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뉴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열악한 근무 여건과 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 교단을 떠나는 선생님들이 늘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의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서두를 열고 “저는 공교육 회복을 위해 우리 선생님들을 지키고 보호하며 배려와 존중을 배우는 학교 만들기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성장의 속도는 저마다 다르기 마련이며 모든 학생이 저마다의 속도로 배움을 이어갈 수 있도록 기초학력 지원에 힘을 쓰겠다”면서 “느린 학습자가 낙오되는 일이 없게 하고 장애가 배움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하고 “교육에서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국가의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아부터 초등까지 양질의 돌봄과 교육을 지원하고 가르치고 돌보는 일이 가정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지역사회와 함께 힘을 모으겠다”며 “마을이 학교라는 인식이 넓어지고, 마을이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할 때, 지역사회가 교육공동체의 든든한 언덕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하고 “또한 우리 아이들이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희망사항을 밝혔다.
아울러 “기술변화를 뒤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주도하고 첨단기술을 지혜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문해력과 인공지능(AI) 기초역량 강화에 힘을 쓰겠다”면서 “인공지능(AI) 시대에 진정으로 요구되는 생각하는 힘,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과 함께 상상력을 키우는 인문학 교육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 장관은 “교육의 힘으로 지역 혁신을 이끌고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해 나가는 일도 우리가 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수도권에 교육자원이 집중되지 않도록 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하다”면서 “전국의 학생들이 수도권에 쏠리는 과도한 경쟁체제를 허물기 위해서는 자신이 자란 지역에서 가고 싶은 대학에 갈 수 있고 졸업 후에도 그 지역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어 정주할 수 있는 선순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최 장관은 “지방대학에도 서울대 수준의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 전략을 마련해 수도권 중심의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다”고 말하고 “교육이 국가균형발전을 이끌 수 있다는 생각으로 대학 구조개혁에 힘을 쏟겠다”면서 “급속한 기술 발전 속에서도 존재와 사유의 가치, 인간다운 삶을 고민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경쟁이 실력을 키우고 더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건 틀림없지만, 지나친 경쟁이 여러 사회적 문제를 낳고 왜곡된 구조를 만들고 있다는 것도 우리는 직시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꽃다운 생을 마감하는 안타까운 일이 나타나는 것을 우리는 엄중한 책임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집고 “생명보다 우선되는 경쟁이나 가치는 없으며 학교에서부터 공동체 정신을 회복시켜 학생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며 자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끝으로 “대학 총장, 시·도교육감 및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시로 경청하고 정책 수립에 국민과 교사들의 참여를 확대해 교육분야에서도 진정한 국민주권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에듀뉴스] 최교진 교육부 장관은 “열악한 근무 여건과 학생 지도의 어려움으로 교단을 떠나는 선생님들이 늘고 있는 것이 우리 교육의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서두를 열고 “저는 공교육 회복을 위해 우리 선생님들을 지키고 보호하며 배려와 존중을 배우는 학교 만들기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성장의 속도는 저마다 다르기 마련이며 모든 학생이 저마다의 속도로 배움을 이어갈 수 있도록 기초학력 지원에 힘을 쓰겠다”면서 “느린 학습자가 낙오되는 일이 없게 하고 장애가 배움의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강조하고 “교육에서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국가의 역할”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유아부터 초등까지 양질의 돌봄과 교육을 지원하고 가르치고 돌보는 일이 가정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지역사회와 함께 힘을 모으겠다”며 “마을이 학교라는 인식이 넓어지고, 마을이 교육의 한 축을 담당할 때, 지역사회가 교육공동체의 든든한 언덕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전하고 “또한 우리 아이들이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희망사항을 밝혔다.
아울러 “기술변화를 뒤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변화를 주도하고 첨단기술을 지혜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문해력과 인공지능(AI) 기초역량 강화에 힘을 쓰겠다”면서 “인공지능(AI) 시대에 진정으로 요구되는 생각하는 힘, 창의력, 문제해결 능력과 함께 상상력을 키우는 인문학 교육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 장관은 “교육의 힘으로 지역 혁신을 이끌고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해 나가는 일도 우리가 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수도권에 교육자원이 집중되지 않도록 지역의 교육 여건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시급하고 중요하다”면서 “전국의 학생들이 수도권에 쏠리는 과도한 경쟁체제를 허물기 위해서는 자신이 자란 지역에서 가고 싶은 대학에 갈 수 있고 졸업 후에도 그 지역에서 안정적인 일자리를 얻어 정주할 수 있는 선순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최 장관은 “지방대학에도 서울대 수준의 전략적 투자와 체계적 육성 전략을 마련해 수도권 중심의 교육 불균형을 해소하다”고 말하고 “교육이 국가균형발전을 이끌 수 있다는 생각으로 대학 구조개혁에 힘을 쏟겠다”면서 “급속한 기술 발전 속에서도 존재와 사유의 가치, 인간다운 삶을 고민하는 기회를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또한 “경쟁이 실력을 키우고 더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건 틀림없지만, 지나친 경쟁이 여러 사회적 문제를 낳고 왜곡된 구조를 만들고 있다는 것도 우리는 직시해야 한다”며 “이 과정에서 꽃다운 생을 마감하는 안타까운 일이 나타나는 것을 우리는 엄중한 책임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집고 “생명보다 우선되는 경쟁이나 가치는 없으며 학교에서부터 공동체 정신을 회복시켜 학생들이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며 자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끝으로 “대학 총장, 시·도교육감 및 관련 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수시로 경청하고 정책 수립에 국민과 교사들의 참여를 확대해 교육분야에서도 진정한 국민주권시대를 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