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스마트도시 플랫폼의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합 관리(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가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ㆍ이하 국토부)는 이달 15일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SG20 회의에서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은 도시데이터 수집, 분석, 활용,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갖춘 도시 관리를 위한 플랫폼으로 시간ㆍ위치기반의 실시간 상황 정보 처리 기능을 통해 도시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 지리정부시스템(GIS) 기반의 단일 아이콘 형태로 상황 정보를 시각화해, 재난이나 긴급 상황 발생 시 담당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토부는 2015년부터 외산 장비의 의존율을 낮추고 도시상황 관리체계를 강화하고자 방범ㆍ방재, 교육 등 정보시스템을 연계ㆍ활용해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 이후 2021년까지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전국 108개 지방자치단체에 보급했으며,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터키 등에 수출하기도 했다.
특히 해외수출 기반 마련과 확산을 위해 최근 3년간 스페인, 일본, 중국 등 SG20 회원국들과 협력해 표준 요구사항을 보완한 끝에 국제표준 지위를 얻게 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전 세계 도시 간 상호 호환성을 향상시켜 국내 우수한 스마트도시 관련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스마트도시산업 발전과 해외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국내 기술로 개발된 `스마트도시 플랫폼의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합 관리(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가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ㆍ이하 국토부)는 이달 15일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SG20 회의에서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이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은 도시데이터 수집, 분석, 활용, 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갖춘 도시 관리를 위한 플랫폼으로 시간ㆍ위치기반의 실시간 상황 정보 처리 기능을 통해 도시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 지리정부시스템(GIS) 기반의 단일 아이콘 형태로 상황 정보를 시각화해, 재난이나 긴급 상황 발생 시 담당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국토부는 2015년부터 외산 장비의 의존율을 낮추고 도시상황 관리체계를 강화하고자 방범ㆍ방재, 교육 등 정보시스템을 연계ㆍ활용해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을 개발해 왔다. 이후 2021년까지 스마트도시 통합 플랫폼 구축사업을 통해 전국 108개 지방자치단체에 보급했으며,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터키 등에 수출하기도 했다.
특히 해외수출 기반 마련과 확산을 위해 최근 3년간 스페인, 일본, 중국 등 SG20 회원국들과 협력해 표준 요구사항을 보완한 끝에 국제표준 지위를 얻게 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전 세계 도시 간 상호 호환성을 향상시켜 국내 우수한 스마트도시 관련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스마트도시산업 발전과 해외진출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