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는 8일 오후 시청 3층 소회의실에서 ㈜마인즈앤컴퍼니 고석태 대표를 초청해 ‘인공지능 사내대학 특강’을 개최했다.
광주시 인공지능 사내대학은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 조성을 위해 운영되고 있다. 이번 특강은 이용섭 시장을 비롯한 사내대학 회원과 인공지능에 관심 있는 직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고 대표가 ‘인공지능(AI) 혁신 및 광주형 인공지능(AI) 비즈니스 모델 시사점’을 주제로 강연을 하는 내용으로 진행됐다.
특히 인공지능(AI)를 활용한 기업혁신 사례 및 최신 기술동향, 인공지능(AI)혁신을 위한 정보통신(IT)-기반 시설에 대한 설명이 이뤄졌다.
강연에서 고 대표는 “인공지능 사업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존 인력의 인공지능 재교육, 인공지능 기술 보유 인력 확충 등이 선행돼야 한다”며 “특히 사업 추진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고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광주시는 앞으로 사내대학 제도를 적극 활용해 공직자의 인공지능 이해도를 확대하는 한편 향후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의 비전과 청사진 수립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손경종 시 전략산업국장은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 만들기’ 추진이 숨가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공직자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과 열정 역시 날로 높아지고 있다”며 “바쁜 업무 중에도 인공지능을 이해하고 업무에 접목하려는 공직자들의 의지는 광주가 AI 4대 강국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도시로 나아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1-09 · 뉴스공유일 : 2019-11-09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이용섭 시장‧제임스 랜디 물릭 뉴욕주립대 학장 기조 연설
- 인공지능 트렌드 변화, 인공지능 미래와 삶의 변화 등 주제 연설
- 국내외 최신사례 공유, 인공지능 클러스터 발전 방안 등 논의
- 다수 기업들 참여하는 ‘AI 기술 홍보 및 제품 전시회’도 함께 열려
광주광역시와 대한민국 AI 클러스터 포럼이 주최하는 ‘제1회 대한민국 AI 클러스터 포럼’이 오는 2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4층 컨벤션홀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은 ‘인간, AI, 산업이 함께하는 혁신사회’라는 주제로 산․학․연 관계자 등 700여명이 참석해 대한민국 인공지능 발전을 위한 미래정책 방안을 모색하고 인공지능이 우리의 삶과 산업발전에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해 활발하게 토론하고 공유하는 자리다.
포럼은 개회식, 기조연설, 주제발표 및 패널 간 토론 순으로 진행되며 기조연설은 이용섭 광주광역시장과 제임스 랜디 물릭(James Randy Moulic) 미국 뉴욕주립대 학장이 한다.
- 제임스 랜디 몰릭 뉴욕주립대 학장은 2016년 세기의 주목을 받은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 알파고의 바둑대국 보다 20년 앞서 IBM에서 딥 블루 컴퓨터 체스 프로젝트를 설립하고 지휘하는 등 반도체 분야 세계적 전문가이다.
이어 박영숙 (사)유엔미래포럼 대표, 박정일 한양대 교수, 박외진 (주)아크릴 대표가 각각 ‘인공지능 트렌드 변화’, ‘인공지능 미래와 삶의 변화’, ‘인공지능 산업 임팩트’라는 주제로 발표한다.
패널토론은 고영하 한국엔젤투자협회장, 정송 KAIST AI 대학원장, 이용훈 KAIST 교수, 임혁 GIST AI 연구소장인 국내 전문가들이 참여해 대한민국 AI 클러스터 성공과 기대라는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인다.
또한, 이날 포럼에는 부대행사로 인공지능 관련 기업들이 다수 참여하는 ‘AI 기술 홍보 및 제품 전시회’도 함께 열려 참가자들의 많은 관심을 끌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속에서 범국가적 차원의 인공지능 집중 육성이 필요해 정부와 지자체, 학계, 연구기관 및 기업 등이 함께 참여하는 포럼을 개최하게 됐다”면서 “국내외 인공지능의 이슈와 트렌드 심층 분석, 정책방향 제시, 혁신 사례 공유 등을 통해 대한민국 인공지능산업 생태계 조성에 광주시가 중심이 돼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장해 가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시는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를 위한 전방위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실리콘밸리와의 네트워크 구축과 지속적인 투자협력을 위한 조직 구축 등 다양한 인공지능 산업 육성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제1회 대한민국 AI 클러스터 포럼’에 참석을 원하는 사람은 광주광역시 홈페이지(http://edaynews.comhttps://m.gwangju.go.kr)와 광주정보문화진흥원 홈페이지(http://edaynews.comhttps://www.gitct.or.kr)를 통해 신청․접수가 가능하며 등록비는 무료이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0-17 · 뉴스공유일 : 2019-10-17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몬드리안에이아이(대표 홍대의)와 인천 스마트시티(대표 성기욱)는 10월 2일 양자 간 우호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기술정보 교류 및 공동연구, 협력사업 추진 등에 있어 상호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교류와 협력을 이어가기로 했다.
양측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통해 △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정보 교류·공동연구 수행 △ 보유 기술특허를 활용한 스마트시티 구현 △ 스마트시티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수익 모델 창출 △ 스마트시티 구축 관련 기술·제품의 수출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인천 스마트시티는 인천시가 100% 출자한 국내 최초의 스마트시티 전문기업으로, 공공·민간의 시스템 연계를 통해 스마트시티 서비스 모델 발굴 및 수출을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몬드리안에이아이는 이번 협약을 통해 IoT-인공지능 기반의 자가운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 스마트 CRM 플랫폼 구축 사업과 더불어 몬드리안에이아이의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력을 통해 도시의 발전과 확대에 따른 안전, 교통, 환경 등 도시문제를 해결하여 인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서 인천 스마트시티 성기욱 대표는 “인천시의 스마트시티 구축에 있어서 다방면의 접근을 통한 시민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며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 스타트업인 몬드리안에이아이와 실질적으로 구현 가능한 사업모델의 창출, 현안 과제에 대해 활발한 교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몬드리안에이아이 홍대의 대표는 “스마트시티는 제4차 산업혁명의 근간으로서 정부에서도 다양한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인천 스마트시티와의 연구 및 사업화 협력 추진을 통해 인천이 대표적인 스마트시티로 발전하는 데 있어 촉매제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 몬드리안에이아이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0-12 · 뉴스공유일 : 2019-10-1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원자력환경기술개발의 제염기술과 실증설비가 일본 제염해체 학술지에 소개됐다.
원자력환경기술개발㈜(NEED: Nuclear Environment Engineering & Development, 대표 임병우)는 독자 개발한 ‘세슘오염소각재를 제염·정화하는 설비(MCR5.0)’를 이용하여 일본 후쿠시마 현지에서 진행한 제염성능 실증시험 결과를 이론적으로 정리한 학술논문이 일본의 공익재단 원자력백엔드추진센타(RANDEC)의 제염해체 전문 학술지인 ‘디커밋션 技報’ 제60호(2019년 9월호)에 실렸다고 밝혔다.
RANDEC은 원자력시설의 폐지조치(제염·해체) 및 원자력 개발·이용에 따라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을 처리·처분하는 원자력백엔드에 관한 사업의 실시와 성과의 보급을 통해 지구환경의 보전 및 원자력개발의 원활한 발전과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사회의 형성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하여 과학기술의 진흥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본의 공익재단이다.
또한 RANDEC은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발생한 세슘오염 토양과 소각재 등의 방사성 폐기물에 대해서도 적극 관여하고 있다. 일본의 원자력관련 기기 제작사, 종합건설사 등의 수많은 회원사와 더불어 정부 부처, 지자체 및 제염사업자들에게 본 학술지가 배포되고 있어, NEED의 제염기술과 설비가 상용화에 성공하였다는 것을 일본국내의 원자력 관련 기관에도 널리 홍보할 수 있게 되었다.
원자력환경기술개발은 MCR5.0 제염설비의 연내 판매와 향후 이 기술을 기본으로 설비를 대형화하여 제염 플랜트를 공급하는 방안도 마련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원자력환경기술개발 개요
방사능폐기물의 제염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이며, 2016년 1월 창립, 일본 후쿠시마원전 사고로 오염된 폐기물에서 세슘을 제거하는 설비를 개발하여, 일본에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0-10 · 뉴스공유일 : 2019-10-10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교육청(교육감 장휘국) 페이스북 팔로워가 3만 명을 돌파했다. 최근 시교육청 페이스북 페이지는 적정규모학교 육성 등 ‘핫한’ 정책에 대한 공론장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해당 페이지를 향한 시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시교육청은 지난 10월4일 ‘광주광역시교육청 페이스북 페이지’ 팔로워 수가 정확히 30,000명에 도달했다고 7일 밝혔다. 7일 오전 10시 기준 팔로워 수는 3만 131명이다.
교육청은 2011년 9월 페이스북에 페이지를 개설해 시민과 소통을 이어왔다. 팔로워 구성원은 15~19세가 10%, 20~26세가 44%, 27~37세가 19%, 38~46세가 10%를 차지해 현장 교육과 정책에 실제로 관심이 있는 세대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국가 구성비도 대한민국이 95%를 차지해 허수가 아닌 실제 시민들로 이루어져 있다.
7일 기준 광주교육청 주요 SNS 팔로워 수는 인스타그램 7,078명, 카카오스토리 채널 1,507명 등으로 집계돼 사회관계망으로 통해 소통하는 시민들 수는 3만8천명에 달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의 경우 인구수 대비 팔로워 숫자의 비율이 17개 시·도중 세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이 SNS를 통해 소통하는 내용은 최신 교육 정책, 학교 현장 소식, 계기교육자료, 교육행사소개 등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거나 실제로 관심을 갖는 사항들이다.
