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용산구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된다. 지하철 1호선ㆍ경의중앙선 용산역 중심의 보행 네트워크 체계가 마련되고 지상에는 열린 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최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17일 열린 제15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
앞서 시는 지난 6월 용산구로부터 구역ㆍ개발계획 변경(안) 및 실시계획(안)에 대한 결정 요청서를 제출받아 관련 행정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했으며, 이번 심의를 거쳐 실시계획인가와 착공을 위한 기반을 했다.
변경안은 용산역 중심의 보행네트워크 체계를 마련하고 지상에 빛과 바람이 통하는 열린 도시공간을 조성하고 오픈 스페이스 확보로 이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 핵심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교통체계의 핵심인 용산역을 중심으로 각 획지로 뻗어나가는 보행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보행성과 대중교통 연계성을 높였다. 또한 건축물 사이로 빛과 바람이 통하도록 획지 계획을 마련했으며, 한강변으로 열린 녹지체계를 구축하고 지상 레벨 중심의 오픈스페이스를 넉넉히 확보해 생태와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구현토록 했다.
시는 전반적인 획지 형태 조정을 통해 건축 배치가 용이해졌으며, 도로체계 보완을 통한 교통흐름도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용산구 청파로 56-20(한강로3가) 일원 49만4601㎡를 대상으로 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장기간 방치돼 온 용산역 정비창 부지 49만5000㎡를 일ㆍ주거ㆍ여가 기능이 융합된 `입체복합 수직도시`로 재탄생시키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아시아ㆍ태평양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기업 유치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함께 글로벌기업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글로벌기업 간담회, 포럼ㆍ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해 해외 유수 기업의 투자를 독려할 방침이다.
시는 교통영향평가, 재해영향평가 등 관련 사전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구역ㆍ개발계획 변경, 실시계획인가ㆍ고시 후 올해 안으로 기반시설 착공까지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치열한 국제도시 간 경쟁에서 앞설 수 있도록 10년 이상 방치돼 온 용산정비창 부지 개발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며 "용산국제업무지구를 혁신적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하고 시민 누구나 이용하는 매력적인 도시공간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용산구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된다. 지하철 1호선ㆍ경의중앙선 용산역 중심의 보행 네트워크 체계가 마련되고 지상에는 열린 공간이 조성될 예정이다.
최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17일 열린 제15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용산국제업무지구 도시개발구역 지정 및 개발계획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
앞서 시는 지난 6월 용산구로부터 구역ㆍ개발계획 변경(안) 및 실시계획(안)에 대한 결정 요청서를 제출받아 관련 행정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했으며, 이번 심의를 거쳐 실시계획인가와 착공을 위한 기반을 했다.
변경안은 용산역 중심의 보행네트워크 체계를 마련하고 지상에 빛과 바람이 통하는 열린 도시공간을 조성하고 오픈 스페이스 확보로 이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 핵심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교통체계의 핵심인 용산역을 중심으로 각 획지로 뻗어나가는 보행자 네트워크를 구축해 보행성과 대중교통 연계성을 높였다. 또한 건축물 사이로 빛과 바람이 통하도록 획지 계획을 마련했으며, 한강변으로 열린 녹지체계를 구축하고 지상 레벨 중심의 오픈스페이스를 넉넉히 확보해 생태와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도시공간을 구현토록 했다.
시는 전반적인 획지 형태 조정을 통해 건축 배치가 용이해졌으며, 도로체계 보완을 통한 교통흐름도 개선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용산구 청파로 56-20(한강로3가) 일원 49만4601㎡를 대상으로 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장기간 방치돼 온 용산역 정비창 부지 49만5000㎡를 일ㆍ주거ㆍ여가 기능이 융합된 `입체복합 수직도시`로 재탄생시키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아시아ㆍ태평양 비즈니스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기업 유치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함께 글로벌기업 유치 전략을 수립하고 글로벌기업 간담회, 포럼ㆍ국제컨퍼런스 등을 통해 해외 유수 기업의 투자를 독려할 방침이다.
시는 교통영향평가, 재해영향평가 등 관련 사전 행정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구역ㆍ개발계획 변경, 실시계획인가ㆍ고시 후 올해 안으로 기반시설 착공까지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치열한 국제도시 간 경쟁에서 앞설 수 있도록 10년 이상 방치돼 온 용산정비창 부지 개발에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며 "용산국제업무지구를 혁신적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로 조성하고 시민 누구나 이용하는 매력적인 도시공간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