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뉴스] 새로 취임한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6일 오후 2시 청주 앤포드호텔에서 ‘고교학점제 시도교육감 간담회’를 열고 취임 후 전국 시·도교육감들과 상견례를 가졌다.
최 부총리는 먼저 “오랫동안, 10년 넘게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교육감님들과 함께 했던 터라 마치 친정에 온 것 같은 느낌”이라면서 “사실 급하게 회장님께 고교학점제 관련해서 교육감님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가 필요하겠다 부탁을 드렸다”고 설명하고 “오늘 행사 외에도 여러 일정이 많이 있으시고 바쁘셨을 텐데 시간을 내어주시고 이렇게 많이 참석해 주셔서 고맙다”고 서두를 열었다.
이어 “그동안 교육자로서 그리고 교육감으로 재직하는 동안에도 제가 여러 교육감님들과 함께 한결같이 추구해 온 목표는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배움과 성장이었다”며 “교육부 장관을 맡게 된 지금도 그 마음가짐에는 변함이 없으며 교육감님들의 마음도 똑같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교육은 미래세대를 이끌어갈 아이들의 성장을 든든하게 뒷받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긴밀한 협력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하고 “저부터 늘 경청하고 존중하는 자세로 교육감님들과 함께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최 부총리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잠재력을 키우고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인재로 키우는 데 필수적인 제도라고 생각하고 합의해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2017년에 고교학점제 도입이 결정되고 이후 지난 8년 동안 연구·선도학교 운영 등을 거쳐 올해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학생들의 과목 선택 기회가 확대되고 학업 성취가 낮은 학생에 대한 학교의 교육적 관심이 높아지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과목 지도에 따른 수업·평가 부담이 매우 크고 최소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에 대한 보충지도 부담, 출결 처리 방식의 변경에 따른 혼란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에 교육부에서는 난 7월부터 학생·교사·학부모 등이 함께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학교 현장의 부담은 덜고, 학생들의 진로 학업 설계 지원은 강화하며, 지역·학교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면서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오랫동안 교육 현장을 지켜온 교육 전문가이자 각 지역의 교육을 책임지고 계신 교육감님들과 함께 고교학점제 현황을 공유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고 요청했다.
여기에 “고교학점제가 본래 취지대로 현장에서 잘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오늘 가감없는 의견을 주시기 바란다”며 “아울러 그간 고교학점제의 실행 기반이 하나씩 마련되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선생님들의 관심과 헌신 덕분이었다”며 “교육부도 학교와 시도교육청 등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오늘 주신 의견들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보완해
[에듀뉴스] 새로 취임한 최교진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6일 오후 2시 청주 앤포드호텔에서 ‘고교학점제 시도교육감 간담회’를 열고 취임 후 전국 시·도교육감들과 상견례를 가졌다.
최 부총리는 먼저 “오랫동안, 10년 넘게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교육감님들과 함께 했던 터라 마치 친정에 온 것 같은 느낌”이라면서 “사실 급하게 회장님께 고교학점제 관련해서 교육감님들의 의견을 듣는 자리가 필요하겠다 부탁을 드렸다”고 설명하고 “오늘 행사 외에도 여러 일정이 많이 있으시고 바쁘셨을 텐데 시간을 내어주시고 이렇게 많이 참석해 주셔서 고맙다”고 서두를 열었다.
이어 “그동안 교육자로서 그리고 교육감으로 재직하는 동안에도 제가 여러 교육감님들과 함께 한결같이 추구해 온 목표는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배움과 성장이었다”며 “교육부 장관을 맡게 된 지금도 그 마음가짐에는 변함이 없으며 교육감님들의 마음도 똑같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한 “교육은 미래세대를 이끌어갈 아이들의 성장을 든든하게 뒷받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긴밀한 협력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하고 “저부터 늘 경청하고 존중하는 자세로 교육감님들과 함께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도 최 부총리는 “고교학점제는 학생의 잠재력을 키우고 미래를 스스로 설계할 수 있는 인재로 키우는 데 필수적인 제도라고 생각하고 합의해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2017년에 고교학점제 도입이 결정되고 이후 지난 8년 동안 연구·선도학교 운영 등을 거쳐 올해 모든 고등학교에서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학생들의 과목 선택 기회가 확대되고 학업 성취가 낮은 학생에 대한 학교의 교육적 관심이 높아지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과목 지도에 따른 수업·평가 부담이 매우 크고 최소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에 대한 보충지도 부담, 출결 처리 방식의 변경에 따른 혼란 등으로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에 교육부에서는 난 7월부터 학생·교사·학부모 등이 함께하는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학교 현장의 부담은 덜고, 학생들의 진로 학업 설계 지원은 강화하며, 지역·학교 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면서 “오늘 이 자리를 통해, 오랫동안 교육 현장을 지켜온 교육 전문가이자 각 지역의 교육을 책임지고 계신 교육감님들과 함께 고교학점제 현황을 공유하고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싶다”고 요청했다.
여기에 “고교학점제가 본래 취지대로 현장에서 잘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오늘 가감없는 의견을 주시기 바란다”며 “아울러 그간 고교학점제의 실행 기반이 하나씩 마련되고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무엇보다 선생님들의 관심과 헌신 덕분이었다”며 “교육부도 학교와 시도교육청 등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오늘 주신 의견들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보완해
고교학점제가 현장에 제대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