시교육청 홍보팀 송정란 사무관은 “앞으로 페이스북뿐만 아니라 블로그, 유튜브 등 보다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시민 여러분과 소통하는 광주교육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교육청은 이번 페이스북 팬 3만 돌파를 기념해 댓글 쓰기 등 감사 이벤트를 실시할 계획이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0-08 · 뉴스공유일 : 2019-10-08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플리어 시스템(FLIR Systems, Inc.)(나스닥: FLIR)이 아리아 인사이트(Aria Insights, Inc.)의 지적 재산권과 일부 영업 자산을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거래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종전 상호가 사이파이 웍스(CyPhy Works, Inc.)인 아리아는 테더드 소형 무인항공시스템(sUAS) 개발에 앞장서 왔다. 아이로봇(iRobot) 공동설립자인 헬렌 그레이너(Helen Greiner)가 2008년 설립했고 최고의 기술 투자자들 다수로부터 지원을 받은 아리아는 특히 영속 항공 정찰 통신(Persistent Aerial Reconnaissance and Communications, PARC) 테더드 드론을 개발했다. 아리아는 2019년 3월 사업을 중단했다.
테더드 드론은 지속적인 전원 공급과 안전한 통신을 제공하는 미세섬유 와이어를 통해 기지국이나 차량에 연결된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테더드 드론은 자유 비행 무인항공시스템을 넘어서는 이점을 제공하는데 이는 보다 긴 시간 동안의 임무 수행을 위한 지속적인 작동과 끊임 없이 반복되는 상황 정보 인식을 가능케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정보와 감시 및 정찰(IS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아리아 자산은 플리어의 무인 시스템 및 통합 솔루션 부서와 통합됨으로써 2016년 프록스 다이내믹스(Prox Dynamics), 그리고 올해 초 에리온 연구소(Aeryon Labs) 및 인데버 로보틱스(Endeavor Robotics) 인수를 통해 구축되어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회사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게 된다.
플리어의 정부 및 방위사업 부문 사장인 데이비드 레이(David Ray)는 “테더드 무인항공시스템은 군사력 보호와 국경 보안 및 중요 인프라 보호에 관한 한 점점 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며 “아리아의 혁신적인 기술과 지적재산권 자산은 우리가 현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 부문에서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솔루션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
아리아 인사이트의 전 CEO인 랜스 반덴브룩(Lance Vandenbrook)은 “플리어 시스템으로의 자산 매각을 마무리하게 되어 기쁘다”며 “우리는 사이파이 웍스 및 아리아가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우리 팀이 개발한 기술에 자부심을 갖고 있으며 플리어가 이를 차별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앞으로 몇 년 동안 중요한 미션을 뒷받침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플리어 시스템(FLIR Systems, Inc.) 개요
1978년에 설립된 플리어 시스템(FLIR Systems)은 방위, 산업 및 상업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지능적 감지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세계 선도적 산업 기술 기업이다. 플리어 시스템의 비전은 전문 직업인들이 생명과 생계 수단을 구하는 결정을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내릴 수 있게 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세계의 제6감(The World’s Sixth Sense)’이 되는 것이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www.flir.com) 방문 및 트위터(@flir) 팔로우.
미래예측진술
이 보도자료에서 데이비드 레이가 위에 기술한 계약 및 주문과 관련하여 언급한 진술과 기타 진술 내용은 1995년 미국 증권민사소송개혁법(Private Securities Litigation Reform Act)의 규정 범위 안에서 작성된 미래예측 진술이다.
이러한 진술은 경영진의 가정을 바탕으로 플리어의 사업에 대한 현재의 기대·예측·추정에 근거하며 예측하기 힘든 불확실성이나 리스크는 물론 향후 성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 성과 및 결과는 미래예측진술에 명시된 예상 및 전망치와 크게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요인에는 이 보도 자료에서 언급한 시스템 제조·인도 능력, 제품 가격 및 수요 변동, 제품 및 가격 경쟁력의 영향, 핵심 부품 부족에 따른 공급 제약, 생산 능력 초과 및 부족, 적기에 제품을 제조하고 운송하는 능력, 미국 수출 규제법 및 규정 등이 있다.
이러한 위험, 불확실성, 기타 요인들은 플리어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하는 여러 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측성 진술은 산업 및 시장 여건, 성장률, 국내외 경제 상황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이 보도 자료에서 언급된 미래예측진술들은 보도 자료를 작성한 날까지의 상황이나 사건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플리어는 이 보도 자료가 발표된 이후에 발생한 상황이나 사건, 또는 통신사 및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 의한 이 문서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미래예측진술을 업데이트할 어떠한 의무도 지지 않는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뉴스등록일 : 2019-10-04 · 뉴스공유일 : 2019-10-04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한빛원전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17년 11월 3일 출범한 한빛원전 안전성확보 민관합동조사단(이하 조사단)은 2019년 6월말일자 조사활동 종료에 이어, 지난 1일 영광군청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조사단 활동결과 군민보고회를 끝으로 1년 8개월간의 활동을 종료한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한빛원전 3호기 증기발생기 이물질 발견, 부실공사 의혹 등 군민 불안감이 증폭됨에 따라 문제점들을 밝혀내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하고자 구성되었으며, 2018년 3월 외부 전문 검사기관을 선정하여 격납건물 콘크리트 구조물 안전성, 내부철판 부식, 증기발생기 및 주요기기, 제도개선 분야 등 4개 분야에 대해 집중 조사활동을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콘크리트 구조물 내 공극이 200군데 이상 발견되 그리스 누출, 내부철판 부식에 따른 감도 변화 등의 문제점을 발견했으며 처음 조사를 시작한 한빛 3, 4호기 이외 타 호기, 그리고 타 원전까지 공극과 구리스 전수조사를 이끌어 내는 등 그간 한수원과 정부의 조사결과를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날 최종 보고회에서 각 분야 전문가들은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서 한빛원전 격납건물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해 3자 검증을 통한 투명성과 객관성 확보, 사업자 주관 원격검사장비 개발을 통한 격납건물 내부철판 상부돔 검사, 증기발생기 및 주요기기, 제도개선 분야에서 이행 요구한 사항에 대해 세부이행계획을 수립하여 조치할 것을 정부와 한수원측에 요구했다.
김규현 조사단 공동단장은 마지막 인사말을 통해 민관합동조사단 구성부터 활동까지 여러 우여곡절이 많았고, 한편으로는 조사단 활동과 관련하여 오해와 갈등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나 군민의 고귀한 생명과 소중한 재산을 지키기 위한 사명감으로 최선을 다했다며, 조사활동은 종료되었지만 앞으로도 한빛원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항상 감시하고 적절한 대안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단은 원자력발전 소관 관계부처인 국무조정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들이 위원으로 참여하여 원전 소재 지자체 주민들의 요구ㆍ건의사항들을 서로 이해하고 파악함으로써 조사활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던 것으로 민과 관이 신뢰 프로세스를 구축한 실효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0-02 · 뉴스공유일 : 2019-10-0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광역시는 미래 신성장산업인 드론산업 육성을 위해 11월2일부터 3일까지 김대중컨벤션센터, 제31보병사단에서 ‘2019빛고을드론페스티벌’을 동시 개최한다.
올해 4회째를 맞는 드론페스티벌은 드론배틀월드컵, 드론소프트웨어(SW)코딩, 미니드론레이싱, 광주관광 드론 촬영영상 공모전 등 6개 종목으로 운영된다.
이번 대회에는 제31보병사단, 북구청, 광주시민 등 5000여 명의 전국 드론 마니아가 대거 참여해 열띤 경쟁을 벌일 예정이다. 대회 참여는 드론에 관심 있는 전국 초·중·고교생, 대학생, 일반인 등 누구나 가능하다. 참가 접수는 ‘2019빛고을드론페스티벌’ 공식 홈페이지(http://drone.kdjcenter.or.kr)를 통해 14일까지 하면 된다.
광주시는 드론배틀월드컵, 드론소프트웨어(SW)코딩, 드론클래쉬, 미니드론레이싱, 제로백타임어택챌린지 등 5개 종목의 우수 참가자에 대해서는 시장상, 교육감상, 북구청장상, 시의장상 표창과 총 950만원 상당의 시상금을 수여한다.
함께 진행되는 광주관광 드론 촬영영상 공모전은 전문가로 구성한 심사위원회에서 기획완성도, 작품성(활용가능성), 독창성 등을 기준으로 심사해 대상 1편, 최우수상 2편, 우수상 3편 등 총 6편을 선정해 수상자에게는 시장상 표창과 총 550만원 상당의 시상금을 수여한다.
수상작은 향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광주 관광홍보 자료로 활용된다. 또 행사 기간에는 드론,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신지식산업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과 구직자를 위한 ‘4차산업혁명과 함께하는 일자리 교류의 장’이 열려 취업준비생과 진학을 앞둔 중·고생들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ttp://drone.kdjcenter.or.kr)와 김대중컨벤션센터(062-611-2141)로 문의하면 된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10-02 · 뉴스공유일 : 2019-10-0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예타 면제로 확정 추진
- 국내외 전문가들로 ‘인공지능 중심도시 만들기’ 추진위 구성
- 10월 중 관련 기업들과 실리콘밸리 방문해 협력방안 모색
- “광주가 ‘AI 4대강국 대한민국’ 만드는 허브역할 하겠다”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광주가 ‘광주형 인공지능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시켜 ‘인공지능 4대 강국 대한민국’을 만드는 허브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섭 시장은 지난 27일 오후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20회 세계지식포럼 ‘AI시티 성공의 조건–혁신과 클러스터링’ 특별세션에 참석해 광주광역시가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인공지능 대표도시 조성에 대한 계획과 포부를 공유했다.
이 시장은 “인류 역사상 3번의 산업혁명이 있었고, 그 때마다 세계 경제패러다임이 재편되면서 국가의 운명이 바뀌었다”면서 “이제 광주가 나서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해 선제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지난 1월 정부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사업을 공모했을 때, 다른 지자체들은 관행대로 다리 놓고 건물 짓는 대규모 SOC사업을 신청했지만 광주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공지능이다’는 판단 아래 전국에서 유일하게 R&D사업인 ‘인공지능중심 산업융합 집적단지 조성사업’을 신청해 확정하고 국비를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소개했다.
