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뉴스

경제 > 부동산
기사원문 바로가기
[아유경제_부동산] 10월 2주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0.13% 상승ㆍ전세가격 0.07% 상승
repoter : 권혜진 기자 ( koreaareyou@naver.com ) 등록일 : 2025-10-16 14:09:23 · 공유일 : 2025-10-16 20:00:41


[아유경제=권혜진 기자] 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2025년 10월 2주(지난 13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상승(0.13%)을 기록했다(2주간 누계). 수도권과 서울은 상승했고, 지방은 보합(0%) 유지한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가격 상승 기대감이 지속되며 추석 연휴 전후로 매수 문의 증가하고, 재건축 추진 단지 및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물 소진되며 상승 거래 발생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 수도권 아파트값 변동률은 0.25%를 기록했고, 서울의 경우 0.54%로 전전주(0.27%) 대비 상승세를 키운 것으로 파악됐다.

자치구별로 성동구(1.63%)는 행당ㆍ하왕십리동 역세권 위주로, 광진구(1.49%)는 광장ㆍ자양동 주요 단지 위주로, 마포구(1.29%)는 공덕ㆍ성산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용산구(0.8%)는 이촌ㆍ문배동 위주로, 중구(0.73%)는 신당‧황학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의 경우 송파구(1.09%)는 가락ㆍ문정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양천구(1.08%)는 목동‧신정동 역세권 위주로, 강동구(0.85%)는 고덕‧명일동 대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63%)는 신길‧영등포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광역시(0.03%)에서 중구(-0.03%)는 운서ㆍ중산동 위주로, 연수구(-0.01%)는 옥련ㆍ청학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9%)는 마전ㆍ왕길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미추홀구(0.05%)는 용현ㆍ학익동 선호 단지 위주로, 남동구(0.03%)는 간석ㆍ남촌동 위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0%)은 시ㆍ도별로 부산(0.03%), 대전(-0.03%), 대구(-0.07%), 충남(0%), 충북(0%), 강원(-0.01%), 광주(-0.01%), 울산(0.13%), 세종(0.07%), 전남(-0.05%), 전북(0.07%), 경남(0.01%), 경북(0%), 제주(-0.06%) 등의 결과를 보였다.

한편,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0.07%)은 전전주(0.06%) 대비 더 상승세를 보였고, 서울 아파트 전셋값(0.17%)도 전전주(0.12%) 대비 상승세를 키운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은 대단지ㆍ역세권 등 정주여건 양호한 선호 단지 위주로 상승 계약 포착되며 매물 부족 나타나는 등 서울 전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성동구(0.3%)는 행당ㆍ성수동 구축 위주로, 용산구(0.22%)는 이촌ㆍ한남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광진구(0.18%)는 자양ㆍ광장동 선호 단지 위주로, 마포구(0.18%)는 성산ㆍ아현동 위주로, 서대문구(0.12%)는 남가좌ㆍ홍제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을 보면 송파구(0.46%)는 가락ㆍ잠실동 주요 단지 위주로, 서초구(0.32%)는 잠원ㆍ반포동 위주로, 강동구(0.28%)는 고덕ㆍ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양천구(0.17%)는 목동ㆍ신정동 역세권 위주로, 강서구(0.17%)는 가양ㆍ화곡동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0.04%)의 경우 중구(-0.01%)는 중산ㆍ신흥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서구(0.07%)는 원당ㆍ석남동 역세권 위주로, 연수구(0.06%)는 동춘ㆍ송도동 대단지 위주로, 남동구(0.05%)는 구월ㆍ만수동 위주로, 동구(0.03%)는 송현ㆍ만석동 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0.09%)에서 이천시(-0.13%)는 입주 물량 영향 있는 증포ㆍ갈산동 위주로, 고양 일산서구(-0.1%)는 덕이ㆍ주엽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43%)는 중앙ㆍ별양동 주요 단지 위주로, 하남시(0.41%)는 학암ㆍ망월동 역세권 위주로, 성남 중원구(0.4%)는 은행ㆍ금광동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0.04%)은 시ㆍ도별로 부산(0.09%), 대전(-0.03%), 대구(0.04%), 충남(0%), 충북(0.04%), 강원(0%), 광주(0.03%), 울산(0.14%), 세종(0.38%), 전남(-0.01%), 전북(0%), 경남(0.06%), 경북(-0.01%), 제주(-0.05%) 등의 결과를 보였다. 세종은 중촌ㆍ도담동 대단지 위주로 임차 수요 확대되며 상승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무료유료
스크랩하기 공유받기O 신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