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소폭 상승했다. 정부가 `6ㆍ27 부동산 대책`에 이어 추가 규제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규제 전 주택을 매입하려는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에 따르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7로 전월(82)보다 5.7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입주전망지수는 92.7로 전월(91)과 비교해 1.7p 상승했다. 서울은 100으로 전월(102.7)보다 2.7p 하락했으나. 인천은 84로 전월(82.1)보다 1.9p, 경기는 94.1로 전월(88.2)보다 5.9p 각각 상승했다.
비수도권에서 광역시는 89로 전월(81.9)보다 7.1p, 도 지역은 84.9로 전월(78.7)보다 6.2p 각각 올랐다.
5대 광역시는 부산 23.1p(61.1→84.2), 대전 14.3p(85.7→100) 순으로 올랐고 대구 10.7p(85.7→75), 광주 7.2p(85.7→78.5), 울산 3.4p(91.6→88.2) 순으로 내렸다. 세종(81.8→108.3)은 26.5p 오르며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도 지역은 강원 25p(62.5→87.5), 충북 13.8p(75→88.8), 경북 11.6p(80→91.6), 전남 6.3p(71.4→77.73), 경남 2.4p(83.3→85.7), 전북 1.8p(80→81.8) 순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했으나, 제주 10.7p(85.7→75), 충남 0.7p(91.6→90.9) 순으로 하락했다.
주산연 관계자는 "6ㆍ27 대출 규제로 급감했던 주택거래량이 8월 반등한 데 이어 9월에는 증가 폭이 커지고,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관측되면서 규제 전 주택을 구매하려는 심리를 자극해 전국적으로 신축 아파트의 입주전망을 상승시킨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수도권의 경우, 6ㆍ27 대책 이후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됐음에도 서울의 주택 가격과 거래량이 반등하자 상대적으로 대출이 용이한 경기 지역 아파트로 매수세가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9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1.2%로 전월(67.4%) 대비 3.8%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82.9%로 전월(82%)보다 0.9%p 상승했으며, 비수도권에서 5대 광역시는 67.4%로 전월(64.9%)보다 2.5%p, 기타 지역은 69.6%로 전월(63.8%)보다 5.8%p 각각 상승했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30.8%→38.9%) ▲기존 주택 매각 지연(34.6%→31.5%) ▲세입자 미확보(23.1%→18.5%) ▲분양권 매도 지연(5.8%→3.7%) 순으로 나타났다.
주산연 관계자는 "주택 가격이 반등하고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주택 수요가 풍부하나 공급 감소 우려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입주 전망이 개선됐다"면서 "그러나 미분양 문제를 안고 있는 지역에서는 입주 전망이 하락하며 양극화 양상이 나타나 지역 특성을 고려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라고 전했다.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가 소폭 상승했다. 정부가 `6ㆍ27 부동산 대책`에 이어 추가 규제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규제 전 주택을 매입하려는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에 따르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달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7로 전월(82)보다 5.7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입주전망지수는 92.7로 전월(91)과 비교해 1.7p 상승했다. 서울은 100으로 전월(102.7)보다 2.7p 하락했으나. 인천은 84로 전월(82.1)보다 1.9p, 경기는 94.1로 전월(88.2)보다 5.9p 각각 상승했다.
비수도권에서 광역시는 89로 전월(81.9)보다 7.1p, 도 지역은 84.9로 전월(78.7)보다 6.2p 각각 올랐다.
5대 광역시는 부산 23.1p(61.1→84.2), 대전 14.3p(85.7→100) 순으로 올랐고 대구 10.7p(85.7→75), 광주 7.2p(85.7→78.5), 울산 3.4p(91.6→88.2) 순으로 내렸다. 세종(81.8→108.3)은 26.5p 오르며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도 지역은 강원 25p(62.5→87.5), 충북 13.8p(75→88.8), 경북 11.6p(80→91.6), 전남 6.3p(71.4→77.73), 경남 2.4p(83.3→85.7), 전북 1.8p(80→81.8) 순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했으나, 제주 10.7p(85.7→75), 충남 0.7p(91.6→90.9) 순으로 하락했다.
주산연 관계자는 "6ㆍ27 대출 규제로 급감했던 주택거래량이 8월 반등한 데 이어 9월에는 증가 폭이 커지고,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이 관측되면서 규제 전 주택을 구매하려는 심리를 자극해 전국적으로 신축 아파트의 입주전망을 상승시킨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수도권의 경우, 6ㆍ27 대책 이후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 원으로 제한됐음에도 서울의 주택 가격과 거래량이 반등하자 상대적으로 대출이 용이한 경기 지역 아파트로 매수세가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9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71.2%로 전월(67.4%) 대비 3.8%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도권은 82.9%로 전월(82%)보다 0.9%p 상승했으며, 비수도권에서 5대 광역시는 67.4%로 전월(64.9%)보다 2.5%p, 기타 지역은 69.6%로 전월(63.8%)보다 5.8%p 각각 상승했다.
미입주 원인으로는 ▲잔금대출 미확보(30.8%→38.9%) ▲기존 주택 매각 지연(34.6%→31.5%) ▲세입자 미확보(23.1%→18.5%) ▲분양권 매도 지연(5.8%→3.7%) 순으로 나타났다.
주산연 관계자는 "주택 가격이 반등하고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주택 수요가 풍부하나 공급 감소 우려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입주 전망이 개선됐다"면서 "그러나 미분양 문제를 안고 있는 지역에서는 입주 전망이 하락하며 양극화 양상이 나타나 지역 특성을 고려한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