또 “지난 23일 국내외 내로라하는 인공지능 전문가 20여명으로 ‘인공지능 중심도시 광주만들기 추진위원회’가 출범해 슈퍼컴퓨터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김문주 박사를 저와 함께 공동위원장으로 위촉하는 한편 김 박사가 개발한 AI칩 특허기술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10월6일에는 인공지능 관련 기업들과 미국 실리콘밸리를 방문해 기업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세계적인 연구소들과 긴밀한 연대협력을 위한 첫 만남을 갖는다”면서 “오늘 이 세션을 준비한 광주과학기술원(GIST)도 내년부터 인공지능대학원을 설립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석‧박사급 인재 육성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광주는 세계 유례없는 지자체 주도의 사회대통합 노사상생의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성공시켰다”면서 “이 사업은 광주에서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뿐만 아니라, ‘고비용 저효율’의 문제에 직면한 한국경제의 체질을 바꾸고 제조업 경쟁력을 높일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광주는 아무도 가보지 않는 길을 열어 광주형 일자리모델을 성공시켰던 것처럼, 이제는 ‘광주형 인공지능 비즈니스모델’을 성공시키겠다”고 다짐했다.
끝으로 이 시장은 “여러분들의 집단지성이 짙은 안개 속을 뚫고 가는 광주의 이정표가 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면서 “산을 만나면 길을 내고, 물을 만나면 다리를 놓겠다는 봉산개도 우수가교(逢山開道 遇水架橋)의 각오로 미래를 향해 한발 한발 내딛고 있는 광주를 뜨겁게 응원해주시고, 큰 힘과 지혜가 되어주실 것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AI시티 성공의 조건’ 세션에서는 미래 우리의 삶을 결정지을 인공지능의 역할과 관련 산업의 조건 등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패널로 참여한 제이 리 폭스콘그룹 부회장은 빅데이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AI는 인류와 계속 함께 할 것이다. 처음부터 너무 크게 접근하기보다 실행적이고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성공시켜서 공신력을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다른 패널인 트리시아 왕 서든컴퍼스 공동창업자는 “실리콘밸리가 세계적으로 기술개발의 성지가 된 것은 전문가 외에 협력과 소통, 정보 공유가 있었기 때문이다”며 “AI도시를 만드는 일도 유능한 기술자 외에 인류학자, 철학자, 예술가 등 창의적인 사고를 가진 사람들의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29 · 뉴스공유일 : 2019-09-2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드론 제작·활용기술의 개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드론 전용비행시험장을 강원영월, 충북보은, 경남고성 3개소에서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
시범운영 기간은 2019년 9월 30일부터 2020년 4월 30일(7개월간)까지이며 2020년 5월에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드론의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위해서는 시제기의 비행성능, 안전성 등 다양한 시험·검증이 필요하나 그간 이를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시설은 없었다.
이에 국토부는 2017년 기획연구를 통해 드론 전용비행시험장 구축 계획을 마련하고 2018년 영월·보은·고성 3개소 착공, 2019년 인천·화성 2개소 설계용역 등 권역별 드론전용비행시험장 구축을 추진해 왔다.
이달 영월 등 3개소에 이착륙장, 비행통제센터, 정비고, 데이터분석시스템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드론 제작업체 등은 전문장비를 지원받아 비행시험, 안전성 실험 등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비행시험장은 이번 시범운영기간 동안 드론 업계, 연구기관 등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무료 개방하고 업체의 기술개발이 편리하도록 사무공간, 회의실, 휴게실 등 지원시설도 제공할 예정이다.
비행시험장 사용을 희망하는 업체나 대학교 등에서는 운영기관인 항공안전기술원 홈페이지 ‘비행공역 예약사이트(메인화면>드론안전>공역예약)’를 통해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 시 시험일자, 기체, 조종자, 비행경로 등의 정보 확인을 위해 ① 비행계획서, ② 제원표, ③ 성능검사표를 제출하고 운영센터 내 설치된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변지형을 확인하여 실제 비행 시 ‘표준운영절차(비행절차 등)’에 따라 실시하면 된다.
레이더 등을 통해 수집된 시험결과의 확인서 발급이 가능하며 정지추력시험 등 지상시험시설을 통해 기체가 다양한 기상조건에서도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앞으로 시범운영 결과를 반영하여 비행시험 절차 등 운영매뉴얼을 수정·보완하고 2020년 5월‘드론법’ 시행에 맞춰 본격 운영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첨단항공과 오원만 과장은 “드론 전용비행시험장 운영을 통해 드론 제작업체 등이 개발한 기술을 현장에서 직접 실험하고 성능검증을 확인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드론분야 기술개발 및 활용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항공안전기술원, 지자체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실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뉴스등록일 : 2019-09-29 · 뉴스공유일 : 2019-09-2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28일 2019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 3일차에는 행사기간 중 가장 많은 방문객이 스포티움 행사장을 찾았다. 주간에는 호남권 스마트 디바이스톤 대회, 스마트 모빌리티×인공지능 혁신성장 포럼 관람이 인기를 끌었고 야간에는 EDM 공연과 K-pop 콘서트를 관람하기 위해 불야성을 이루었다.
□ 2019 호남권 스마트 디바이스톤 대회
광주 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주관하고 전남대, 조선대, 호남대, 광주대 등 광주소재 대학들이 참여한 2019 호남권 스마트 디바이스톤 대회가 9월 27일 금요일부터 이튿날 28일까지 2일간 영광스포티움 학술행사장에서 펼쳐졌다.
스마트 디바이스톤 대회는 미래기술의 핵심으로 모든 차세대 산업과의 연계로 각광을 받고 있는 5G와 3D프린팅을 기반으로 기존에 가지고 있는 모든 아이디어를 형상화 및 제품화하여 전국의 메이커 문화저변을 확산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국적으로 성황리에 개최되고 있는 대회의 호남권 대표로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에서 시행된 이번 대회에는 약 50여명의 대학생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바탕이 되었고 날을 세워 작업하는 열정으로 엑스포 열기를 더했다.
수상여부보다 젊은 세대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고민과 참신한 아이디어가 빛을 발하였으며, 관람객들의 호기심과 미래기술의 단면을 엿볼 수 있는 행사로 성료되었다.
□ 스마트 모빌리티×인공지능 혁신성장 포럼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주관한 스마트 모빌리티×인공지능 혁신성장 포럼은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해 인공지능 산업과의 상호발전방향에 대한 주제로 진행되었으며 기존 하드웨어 위주의 모빌리티 산업에 인공지능 서비스를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시작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관람객의 스마트 모빌리티 산업의 동향과 발전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차세대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방안을 도출함과 동시에 인공지능 서비스에 대한 대국민 공감대 형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거두었다.
2시간 동안 진행된 이번 포럼은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산·학·연 관계자와 일반시민 10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토크콘서트를 통한 어려운 개념에 대한 쉬운 이해를 유도하여 일반인의 만족도가 높았다.
□ K-pop 콘서트 성료
엑스포 개최 전부터 가장 큰 기대를 모았던 K-pop 콘서트가 많은 관중들의 환호성을 바탕으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국내 인기아이돌 8팀의 화려한 공연으로 2시간동안 쉴 새 없이 진행된 K-pop 콘서트는 B1A4의 인기멤버 산들과 배우 김다예가 사회를 맡았고 온앤오프의 공연을 시작으로 비와이, 에이프릴, 산들, JBJ95, 틴탑, 현아, SF9 등 인기아이돌의 순서로 이어졌다.
공연 중간에는 개막식에서 선보였던 드론공연이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였고 관람객의 환호성이 끊이지 않아 불야성을 이루게 했다. 이번 K-pop 콘서트를 통해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는 딱딱한 산업박람회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각종 수준 높은 문화행사와 융합된 종합전시회로서의 위상을 높이게 되었다.
한 K-pop 콘서트 관람객은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에 방문하여 신나는 체험을 즐기고 여러 e-모빌리티 제품에 대한 정보와 산업전반의 흐름을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가까운 영광에서 K-pop 스타를 만나볼 수 있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추억을 남겼다.”며 만족스런 반응을 보였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29 · 뉴스공유일 : 2019-09-2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영광군(군수 김준성)은 지난 20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전남대학교 서성채 교수를 초청하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적 사고라는 주제로 군 산하 공직자 교육을 실시했다.
이날 교육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3D프린팅, 로봇(Robot) 등 미래를 바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들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교육함으로써 변화하는 행정환경에 직원들이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어 실시됐다.
특히, 서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용 공개플랫폼을 이용해 행정에서 생산하고 있는 공공 데이터를 우리 군 현안 업무를 위한 정책수립에까지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해 직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았다.
군 관계자는 “영광군의 공무원들이 빅데이터를 행정 업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시대에 뒤처지지 않는 스마트 행정서비스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21 · 뉴스공유일 : 2019-09-21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서울--(뉴스와이어) 2019년 09월 19일 -- 삼성전자가 3대 소프트웨어 기술로 무장한 역대 최고성능의 PCIe Gen4 SSD 19종을 출시하며 SSD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새롭게 적용한 기술은 △낸드 칩이 오류 난 경우에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네버 다이(Never Die) SSD ‘FIP’ △사용자별 가상의 독립된 공간을 제공하는 ‘SSD 가상화’ △초고속 동작에서도 빅데이터를 이용해 데이터를 정확히 판독하는 ‘V낸드 머신러닝’ 등 3가지다.
삼성전자는 전 세대 대비 2배 이상 향상된 속도와 최대 30.72TB 용량을 제공하는 PCIe Gen4 ‘PM1733·PM1735’ SSD 시리즈에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기술까지 더해 초고용량 프리미엄 SSD 시장의 성장을 지속 선도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초고용량 SSD 시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연 ‘3大 소프트웨어’ 기술
‘네버 다이(Never Die)’ SSD를 구현한 ‘FIP(Fail-in-Place)’기술은 낸드 칩이 오류가 나더라도 SSD가 문제없이 작동하도록 해 60년 스토리지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새겼다.
서버와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초고용량 SSD는 내부의 수 백개 낸드 칩 중 한 개만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SSD를 통째로 교체해야 하고 이에 따라 시스템 가동을 중지한다던가 데이터 백업에 추가 비용을 써야 하는 등의 부담이 있었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FIP기술’로 ‘Never Die’ SSD를 구현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했다.
‘FIP 기술’은 낸드 칩의 오류를 감지하는 기술(Fault chip detection)과 낸드 칩으로 인해 손상된 데이터를 검사하는 기술(Fault Data Scan), 원본 데이터를 정상 칩에 재배치하는 기술(Data Re-Location)로 구성됐다.
30.72TB 초고용량 SSD제품에 FIP 기술을 적용하면 512개의 낸드 칩 하나하나의 동작 특성을 감지해 이상이 발생하면 자동적으로 오류처리 알고리즘을 가동해 고성능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동작한다.
