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뉴스] 경기도 수원 매산초등학교(교장 임미경)는 30일, 전교생을 대상으로 2025 체험형 야외활동 프로그램 ‘매산 대단결 헌터스 체육대회’를 운영했다.
학교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체육대회는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또래 친구들과의 협력과 소통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메인 운동장, 체육관, 필로티 공간을 활용해 체육 활동과 민속놀이를 결합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학년별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은 특히 큰 호응을 얻었으며 1~2학년은 볼풀공 축제와 터널통과 릴레이를 통해 놀이 중심의 신체 활동을 즐겼고, 3~4학년은 줄바토론과 사다리 릴레이를 통해 협동심과 도전 정신을 기를 수 있었다. 5~6학년은 점보 스피드스택스와 ‘우주를 쏘아라’ 경기 등 다소 난이도 있는 활동을 통해 집중력과 팀워크를 발휘하는 기회를 가졌다.
체육관에서는 피구, 색판 뒤집기, 협력 달리기 등 뉴스포츠 활동이 학년별 자율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으며, 필로티 공간에서는 투호, 긴줄넘기, 비석치기, 제기차기, 딱지치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 체험이 이뤄졌다. 학생들은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을 기르고, 전통놀이를 통해 우리 문화를 몸으로 배우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특히 이번 체육대회에는 학부모들이 함께 참여하여 교육공동체가 어우러지는 장이 마련됐다. 학부모들은 사전 신청과 당일 현장 접수를 통해 관람뿐 아니라 ‘돼지몰이 게임’ 등 학부모 참여 경기에 직접 나서며 학생들과 함께 웃고 호흡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의 활기찬 모습을 응원하는 박수 소리와 학부모의 열띤 참여는 현장을 더욱 뜨겁게 달구었으며 학교와 가정이 함께 어울려 만드는 공동체적 배움의 장으로서 이번 행사의 의미를 더욱 빛나게 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경쟁을 넘어 친구들과의 협동, 존중, 배려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었으며 즐거움과 교육적 의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었다.
임미경 교장은 “이번 활동은 학생들이 몸으로 배우고, 함께 협력하며 성장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체험 중심 교육활동을 통해 즐거운 학교 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에듀뉴스] 경기도 수원 매산초등학교(교장 임미경)는 30일, 전교생을 대상으로 2025 체험형 야외활동 프로그램 ‘매산 대단결 헌터스 체육대회’를 운영했다.
학교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체육대회는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돕고, 또래 친구들과의 협력과 소통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기 위해 기획됐으며 메인 운동장, 체육관, 필로티 공간을 활용해 체육 활동과 민속놀이를 결합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학년별 맞춤형 프로그램 구성은 특히 큰 호응을 얻었으며 1~2학년은 볼풀공 축제와 터널통과 릴레이를 통해 놀이 중심의 신체 활동을 즐겼고, 3~4학년은 줄바토론과 사다리 릴레이를 통해 협동심과 도전 정신을 기를 수 있었다. 5~6학년은 점보 스피드스택스와 ‘우주를 쏘아라’ 경기 등 다소 난이도 있는 활동을 통해 집중력과 팀워크를 발휘하는 기회를 가졌다.
체육관에서는 피구, 색판 뒤집기, 협력 달리기 등 뉴스포츠 활동이 학년별 자율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으며, 필로티 공간에서는 투호, 긴줄넘기, 비석치기, 제기차기, 딱지치기 등 다양한 민속놀이 체험이 이뤄졌다. 학생들은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을 기르고, 전통놀이를 통해 우리 문화를 몸으로 배우는 의미 있는 시간을 보냈다.
특히 이번 체육대회에는 학부모들이 함께 참여하여 교육공동체가 어우러지는 장이 마련됐다. 학부모들은 사전 신청과 당일 현장 접수를 통해 관람뿐 아니라 ‘돼지몰이 게임’ 등 학부모 참여 경기에 직접 나서며 학생들과 함께 웃고 호흡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이들의 활기찬 모습을 응원하는 박수 소리와 학부모의 열띤 참여는 현장을 더욱 뜨겁게 달구었으며 학교와 가정이 함께 어울려 만드는 공동체적 배움의 장으로서 이번 행사의 의미를 더욱 빛나게 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은 단순한 경쟁을 넘어 친구들과의 협동, 존중, 배려의 가치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었으며 즐거움과 교육적 의미를 동시에 느낄 수 있었다.
임미경 교장은 “이번 활동은 학생들이 몸으로 배우고, 함께 협력하며 성장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됐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체험 중심 교육활동을 통해 즐거운 학교 문화를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