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경기도는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이달 12일 밝혔다.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은 안산시 초지역에서 중앙역에 이르는 약 5.12㎞ 구간을 지하화하고 상부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지난 2월 19일 국토교통부의 선도사업으로 선정됐으며, 올해 12월 발표 예정인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 수립 전 선제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기본계획에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사업의 기본방향, 시행 범위, 재원 조달 방안, 단계별 추진계획 등이 담길 예정이다.
도는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상부부지 개발 절차 간소화 등을 위해 지난 11일 시와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 용역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도는 올해 1회 추경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비를 편성했으며, 지난 7월 도의회로부터 업무협약 동의안을 승인받았다. 이어 11일 안산시의회에서도 동의안이 통과됨으로써 협약체결이 최종 확정됐다.
협약에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의 공동수행을 위한 협의체 구성, 용역비 분담, 용역 시행 관련 사항 등이 포함됐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오는 10월 중 입찰공고 후 연내 착수를 목표로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도는 안산선 지하화와 상부부지 통합 개발을 통해 ▲지상철도 소음ㆍ진동 저감 ▲상부부지를 활용한 상업ㆍ문화ㆍ녹지 복합공간 조성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교통 연계성 개선 등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또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사업 확대를 위해 경부선(안양ㆍ군포ㆍ의왕ㆍ평택), 경인선(부천), 안산선(군포), 경의중앙선(파주) 등 4개 노선 6개 시의 일부 구간이 국토교통부에서 수립하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민의 교통편의 증진과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유관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경기도는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이달 12일 밝혔다.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은 안산시 초지역에서 중앙역에 이르는 약 5.12㎞ 구간을 지하화하고 상부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지난 2월 19일 국토교통부의 선도사업으로 선정됐으며, 올해 12월 발표 예정인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 수립 전 선제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기본계획에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사업의 기본방향, 시행 범위, 재원 조달 방안, 단계별 추진계획 등이 담길 예정이다.
도는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과 상부부지 개발 절차 간소화 등을 위해 지난 11일 시와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 용역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앞서 도는 올해 1회 추경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비를 편성했으며, 지난 7월 도의회로부터 업무협약 동의안을 승인받았다. 이어 11일 안산시의회에서도 동의안이 통과됨으로써 협약체결이 최종 확정됐다.
협약에는 기본계획 수립 용역의 공동수행을 위한 협의체 구성, 용역비 분담, 용역 시행 관련 사항 등이 포함됐다. 기본계획 수립 용역은 오는 10월 중 입찰공고 후 연내 착수를 목표로 관련 행정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도는 안산선 지하화와 상부부지 통합 개발을 통해 ▲지상철도 소음ㆍ진동 저감 ▲상부부지를 활용한 상업ㆍ문화ㆍ녹지 복합공간 조성 ▲지역 경제 활성화와 교통 연계성 개선 등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기대하고 있다.
또 철도지하화 통합개발사업 확대를 위해 경부선(안양ㆍ군포ㆍ의왕ㆍ평택), 경인선(부천), 안산선(군포), 경의중앙선(파주) 등 4개 노선 6개 시의 일부 구간이 국토교통부에서 수립하는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민의 교통편의 증진과 도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기본계획 수립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유관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준비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