‘SSD 가상화 기술’은 한개의 SSD를 최대 64개의 작은 SSD로 분할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자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가상화 기능을 지원한다.
클라우드 업체는 이 기술을 이용해 동일 자원으로 더 많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상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 서버의 CPU가 전담하던 가상화 기능을 일정 부분 SSD가 자체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서버 CPU의 사용량과 탑재 SSD의 개수를 대폭 줄이는 등 서버 소형화를 통해 경제성도 높일 수 있다.
‘V낸드 머신러닝’ 기술은 각 낸드 층의 셀 특성과 셀 회로 간의 차이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정확하게 예측하고 판독할 수 있게 한다. SSD의 전송 속도가 빨라 짐에 따라 초고속으로 셀(Cell)의 미세전류를 감지해 데이터를 읽어야 하는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데이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3비트 낸드보다 더욱 정밀한 셀 제어 기술이 필요한 4비트 낸드를 100단 이상 쌓은 SSD에서도 고성능, 고용량, 고안정성 등의 특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역대 최고 성능의 NVMe SSD ‘PM1733 & PM1735’ 시리즈
삼성전자는 3대 소프트웨어 기술을 바탕으로 8월부터 기존 대비 속도를 2배 이상 높인 역대 최고 성능의 차세대 PCIe Gen4 인터페이스 기반 NVMe SSD PM1733과 PM1735 시리즈를 양산하기 시작했다.
PM1733과 PM1735 시리즈는 2.5인치(U.2)와 HHHL(카드타입)의 2가지 규격(Foam Factor)으로 0.8TB 제품부터 업계 유일 30.72TB 제품까지 19개 모델로 출시되어 글로벌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게 되었다.
특히 ‘12.8TB PCIe Gen4 NVMe SSD(PM1735)’는 역대 최고 연속 읽기(8GB/s)·쓰기 속도(3.8GB/s) 제품으로 SATA SSD보다 최대 14배 이상 빠른 속도를 구현했고 임의 읽기·쓰기 속도도 각각 145만 IOPS(초당 입출력 작업 처리 속도), 26만 IOPS를 달성했다.
또한 이 제품은 SSD 전체에 해당하는 용량을 매일 3번씩 저장(3 DWPD: 3 Drive Writes Per Day) 하더라도 최대 5년의 사용 기간을 보증하는 내구성을 갖췄다.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솔루션개발실장 경계현 부사장은 “역대 최고 속도와 용량 그리고 업계 유일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프리미엄 SSD 시장을 빠르게 확대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최고 성능의 6세대 V낸드 기반 스토리지 라인업을 출시하여 글로벌 IT 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삼성전자는 혁신적인 3대 소프트웨어를 더 많은 서버와 데이터센터용 SSD 등 폭넓은 분야에서 글로벌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에 적극 대응해 프리미엄 스토리지 시장을 선도해 간다는 전략이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코아링스 산업신문
뉴스등록일 : 2019-09-19 · 뉴스공유일 : 2019-09-20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광역시 북구 대촌동 광주시민의 숲 부근 하천부지에 위치한 드론 비행연습장에 1만343㎡ 규모의 드론공원이 조성된다.
광주광역시는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론의 저변 확대와 시민들의 레저활동을 위해 18일 익산지방국토관리청, 북구와 ‘드론공원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해 10월 국토교통부가 하천부지 내 드론비행이 가능한 레저·문화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점용허가 세부기준을 변경해 추진하게 됐다.
앞으로 시는 시민들의 레저, 취미활동을 위한 행·재정적 투자를 하고, 익산국토청은 하천부지 내 점용허가를, 광주 북구는 드론공원 조성과 드론공원 활성화 및 운영을 맡게 된다.
드론비행연습장은 지난 5월부터 드론 교관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가를 통해 기초체험반, 항공촬영반 등 시민을 대상으로 무료 체험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주중에는 지역 내 드론 관련 기업들의 테스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 예약을 통해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시는 향후 드론공원을 초경량비행장치 상시 실기시험장으로 지정받기 위해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협의 중이다. 상시 실기시험장으로 지정받으면 시민들이 드론 자격증 취득을 위해 전남 순천, 장흥 등 타지로 가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시는 제31보병사단, 북구와 지난 5월 ‘광주 드론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드론 테스트베드 구축 관련 협약’을 체결하고 제31보병사단 내에 10월까지 드론 테스트베드를 구축키로 했다.
손경종 시 전략산업국장은 “지역 전략산업인 드론산업 육성을 목표로 먼저 시민들이 드론을 쉽게 접하고 즐길 수 있는 인프라로 드론공원을 조성키로 했다”며 “향후 시민의숲 물놀이장, 야영장과 연계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더욱 풍부한 즐길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19 · 뉴스공유일 : 2019-09-1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대구시는 올해 초부터 운영 중이던 신기술플랫폼제도를 체계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신기술플랫폼 운영 규정’을 제정해 9월 10일부터 시행했다.
‘신기술플랫폼 운영 규정(훈령 제1284호)’은 신기술이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공개된 경로를 제공하고 우리시가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올 혁신적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 규정은 외부전문가가 참여한 검토회의단을 운영해 시범운영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수정·보완하고 법령에 따른 적법성을 검토했다. 특히, 신기술의 도입과 활성화 등을 위해 기술보유자와 발주부서에서 제시하는 의견을 과감히 수용해 장벽을 제거하기도 했다.
주요내용은 신기술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그룹 구축·운영, 자유로운 시장진입을 위한 신기술플랫폼 등록 심의, 공정하고 투명한 기술선정을 위한 신기술활용심의, 지역 기술개발촉진 및 초기시장 진입을 위한 테스트베드 지원 등으로 신기술플랫폼제도의 운영근거와 정당성을 확보했다.
진광식 대구시 자치행정국장은 “이번 신기술플랫폼 운영 규정 제정을 통해 신기술 플랫폼 운영 제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신기술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기반환경을 조성하게 되었다”며 “신기술과 기술보유자가 대구로 자연스럽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4차 산업 기반조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신기술플랫폼 제도 시행 이전에는 신기술 보유업체의 신기술 홍보 창구가 없어 개발된 기술을 제대로 홍보하지 못하였을 뿐만아니라, 신기술 활용에 대한 책임 등으로 인한 발주부서의 소극적인 대응으로 신기술의 시장진입이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러한 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대구시에서 2017년 7월부터 법령검토, 사례조사, 의견수렴, 시범운영 등을 거쳐 금년 1월부터 전국 최초로 신기술심사과를 신설해 신기술플랫폼 제도를 운영해오고 있다.
신기술플랫폼제도는 올해 8월 행정안전부에서 주관하는 적극행정 우수사례로도 선정된 바 있으며, 타 시도의 벤치마킹이 끊이지 않고 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15 · 뉴스공유일 : 2019-09-15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인천 미추홀구(구청장 김정식)와 인하대학교, GIBI(Global Incheon Block-chain Initiative)는 지난 10일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협약식을 가졌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도시 생활 속에서 유발되는 교통, 환경등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들이 편리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하는 것이 골자다.
미추홀구와 인하대학교, GIBI는 미추홀구 주민체감 스마트시티조성, 원도심 발전 및 전략산업 육성을 위한 SW 중심대학 유치사업, 지역 청소년 블록체인 역량강화 교육, 로컬기업 및 예비창업자를 위한 미추마켓 운영의 4개 분야에 대해 합의하고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미추홀구는 스마트시티분야에서 출발이 늦어졌지만 인하대학교, GIBI, 청년기업 등 지역 주체들과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올해 행정안전부 ‘과학기술 활용 주민공감 지역문제 해결사업’에 인천에서 유일하게 선정되기도 했다.
또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청년기업 공유공간 빈집은행과 함께 원도심 문제에 대한 해커톤을 진행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구 관계자는 “이번 협약을 통해 구와 인하대학교, GIBI는 보다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향 후 구가 직면한 원도심의 다양한 문제 및 도시재생의 과제들을 현명하게 풀어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12 · 뉴스공유일 : 2019-09-1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동대문구(구청장 유덕열)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창의‧융합적 인재를 육성하고자 ‘나도 크리에이터’ 과정을 마련하고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번 과정은 ‘2019 서울지역 창업체험센터 프로젝트’의 하나로, 청소년들이 1인 크리에이터 직업 체험을 통해 창의적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는 이달부터 11월까지 총 5회에 걸쳐, △유튜브 채널 운영 △작품 기획 및 대본 작성 △영상 촬영‧편집 △음향‧영상 효과 삽입 등 이론과 실습을 망라해 종합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이론 수업은 ‘서울지역 창업체험센터 운영기관’으로 선정된 동대문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 ‘와락’에서, 견학 및 실습 과정은 배우 하지원의 소속사인 해와달엔터테인먼트에서 진행해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가능하다.
아울러 우수작품은 해와달엔터테인먼트의 유튜브 채널에도 게시될 예정이다. 구는 이달 11일(수)까지 과정 참가자 3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9-03 · 뉴스공유일 : 2019-09-03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광주 서구(구청장 서대석)가 27일 동 담당자 교육을 실시하고 오는 9월부터 고독사 예방을 위한 모바일 안심케어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모바일안심케어 서비스는 노인, 중·장년층, 은둔형외톨이 등 고독사 고위험 1인가구를 대상으로 대상자들의 휴대폰 또는 유선전화를 통신사와 연계해 진행된다.
대상자들의 전화기에 일정기간 수신과 발신 등 통신이력이 없거나 장시간 전원이 꺼져 있을 경우 동행정복지센터 담당 직원에게 실시간으로 안부확인 알림이 통보된다.
알림이 통보되면 담당직원은 유선 또는 방문을 통해 안부를 확인하고 조치결과를 모니터링 시스템에 입력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서구청 관계자는 “모바일안심케어 서비스가 촘촘한 사회안전망과 함께 자연스러운 사회관계망을 형성하길 기대한다.”며 “보듬우리 네트워크가 따뜻한 이웃을 만드는 연결고리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복지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구는 금년 1월 복지사각지대, 위기가구 등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복지1촌맺기, 보장협의체, 희망플러스, 서구민한가족운동 등 민·관 자원들을 촘촘히 연계하는 서구 보듬우리 네크워크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뉴스등록일 : 2019-08-27 · 뉴스공유일 : 2019-08-27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지난
21일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 미디어강사 과정이 드디어 수료를 앞두고 각 조별로 시연 및 발표회를 개최했다. 놀라운 일은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 자발적으로 빔프로젝터용 PPT자료를 만들어 긴장감을 갖고 앙팡지게 발표를 한다.
