는 상담회가 될 수 있도록 행사를 구성했다. 또 상생연찬회를 통한 대기업과 지역업체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해 실질적인 소통과 협력의 장이 될 전망이다.
행사 첫날인 이달 11일 웨스틴조선부산에서는 전문건설ㆍ기계설비ㆍ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 등 5개 분야 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한 부산건설업체 40개 사와 대기업 19개 사가 참석하는 1:1 상생 멘토링이 진행된다. 이후 열리는 상생연찬회에서 추가 교류와 심화 상담을 이어간다.
해외건설협회는 홍보부스 운영을 통해 부산 전문건설업체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국내 건설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공사 수행 절차와 해외건설 관련 컨설팅제도 등 다양한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어서 오는 12일에는 시와 GS건설을 비롯한 주요 건설대기업 9개 사가 북항 1ㆍ2단계 재개발 현장 등을 방문해 글로벌 해양도시 추진 관련 지역 건설업체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확대 도모와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내 건설 경기가 다소 침체된 것이 사실이나 해양수산부 이전, 해양산업, 관광, 물류기능 강화 등으로 건설ㆍ부동산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번 부산건설업체와 건설대기업의 만남이 이를 위한 유기적인 연대를 강화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부산광역시는 이달 11일부터 이틀간 해운대 웨스틴조선부산과 북항 1ㆍ2단계 재개발 현장에서 `2025년 부산건설업체-건설대기업 상생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행사는 부산지역 건설업체와 국내 주요 건설대기업 간의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고 북항 재개발 등 대규모 사업에서의 수주 기회를 확대하고자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부산건설업체와 건설대기업 상생데이, 함께 짓는 안전한 부산, 상생으로 여는 미래'를 주제로 진행되며, 국내 시공 능력 상위 건설대기업 19개 사와 역량강화(Scale Up)사업에 참여한 부산 전문건설업체 40개 사가 참석한다. 역량강화사업은 2018년 시작된 부산의 중소 건설업체를 대기업의 협력 업체로 등록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현재까지 179개(심화과정ㆍ누계치) 사가 참여했다.
올해는 대기업 협력 업체 등록 확대와 부산건설업체 수주 향상의 집중화를 위한 내실 있는 상담회가 될 수 있도록 행사를 구성했다. 또 상생연찬회를 통한 대기업과 지역업체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해 실질적인 소통과 협력의 장이 될 전망이다.
행사 첫날인 이달 11일 웨스틴조선부산에서는 전문건설ㆍ기계설비ㆍ전기ㆍ정보통신ㆍ소방 등 5개 분야 역량강화사업에 참여한 부산건설업체 40개 사와 대기업 19개 사가 참석하는 1:1 상생 멘토링이 진행된다. 이후 열리는 상생연찬회에서 추가 교류와 심화 상담을 이어간다.
해외건설협회는 홍보부스 운영을 통해 부산 전문건설업체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국내 건설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공사 수행 절차와 해외건설 관련 컨설팅제도 등 다양한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어서 오는 12일에는 시와 GS건설을 비롯한 주요 건설대기업 9개 사가 북항 1ㆍ2단계 재개발 현장 등을 방문해 글로벌 해양도시 추진 관련 지역 건설업체의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 확대 도모와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국내 건설 경기가 다소 침체된 것이 사실이나 해양수산부 이전, 해양산업, 관광, 물류기능 강화 등으로 건설ㆍ부동산 수요가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번 부산건설업체와 건설대기업의 만남이 이를 위한 유기적인 연대를 강화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