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경제 > 부동산
기사원문 바로가기
[아유경제_부동산] 올해 9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전월비 1p 하락… “수도권은 회복 전망”
repoter : 조명의 기자 ( cho.me@daum.net ) 등록일 : 2025-09-17 12:18:14 · 공유일 : 2025-09-17 13:00:39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올해 9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소폭 하락했으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일부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서울이 핵심 입지에서 집값 상승이 이어지며 전월보다 큰 폭 상승했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달 주택산업경기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p 하락한 75로 집계됐다.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85 미만은 하강 국면, 85~115 미만은 보합 국면, 115~200 미만은 상승 국면으로 구분한다.

수도권은 전월(66.6)보다 16.8p 상승한 83.4로 전망됐다. 서울 28.2p(64.1→92.31), 경기 17.2p(69.2→86.4), 인천 4.8p(66.6→71.4) 순으로 올랐다.

주산연 관계자는 "서울은 핵심 입지에 대한 선호가 견조하게 유지되면서, 이는 사업자들이 주택사업환경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라며 "`6ㆍ27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ㆍ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이 6억 원 이하로 제한되면서 올해 7월에는 상승 흐름이 잠시 주춤했으나 8월 들어 다시 탄력을 받으며 회복세가 강화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 아파트값은 9월 첫째 주 기준 31주 연속 상승했고 마포ㆍ용산ㆍ성동 등 핵심 지역의 상승 폭이 커졌다. 경기 역시 성남 분당ㆍ하남ㆍ광명ㆍ안양시 등이 동반 상승하며 수도권 호조세를 뒷받침했다.

다만, 정부의 미분양 지원책이 주로 비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수도권은 다소 소외될 수 있고, 이는 향후 평택ㆍ이천ㆍ안성 등 경기 일부 지역의 회복세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주산연의 지적이다.

비수도권은 전월(78) 대비 4.8p 하락한 73.2로 전망됐다.

광역시는 전월(82.2)보다 5.6p 하락한 76.6으로 집계됐다. ▲대전 9.8p(71.4→81.2) ▲울산 5.7p(80→85.7) ▲대구 0.6p(86.9→87.5) 수순으로 상승한 반면, ▲부산 18.2p(81.8→63.6) ▲세종 17.3p(92.3→75) ▲광주 14.6p(81.2→66.6) 순으로 하락했다.

도 지역은 전월(74.8)보다 4.1p 하락한 70.7로 나타났다. ▲경북 8.5p(64.2→72.7) ▲경남 5.5p(71.4→76.9) ▲충남 3.6p(71.4→75) ▲전남 3p(63.6→66.6) 순으로 오른 반면, ▲충북 23.4p(90→66.6) ▲전북 18.2p(90.9→72.7) ▲제주 7.5p(87.5→80) ▲강원 4.5p(60→55.5) 순으로 내렸다.

비수도권은 지난 7월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인 94.9를 기록한 후 내림세를 지속하고 있다. 대출 규제 시행 직전에는 회복 기대가 있었으나 시행 이후에는 반등하지 못한 채 부진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주산연 관계자는 "이러한 흐름은 주택가격 반등 동력이 부족한 가운데 수요 부진과 미분양 물량이 지방에 집중되면서 구조적 침체가 장기화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했다.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전월 대비 13.6p 상승한 84.8, 자재수급지수는 0.1p 상승한 93.3으로 각각 전망됐다.

자금조달지수가 큰 폭 상승했는데, 금리 하향과 함께 건설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금융 지원책이 본격적으로 착수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한 영향이다. 자재수급지수는 건설 중간재 수입 물가가 하락하고 건설 국내 출하 물가도 낮아지는 등 자재 수급이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주산연 관계자는 "정부가 `8ㆍ14 지방 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 `9ㆍ7 주택 공급 활성화 방안` 등 미분양 해소와 수요 진작을 위해 정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며 "이러한 정책이 단기적으로 유동성 위기를 일부 완화하는 것에 그칠지, 장기적으로 건설 경기의 구조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료유료
스크랩하기 공유받기O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