21명 전원 수료를 목표로 운영아ㅣ 되었던 미디어강사과정은 1~3조로 나누어 수료직전 시연회를 가졌는데 본 영상은 김영수 행정학 박사가 원숙한 손놀림으로 차분하게 설명을 이어가며 참석한 강사들에게 선봬고있다.
항상 긍정의 마인드로 도전을 겁내지 않는 김 박사의 열정은 참석자 전원이 동의하며 앞으로도 쭈욱 계속되어질 것으로 한편으로는 그의 잘 다듬어지고 친화력있는 처세가 시청하는 참석자들에게 부러움을 선사할 뿐이다.
한편, 21명의 미디어강사들은 오는 28일 수료식을 가질 예정이며 수료와 동시에 유아에서 어르신들까지 포괄적인 미디어강사로서 그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관계자는 밝혔다.
뉴스등록일 : 2019-08-23 · 뉴스공유일 : 2019-08-23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순천시에서는 순천의 숨겨진 매력을 사회적관계망(SNS)를 통해 국제적으로 알리는 기회 마련을 위해 주한 외국인 SNS 학생기자단을 지난 22일(목)부터 23일(금)까지 이틀간 순천에 초청했다.
시에 따르면 ‘2019 순천 방문의 해’를 맞아 순천의 생태 브랜드 가치를 파급력이 있는 SNS를 통해 널리 알리고자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팸투어를 실시했다.
이번에 참여한 외국인 SNS 기자단은 10명으로 베트남,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온 유학생이다.
22일 첫날은 순천드라마촬영장과 낙안읍성, 국가정원 물빛축제 등을 관람하면서 순천의 여름을 즐겼다. 특히 제7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막일을 맞아 개막식에 참가하는 특별한 추억을 쌓기도 했다.
둘째날은 순천만습지의 출렁이는 초록 갈대와 함께 순천의 생태자원을 직접 느끼는 시간을 보냈다.
팸투어 참가자들은 “순천은 정원의 도시답게 가는곳마다 힐링이 되고, 세계 동물영화제가 열리는 것도 특별했다”며, “국가정원의 물빛축제등 순천의 여름이 즐거웠다며, 가을에도 다시 오고싶다”고 말했다.
이번에 팸투어에 참여한 기자단은 개인별 SNS와 순천시 태그를 통해 순천을 을 알릴 예정이다.
시는 주한 외국인 SNS 기자단 팸투어 뿐 아니라 9월중 1인 크리에이터와 함께하는 순천 여행을 통해 순천을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 널리 알릴 계획이다.
뉴스등록일 : 2019-08-23 · 뉴스공유일 : 2019-08-23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영광군(군수 김준성)은 군남면에 위치한 대창 초록권역 농촌마을에 농어촌공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연계하여 중소기업 가족연수를 실시한다.
군남면 대창 초록권역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49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추진한 권역단위 종합정비사업으로 연간 1,800명이 방문하여 염색 및 다도체험, 드론체험 등을 하고 있다.
이번 연수는 휴식 있는 삶, 가족과 함께하는 삶이라는 주제로 농어촌공사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 추진하고 있는 가족연수 프로그램으로 농촌마을의 숙박시설 및 체험․연수 프로그램을 중소기업에 제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근로자 복지가 미흡한 중소기업은 이를 활용함으로써 복지향상이라는 효과를 거두고 있어 참여자 만족도는 물론 농촌마을 재방문율도 높은 프로그램이다.
영광군 관계자는 “9월중 2회에 걸쳐 100여명이 참여하는 가족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군 홍보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등록일 : 2019-08-17 · 뉴스공유일 : 2019-08-17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8월초부터 시작된 20여명의 미디어강사과정의 강사가 13일 미디어강사 시연을 가졌다.
막힘없이 유투브면 유투브, 카톡이면 카톡, 페이스북이 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밴드에 진정한 고수들이 나타났다.
조별 편성해 기발나게 아이디어를 낸 각 조가 나름 만족한 수업의 발표들을 지켜 보면서 일반 사회활동과 역사, 문화, 사회와 음악, 미술, 과학, 특기, 취미를 넘어서고 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8-16 · 뉴스공유일 : 2019-08-16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13일 미디어강사 수업에 광주 모 초등학교 교사가 강사로 왔다.
갓 40세의 교사는 열정 그 자체였다.
분명히 교육대학교를 졸업해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그가 무슨 자격으로 들어왔을까?!
반신반의하였는데 이거 웬걸!!!
보통실력의 미디어 전문가가 따로없다.
막힘없이 유투브면 유투브, 카톡이면 카톡, 페이스북이 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텔레그램, 밴드에 진정한 고수가 나타났다.
그가 조별 편성해 기발한 신세대 감각으로 좌지우지해 갔다. 만족한 수업의 발표를 보면서 우리의 청출어람을 생각해 봤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8-16 · 뉴스공유일 : 2019-08-16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남양주시(시장 조광한)는 아파트 사업시행자가 진출입 도로 개설 후 11년간 미등기 상태로 방치된 토지에 대해 최근 소유권을 확보 했다고 13일 밝혔다.
해당 토지는 화도읍 가곡리 소재의 아파트의 진출입 도로로 2008년에 토지개발 사업 완료 후 5필지의 지적공부가 폐쇄되고 새로이 1필지로 지적 공부를 시행했으나 최근까지 사업 시행자가 소유권 보존등기를 이행하지 않아 미등기 상태로 11년간 방치된 재산이다.
시 관계자에 의하면 관련 토지는 공유재산 실태조사를 위해 시가 보유중인 드론을 활용하여 조사 하던 중 아파트의 진입 도로의 토지 등기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 한 달여간 검토한 결과 시로 소유권이 확보되지 않은 채 미등기된 은닉 공유재산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에 찾은 토지는 면적 1,676㎡, 가감정액 3억3500만원 상당이다.
남양주시는 2018년부터 은닉 공유재산을 지속적으로 발굴한 결과 12억 이상의 시 재정을 확충하는 등 공유재산 관리업무에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으며, 현재 추가로 소유권 이전이 안 된 토지 약 200여 필지를 발굴하여 해당 기관과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뉴스등록일 : 2019-08-13 · 뉴스공유일 : 2019-08-13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물레방앗간, 방앗간의 발동기소리, 뽕나무속에서 뽕잎따는 아가씨, 기차길옆 오막살이 등등
일제치하에서 벗어나 자유를 만끽하는세대가 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되시고 고인이 되시고 그러면서도 어려울때나 힘들 때에도 청춘남녀의 사랑이 익어간 곳!!
뉴스등록일 : 2019-08-12 · 뉴스공유일 : 2019-08-1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누구나 행복해질 권리가 있다.
부모가 조부가 누구였는가 어떤 일을 했고 어떤 직업군을 선택해제 2의 인생을 맞이해 올 수 있다.
110년된 물레방아틀을 보면서 감탄을 했다.
지난 9일은 그렇게 전북 정읍 산외면에서 풍요롭게 즐기는 시간을 갖기도 했다.
뉴스등록일 : 2019-08-12 · 뉴스공유일 : 2019-08-1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우리의 소리를 원하십니까! 물레방앗간에서 진화되어 그 자손이 전북 정읍 산외면에서 수력발전소를 운영하고 발동기전시장을 갖추고자 노력을 다 하는 곳에서 8월 10일에서야 비로소 들어본 발동기소리를 들어보시겠습니까??
이렇게 우리주변에는 잊혀져가는 소리가 있습니다. 참으로 반가운 소리가 있습니다. 발동기가 돌 때마다 '돈돈돈~~!!!'하면서 돈다는 '통통~~!!'방아 찧는 소리입니다. 신기하리만큼 뜻하지 않은 곳에서 우리의 잊혀져가는 소리를 찾았습니다.
잠시,
모든 일을 멈추시고 영상에 따른 자연의 소리에 숨죽여서 들어 보십시오. 훨링이 되는 자연의 소리가 시너지되어 애청자들과 함께합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8-10 · 뉴스공유일 : 2019-08-10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8월 10일 오전 11시임에도 더위가 절정을 찍고 있다.
그나마 광주송정리역 대합실은 밖에서 더위에 숨넘어갈듯한 인파가 허겁지겁 찾아든다. 이처럼 여행객들이 드나드는 현장을 가감없이 스케치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8-10 · 뉴스공유일 : 2019-08-10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10일 광주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 미디어강사 교육중 지난 7일 실습과정에 대한 한 강사의 촬영장면이 시의적절했다.
미디어강사란 누구나가 할 수 있는건 아니다.
그러나,
아무나 할 수는 있다.
인내와 끈기 그리고 열정만 있다면~~~!!!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8-10 · 뉴스공유일 : 2019-08-10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영광군(군수 김준성)은 8월1일자로 영광 대마산업단지에 위치한 자동차부품연구원 e-모빌리티연구센터가 전남본부로 승격 되었다.
e-모빌리티연구센터는 지난 2017년 대마산업단지 2만 3천평 부지에 연구소와 각종 성능 평가 장비를 구축하고 국내 e-모빌리티 산업 생태계 육성 및 각종 e-모빌리티 연구 개발, 중소·중견기업 제품 개발 지원, e-모빌리티 산업 전문 인력 양성 등 국내 e-모빌리티 산업 전반에 대한 업무를 추진해 왔다.
이번 승격된 자동차부품연구원 전남본부는「영광 e-모빌리티연구센터」를 중심으로 튜닝산업 및 자동차부품 고급 브랜드화 사업을 추진해온「영암 프리미엄자동차 연구센터」와 통합하여 운영하게 된다. 영광 e-모빌리티 연구센터 노기한 센터장이 본부장을 겸임하고, 총괄 기획팀 신설 및 인력을 증원하는 등 본부 승격에 따른 조직 개편도 함께 이루어질 계획이다.
앞으로 자동차부품연구원 전남본부는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촉망받는 다양한 e-모빌리티 개발과 핵심부품 국산화에 역할을 집중하고, 국가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연구기획 업무를 총괄할 예정이다.
김준성 영광군수는 “e-모빌리티규제자유특구 지정 및 초소형전기차 실증사업 주 무대로 영광군이 선정된 가운데, 영광 e-모빌리티 연구센터가 전남본부로 승격되면서 영광군이 대한민국 e-모빌리티산업 발전을 견인할 중추기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8-02 · 뉴스공유일 : 2019-08-02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시흥시(시장 임병택)가 역사와 문화 등 시흥시 전반에 대한 각 분야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한 디지털시흥문화대전 구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서비스에 들어갔다.
디지털시흥문화대전은 시흥시 승격 30주년을 맞아 시흥시가 국책연구기관인 한국학중앙연구원과 공동으로 추진한 온라인 시흥시 백과사전 편찬사업의 결과물이다. 2017년부터 2년간의 자료 수집과 조사, 집필, 콘텐츠 제작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기초 조사 및 원고 집필, 멀티미디어 콘텐츠 수집ㆍ제작, 서비스시스템 개발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의 참여와 연구에 의해 제작된 디지털시흥문화대전에는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시흥시의 각종 문화 정보가 지리, 역사, 문화유산, 성씨와 인물, 정치ㆍ경제ㆍ사회, 종교, 문화와 교육, 생활ㆍ민속, 구비전승과 언어ㆍ문학 등 9개 분야에 걸쳐 약 1,600여 개의 표제어 항목(원고지 10,753매 분량)과 사진, 동영상 등 1,700여 멀티미디어 자료를 통해 입체적으로 담겼다.
임병택 시흥시장은 “시흥시 승격 30주년을 맞아 우리시 지역문화 정보가 망라된 디지털시흥문화대전을 시민 여러분들께 선보일 수 있게 되어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그동안 우리시의 문화자원 정보들을 세부적으로 찾아볼 콘텐츠들이 많지 않았는데, 잘 정돈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시흥시의 역사와 문화는 물론, 빠르게 발전하는 오늘날의 시흥시 모습까지 살펴볼 수 있게 되어 지역정보에 대한 시민들의 지적 욕구 충족과 문화 향유에 충분히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흥시 백과사전으로서 지식 정보의 보고(寶庫)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 많은 활용이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디지털시흥문화대전의 다양한 콘텐츠들은 PC 및 모바일(스마트폰) 기반의 전용 홈페이지(http://siheung.grandculture.net)를 통해 서비스되며, 네이버 지식백과 등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통해서도 검색이 가능하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31 · 뉴스공유일 : 2019-07-31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전라남도와 광양시는 클라우드 기반 축제 통합관리플랫폼을 구축, 매화축제를 포함한 4개 축제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다고 28일 밝혔다.
전라남도와 광양시는 지난 2월 ‘공공부문 클라우드 선도활용 지원사업’ 최종 대상자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광양시의 매화축제를 포함한 4대 축제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 축제 통합관리 플랫폼 구축’ 선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두 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축제 기간에만 컴퓨팅 자원을 필요로 하는 축제의 특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운영되며, 대용량 데이터 저장·처리·분석에 적합한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축제로는 최초로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PaaS-TA) 기반의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적용한 축제 서비스로 추진된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것이다.
클라우드 기반 ‘축제 통합관리플랫폼’은 관광객을 대상으로 맞춤형 축제 서비스를 하고, 축제 주관기관을 대상으로 손쉽게 축제 관리를 하도록 맞춤형 운영관리 서비스를 한다.
반응형 축제 포털 서비스 구현으로 관광객은 다양한 서비스 기기를 통해 최신 콘텐츠와 교통, 주차, 숙박, 맛집 등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게 된다. 축제 운영관리 서비스 구현으로 축제 관리자는 축제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결과 및 성과, 마무리에 이르는 축제의 모든 과정에 대한 통합 운영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축제 통합관리플랫폼’을 통해 수집되는 축제 정보를 분석해 지역 축제의 활성화 및 효율적 정책을 수립하고, 관광객들에게 맞춤형 정보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번에 구축되는 클라우드 기반 ‘축제 통합관리플랫폼’은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PaaS-TA) 적용을 통한 개발·운영환경의 표준화, 이용자 편의성 중심의 축제 서비스 및 기능 표준화, 축제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 강화를 위한 기능 및 업무 표준화를 지원한다.
또한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관리·분석·활용서비스(SaaS) 모델 마련을 통해 선도 사례 전파 및 전국 확산이 가능해, 광양 4개 축제를 대상으로 시범 적용 이후 22개 시군 축제까지 확산할 계획이다.
문형석 전남도 스마트정보담당관은 “이번 사업은 지역축제 운영면에서 체질을 개선해 지역 경제 발전과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각종 축제가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28 · 뉴스공유일 : 2019-07-28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이사장 유기상)가 전북 고창군의 농특산물 판매 촉진을 위해 고건담쇼핑몰(http://gogundammall.co.kr)을 개설 했다.
연구소는 고창군 농특산품 통합 쇼핑몰인 ‘고건담’의 활성화를 위해 보리 가공품을 생산·판매하는 고창군 소재 청맥(주)을 비롯한 11개 업체를 1차 오픈 참여 업체로 선정했다. ‘고건담’은 ‘고창의 건강을 담다’의 줄임말로, 고창군 농특산물을 통해 ‘건강한 식품을 드린다’라는 의미로 탄생했다.
고건담 쇼핑몰은 복분자, 애플수박, 바지락, 장어 등의 농・특산품은 물론 연구소와 관내 업체에서 개발한 다양한 가공 제품을 판매 하고 있다. 연구소는 고건담 쇼핑몰 구축기념 이벤트를 8월15일까지 진행한다.
회원가입 후 이벤트 페이지에 격려 댓글을 달고, SNS에 쇼핑몰을 공유하면 추첨을 통해 경품과 할인쿠폰 등 다양한 상품을 준다. 한편, (재)베리&바이오식품연구소는 2008년 고창군 향토자원을 이용한 기업 맞춤형 제품 개발을 통해 관내 식품 기업과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설립됐다.
기업현장중심연구, 농가와 동반성장하는 연구소를 목표로 보다 더 나은 먹거리 개발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소 이사장 유기상 고창군수는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과 관내 우수한 기업에서 생산하는 안전하고 건강에 좋은 제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쇼핑몰을 오픈하게 됐다”며 “고건담 쇼핑몰을 통해 고창군의 우수한 농특산품과 제품이 많이 판매되어 지역 소득증대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24 · 뉴스공유일 : 2019-07-24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전라남도농업박물관(관장 이종주)이 여름방학을 맞아 오는 8월 5일부터 9일까지 드론 체험교실을 운영한다.
드론 체험교실은 드로니어 대표 이향훈 강사의 강의와 시연으로 진행된다. 드론 개념과 역사를 시작으로 조작법, 비행 실습, 장애물 통과하기 등 이론과 실습 교육을 함께 운영한다.
지난 2015년부터 매년 무료로 운영해온 드론체험교실은 전라남도 농업박물관 농경문화 전시관 3D영상실에서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진행된다.
총 5회 기간 동안 3회 이상 참석자에게는 드론 체험교실 이수 수료증을 발급할 계획이다.
모집 인원은 선착순 30명 이내로 초등학교 이상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다. 전화(061-462-2753) 및 박물관 누리집(www.jam.go.kr)을 통해 8월 2일까지 접수한다. 모집 인원 신청 완료 시 조기 마감될 수 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23 · 뉴스공유일 : 2019-07-23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창의융합교육원이 초‧중‧고등학생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과학교실을 운영할 고등학생 과학체험강사를 양성한다. 강사 이수과정과 봉사활동 과정을 거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은 학교 생기부에 참여 내용을 기록할 수 있으며 11월까지 과학천문교육체험관 강사로 활동할 수 있다.
21일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원장 최숙)에 따르면 관내 고등학교 2학년 학생 40명을 대상으로 '2019 과학 배움-나눔 교실'을 7월20일 시작했다. 최대 11월까지 진행되는 '2019 과학 배움-나눔 교실'은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다양한 과학 진로 체험 교육의 배움 활동과 나눔을 실천하는 과학 봉사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함양과 이공계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마련됐다.
이번 프로그램 참여 대상은 올해 6월 25일부터 6월28일까지 학교장 추천 후 자료집계를 통해 선발됐다. 인원은 기초과학 20명, 응용과학 20명 등 고등학생 40명이다. 21시간 과정인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들에게 광주창의융합교육원의 과학천문교육체험관 강사 이수증을 부여하고, 차후 과학천문교육체험관에서 과학 나눔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나눔 실천을 돕게 된다.
'과학 배움-나눔 교실'은 과학 진로 체험 교육과 과학 나눔 봉사 활동 두 개 과정으로 운영된다. 과학진로체험교육 과정은 기초과학 분야(빛과학, 생명과학, 과학실험쇼, 천체관측)와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응용과학 분야(무한상상실(3D프린터, 3D펜), 항공과학(드론), 로봇과학, VR)로 각 15시간 진행된다. 7월31일까지 과학 진로 체험 교육 과정을 이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8월24일까지 과학 나눔 봉사 활동 6시간 과정이 진행된다.
나눔 봉사활동은 과학천문교육체험관에서 초, 중,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과학교실을 운영해보는 과정으로, 과학체험강사로서의 직업체험의 기회가 될 것이다. 나눔 과정까지 거친 학생 강사들은 본인이 원하는 경우 8월31일부터 11월까지 일반인 대상 과학천문교육체험관 토요체험 강사 등으로 활동할 수 있다.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 최숙 원장은 “앞으로도 과학을 즐기며 꿈꿀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해 미래사회를 이끌어갈 과학인재 양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프로그램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062-220-9764로 하면 된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21 · 뉴스공유일 : 2019-07-21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광역시교육청(교육감 장휘국)이 18일 광주 직업계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초경량무인비행장치 조종 자격 취득 지원을 위한 ‘직업계고 초경량무인비행장치 조종 자격훈련 MOU 체결식’을 가졌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KDA부설대한드론교육원과 초록우산 어린이재단이 직업계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초경량무인비행장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조종 훈련 과정을 지원한다.
광주 13개 직업계고 1,2학년을 대상으로 학교별 2명씩 총 26명의 학생들이 동・하계 방학을 활용하여 3주간 초경량무인비행장치 조종 자격 과정을 이수하고, 최종 초경량무인비행장치 조종 자격을 취득한다.
광주광역시교육청은 그동안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SW체험센터’를 설립・운영하고 있다.
SW체험센터에서는 학생들에게 3D프린터, 드론, 가상컴퓨터(VR), 로봇, 코딩, 소프트웨어,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미래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창의력, 문제 해결력, 융합적 사고력, 협동능력 등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리고 있다.
시교육청 중등교육과 최동림 과장은 “광주 직업계고 학생들이 초경량무인비행장치 조종 자격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드론 분야의 전문 인력으로 성장하고, 다가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도적인 역할 수행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19 · 뉴스공유일 : 2019-07-1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전국 소셜기자단 50명이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알리기 위해 뭉쳤다. 광주광역시는 ‘2019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성공 기원 전국 소셜기자단 초청 팸투어’를 15일부터 16일까지 실시했다.
초청된 기자들은 본인이 소속된 시·도 공식 온라인 매체뿐만 아니라 개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활발한 홍보활동과 현장 실시간 취재 등을 하고 있으며, 20대부터 60대까지 구성됐다.
팸투어는 하이다이빙 경기장 관람과 다이빙 결승전 경기 관람을 시작으로 전국 소셜기자단 간 ‘화합의 밤’을 갖고, 둘째 날은 ‘100년 이야기’ 시티투어버스를 탑승하고 5․18민주묘역 등을 탐방했다.
1박2일간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생생한 현장과 광주 곳곳의 매력을 취재한 콘텐츠는 본인이 소속된 시·도 공식 소셜미디어 채널과 개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통해 전국에 홍보될 예정이다.
팸투어에 참여한 강원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서포터즈 김현정 (44) 씨는 “평창동계올림픽 후 우리나라에서 국제 스포츠 행사가 다시 열려 감회가 새롭고 자부심을 느낀다”며 “강원도에 돌아가면 SNS를 통해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 소식을 널리 알리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 광주시 소셜기자단 나광진(29) 씨는 “세계 5대 메가 스포츠인 세계수영선수권대회가 광주만의 축제가 아닌 세계인의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전국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기자단이 한마음으로 홍보해 대회 성공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전국 소셜기자단 ‘화합의 밤’에 참여한 정종제 행정부시장은 “광주세계수영선수권대회의 생생한 현장 콘텐츠가 각 시․도의 온라인 매체에 전파돼 대회 붐을 조성하고, 광주의 매력을 홍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수영대회 이후에도 시․도 간 콘텐츠 교류 등을 통해 각 지자체만의 고유한 매력을 알릴 수 있도록 소셜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17 · 뉴스공유일 : 2019-07-17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전라남도는 오는 8월 8일 제1회 섬의 날 기념행사로 치러지는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홍보를 위해 전국에서 청년 88명이 참가한 가운데 ‘내일로 88 섬 서포터즈’ 발대식을 9일 목포역 광장에서 개최했다.
‘내일로 88 섬 서포터즈’는 섬의 날을 기념하는 의미로, SNS 활동이 활발하고 섬과 여행에 관심이 많은 전국 88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8월 10일까지 한 달간 제1회 섬의 날 행사로 진행되는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을 홍보하고, 우리나라 섬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개인 SNS에 제1회 섬의 날 기념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관련 정보와 ‘섬 여행’ 정보 등을 포스팅해 온라인상에 퍼뜨리는 홍보전도사로 활동하게 된다. 또한 개인 SNS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 공식 유튜브, 페이스북 등에 SNS의 업데이트 정보를 링크하는 등 온라인 연계 홍보활동도 하게 된다.
발대식 후 서포터즈단은 목포 사랑의 섬 ‘외달도’ 팸투어를 통해 맛이 있고, 놀이가 있고, 재미가 있는 섬 여행의 무한한 매력을 포스팅하는 것으로 첫 활동을 시작했다.
양근석 전라남도 해양수산국장은 발대식에서 “제1회 섬의 날 행사를 비롯해 섬에 대한 여러 정보를 다양한 채널로 공유하고 홍보하기 위해 서포터즈를 운영하게 됐다”며 “섬의 가치와 중요성을 SNS 등을 통해 국민들이 공감토록 활동해달라”고 당부했다.
대한민국 썸 페스티벌은 제1회 섬의 날을 기념해 ‘만남이 있는 섬, 미래를 여는 섬’이라는 주제로 8월 8일부터 10일까지 목포시 삼학도에서 열린다. 섬 주민은 물론 일반 국민 모두가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한여름 밤의 축제로 펼쳐질 예정이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09 · 뉴스공유일 : 2019-07-0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고흥군(군수 송귀근)은 드론 우수인재 양성을 위해 군이 지속적으로 지원해 온 고흥산업과학고 드론산업과가 서울 무역전시 컨벤션센터(SETEC)에서 개최된 “2019 고졸성공취업대박람회”에서 영예의 1위를 차지했다.
군은 전국 최초로 2017년도 신설된 고흥산업과학고 드론산업과를 전국적인 우수고교로 육성하기 위해 교육발전기금과 드론 국가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비를 지원해 오고 있으며 이번 수상으로 결실을 맺게 되었다.
고흥산업과학고는 최첨단 드론 장비 구축 및 현장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3년 연속 전국 각지 신입생 충원율 100%를 달성하는 등 드론 교육 관련해서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은 학교이다.
드론산업과 학생들은 3년간의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항공촬영 및 기체정비에 관한 다양한 기술을 습득하여 향후 드론 운영기관 등 여러 방면으로 취업이 가능하며, 내년 초에 첫 배출할 졸업생에 대해서는 국내 드론 유망기업에서 채용 관련 취업 문의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군은 2018년도 5천만원 지원했던 교육발전기금을 올해 1억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 지원하여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교육 제공에 도움을 주었으며, 앞으로 국가자격증 취득도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군은 지난 5월에도 우주항공축제와 연계하여 개최한 드론 체험전에서 드론산업과 학생을 자원봉사 인력으로 채용하여 학생들이 직접 드론 체험부스를 운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군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흥의 드론산업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 양성을 위해 산업과학고와 함께 다양한 드론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흥군은 하반기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와 함께 드론기업체 및 드론협회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드론산업과 학생들의 취업처를 공동 발굴하고 연계활동을 지속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09 · 뉴스공유일 : 2019-07-0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광역시는 종이고지서가 없어도 스마트폰 모바일 앱을 통해서 지방세 고지내역을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는 ‘지방세 고지서 모바일 전자송달서비스’를 7월부터 확대 시행한다.
기존 스마트위택스와 금융앱(App)을 통해서만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 하던 것을 네이버, 페이코, 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사 앱까지 확대해 서비스 한다.
대상세목은 재산세(7월, 9월), 주민세(8월), 자동차세(6월, 12월), 등록면허세(1월)이며 모바일 전자송달 서비스 신청은 해당 간편결제사 앱과 시중은행, 금융결재원 등의 금융앱을 설치하면 된다.
위택스, 자치단체 방문신청은 개인·법인 모두 가능하고 모바일 앱은 개인사업자를 포함해 개인이 신청 가능하다. 다만 신청자가 다수의 앱으로 전자고지를 중복 신청할 경우 마지막으로 신청한 앱에 전자송달되므로 해당 앱을 삭제하거나 스마트폰 변경시에는 고지서가 수신되지 않을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서비스 적용은 신청한 달의 다음달부터 발송되는 정기분 지방세부터 적용된다.
스마트폰으로 송달받은 모바일 고지서는 앱에서 손쉽게 납부할 수 있으며 기존의 금융기관 CD/ATM기기나 가상계좌, ARS 등을 통해서도 납부가 가능하다. 전자송달로 고지서를 받게 되면 150원의 세액공제가 적용되며 전자송달로 고지서를 받고 자동이체로 납부하면 500원의 세액공제 혜택도 받는다.
시는 이번 모바일 전자송달 서비스 확대 시행으로 납세자 편의가 증대하고 고지서 분실과 개인정보 노출 위험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윤구 시 세정담당관은 “지방세 고지서 모바일 서비스를 신청하면 앱을 통해서 어디서나 고지내역을 확인 납부할 수 있고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간편한 전자송달서비스를 적극 이용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09 · 뉴스공유일 : 2019-07-0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남양주시 학습동아리 ‘Land&Space Info’는 드론을 활용해 다산신도시 개발이 진행 중인 남양주시청 제2청사 인근을 3D모델링(컴퓨터상에서 3차원 이미지의 기본 골격을 만드는 작업)을 통해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했다고 1일 밝혔다.
작업방법은 지상기준점 설치 후 인공위성을 이용한 실시간 이동측량(RTK)으로 X, Y, Z 값을 취득하고, 드론으로 촬영한 약 2,000장의 항공사진 매핑(평면의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변환하는 컴퓨터 기법) 작업으로 3차원 영상을 얻었다.
드론 매핑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건물 또는 시설물의 높이, 길이 및 면적을 산출할 수 있으며, 부피(토공량) 측정이 가능하여 건설현장의 공정관리 및 점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사사진(항공사진을 지형 보정하여 지도처럼 만든 사진) 위에 설계도면을 중첩하여 현황과 비교해 잘못된 시공을 조기에 탐지할 수 있으며, 지적도를 중첩하면 지적재조사 측량, 지형정보 수집 및 과세자료 조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최대집 토지정보과장은“드론을 공공행정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대부분 단순 촬영 단계에 머물러 있는 반면, 학습동아리 Land&Space Info 는 취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3D모델링, 정사사진 제작을 통해 각종 도면과 중첩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력을 습득하였으며, 각종 시책사업에 항공촬영 지원 및 촬영 데이터의 공동 활용으로 고품질의 공간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예산절감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Land&Space Info’는 공간정보 업무 및 무인비행장치(드론) 활용 연구를 중점연구 학습 분야로 선정하여 활동하는 학습동아리로서, 2018년 경기도 주최 제1회 지적측량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고, 국토정보업무 혁신세미나 지적 분야에서 ‘지적도면 오류정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창의적 사고와 자유로운 발상으로 시정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7-01 · 뉴스공유일 : 2019-07-01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읍성, 광주군청, 광주천 노천시장 등 사라진 광주의 옛 모습은 물론, 1900년부터 현재까지 광주광역시의 역사를 조망하고 옛 정취를 느낄 수 있는 시청각자료 4만여 점이 시민에 공개된다.
시는 광주의 역사 현장, 풍물, 관광명소 등 주요 시청각자료를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광주광역시 시청각자료실 홈페이지’(www.gjarchive.kr)를 구축하고 7월1일부터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시청각자료 이용은 무료이며, 홈페이지 ‘자료요청’ 메뉴에서 사진 제목 등을 적어 요청하면 된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기준(공공누리)의 제1~제4 유형에 따라 출처를 표시하고 상업적·비상업적 이용 등을 할 수 있다.
단, 저작권이 있는 작가의 사진 또는 출처가 불분명한 사진은 제외된다. 이번 홈페이지 구축은 시가 소장한 사진, 필름 등 시청각자료 중 이용 가치가 높은 자료를 엄선해 시민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민들의 자료 이용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됐다.
2018년 계획을 수립한 후 소장자료 디지털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홈페이지 제작 등 과정을 거쳤다. 현재 디비(DB)화된 시청각자료 총 4만여 점은 ▲사료 컬렉션 ▲주제분류 ▲사료 콘텐츠로 구성됐다.
사료 컬렉션은 시가 촬영하거나 수집한 사진 3620점, 슬라이드 7190점, 필름 5796점, 사진작가 작품 1043점 등 보존 형태별로 나눈 1900년부터 2000년까지 옛 사진 등을 만나볼 수 있다.
주제분류에는 2000년부터 현재까지 촬영된 자료 중 현장감 있는 사진을 엄선해 2만6000여 점을 모았다. 이를 행정, 문화·관광, 체육, 교통 및 건설, 기관 및 시설, 환경, 국방 ‧ 외교, 산업, 인물 등 9개 주제로 나눠 주제별 자료를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사료 콘텐츠는 ‘광주 주요 건물의 변천사’, ‘전시회’, ‘사라진 풍물과 명소’ 등 항목과 관련된 자료를 모아 게재했다. ‘재래시장 및 골목시장’, ‘옛날과 현재의 변천과정 촬영’, ‘360도 브이알(VR) 사진 촬영’ 등 새로운 콘텐츠도 계속 발굴할 예정이다.
김준영 시 자치행정국장은 “기록물은 과거를 거울삼아 다가올 미래를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며 “시청각자료는 광주의 옛 모습과 발전 과정을 생생하게 담고 있는 중요한 기록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자료를 확충해 시민들과 양질의 자료를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6-30 · 뉴스공유일 : 2019-06-30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시 북구(구청장 문인)가 민선 7기 들어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새롭게 선보이고 있는 다채로운 과학프로그램이 참가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키워드 중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과학의 중요성’이 대중화라는 이름으로 북구 곳곳에 스며들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과학의 대중화를 위해 북구가 추진 중인 ‘가족과 함께하는 첨단과학 골든벨’, ‘떠나요! 과학소풍’, ‘찾아가는 과학교실’ 등 다양한 과학프로그램이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 지속 및 확장 가능한 과학시책 발굴을 위한 제도적 기반 구축
북구는 지난해 9월 GIST(광주과학기술원), 국립광주과학관, 광주연구개발특구, 한국산업단지공단 광주전남지역본부,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등 10개 기관과 ‘산․학․연․관 교류협력 업무협약’을 체결 했다.
또한, 지난해 10월 ‘광주광역시 북구 산․학․연 교류협력 증진에 관한 조례’을 제정하는 등 양질의 과학프로그램 발굴․운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완비하고, 실무위원회 논의를 거쳐 ‘주민참여형 과학프로그램’을 발굴했다.
이는 지역 내 집적화된 우수한 산학연 역량자원 연계를 통한 시너지를 기반으로 운영 중인 ‘과학프로그램’이 일회성 행사에 그치지 않고, 지속 및 확장 가능한 북구의 장수시책이 될 것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 4차 산업혁명 시대조류를 반영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4차 산업혁명은 일상의 모든 분야에 적용되고 발현되면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조류가 됐다. 북구는 이를 감안해 4차산업 기술력 소개와 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주민참여형 과학프로그램’을 추진 중에 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운영 중인 ‘떠나요! 과학소풍’은 GIST 교수 등이 강사로 나선 가운데 광주AR/VR제작지원센터, GIST, 국립광주과학관을 견학하면서, 이론수업과 실습을 통해 다양한 4차산업 문화를 체험한다. 그리고 드론, 의료용 로봇, 화학 등의 교육과정에 대해 드론 전문가 및 GIST 교수의 강의로 운영 중인 ‘찾아가는 과학교실’ 역시 높은 집중도와 함께 참여 초등학생들에 인기 만점이다.
4차산업 활성화를 위한 북구의 노력도 눈에 띈다. 드론 특화도시 조성을 위해 시비 10억원을 확보하였고, 지난 5월 첨단산단 부근에 개장한 ‘북구드론비행연습장’이 과학프로그램 학습장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31사단 내 드론주행실험장 구축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또한, 지난 5월 ‘북구 4차산업 융합 미니클러스터’를 발족해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가족친화 프로그램으로 과학학습을 통한 건전한 여가기회 제공
북구의 주민참여형 과학프로그램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제1회 가족과 함께하는 첨단과학 골든벨 대회’가 지난해 11월 국립광주과학관 전시실에서 학부모와 학생이 한 팀을 이룬 107팀, 즉 214명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치러졌다.
행사 후 만족도 자체조사에서 ‘가족과 함께여서’ 라는 이유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북구의 기획 의도가 제대로 맞아 떨어진 것이다. 이에 올해 하반기 ‘제2회 가족과 함께하는 첨단과학 골든벨 대회’를 준비 중에 있으며, 지난 5월 개관한 국립광주과학관의 별빛누리관과 연계한 가족단위참여 과학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해 과학을 매개로 가족 간의 정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문인 북구청장은 “이번 시책을 통해 가족의 따뜻한 정을 느끼면서 청소년들이 과학에 흥미를 갖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라며 “앞으로도 타 지자체 벤치마킹 및 관내 우수한 과학 인프라를 활용한 다양한 과학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발굴․운영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6-24 · 뉴스공유일 : 2019-06-24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광주 서구(구청장 서대석)가 공동주택 발코니 태양광 설치 지원에 나섰다.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태양광 설치를 원하는 공동주택 거주자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키로 한 것.
발코니 태양광은 태양광 모듈, 마이크로 인버터, 난간 거치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가 간단하고 월 평균 6천원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설치시 공동주택 1가구 당(평균 317W기준) 설치비용 67만원 중, 시비 46만원에 구비 추가 지원금 10만원을 합해 총 56만원을지원받을 수 있다.
단, 건축법상 관내 공동주택으로 관리주체(관리사무소 등)의 설치 동의를 받아야 하며, 발코니에 소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는 일조권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설치를 희망하는 세대는 참여(시공)업체 ㈜대산이엔씨(☎1522-1404), ㈜마이크로발전소(☎070-4900-4686), ㈜우림산업전력(☎511-6014), ㈜이솔라텍(☎1577-5867), ㈜중앙에너지(☎1668-2122) 중 희망업체와 모델을 선택하면 된다.
자세한 사항은 광주광역시 서구 홈페이지(www.seogu.gwangju.kr) 고시/공고 란을 참고하거나 서구청 녹색환경과(☎360-7681)로 문의하면 된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6-11 · 뉴스공유일 : 2019-06-11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영광군은 ‘생활을 e롭게! 미래를 신나게! 나만의 e-모빌리티’란 주제로 6월 10일부터 7월 19일까지 40일간 2019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 UCC &웹툰 공모전을 개최한다.
공모전은 제한 없이 누구나 응모할 수 있으며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엑스포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받아 작성 한 후 이메일(emobilityexpo@korea.kr)로 제출하면 된다.
UCC 부문은 영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물이나 플래시 애니메이션 형태로 재생가능한 동영상으로 30초에서 3분이내, 해상도가 1280×720px 이상의 출품규격을 갖춰야 하며 개인 유튜브 업로드 시 조회 수를 심사평가에 반영한다.
웹툰 부문은 공모 주제를 잘 표현한 JPG파일 형태로 6컷이상 30컷이내 300dpi이상의 해상도로 제작되어야 하며 자세한 사항은 영광군 홈페이지에서 공고문을 참조하면 된다.
군은 선정된 수상작에 대해 8월 13일 수상자에게 개별통지하고 홈페이지에 게시할 예정이며 분야별로 ▲최우수 1팀, 300만원 ▲우수 3팀, 100만원 ▲장려 5팀, 50만원을 시상할 계획이다.
영광군 관계자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작품들은 영광 e-모빌리티 엑스포 홍보 마케팅 자료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6-08 · 뉴스공유일 : 2019-06-08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전라남도는 28일 혁신도시 전남실감미디어산업지원센터 회의실에서 나주 SRF(Solid Refuse Fuel, 폐기물고형연료) 열병합발전소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력 거버넌스 위원회 8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환경영향조사 시행 및 가동기간에 대한 검토결과를, 순천대학교 김민영 박사가 사후환경영향조사시 대기질 예측을 위한 대기질 모델링 활용방안을 발표했고 이에 대해 거버넌스 위원회에서 집중적으로 토의시간을 가졌다.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범시민대책위원회의 제안을 검토한 결과 유사시설의 환경영향조사 자료는 지역특성, 연료성상 등이 서로 달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고 2017년 3개월간 시운전 기간 동안에 자체 측정한 대기오염물질 자료는 먼지 등 한정된 항목만을 측정하여 주민이 요구한 항목에 대한 실질적인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객관적 판단근거로 사용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순천대학교 대기모델링전문 김민영 박사는 SRF발전소 비가동상태에서의 영향 예측을 위해 CALPUFF 모델링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하고, 관측 현황농도에 모델링한 기여농도를 더해서 예측농도를 계산한 후 분석할 수 있으나 신뢰성과 관련해서는 참고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한국지역난방공사는 “환경영향조사는 SRF발전소의 오염물질 배출량, 환경유해성, 주민 악영향 정도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중요한 사항으로 시험가동은 반드시 필요하다”는 반대 입장을 보여, 추후 ‘환경영향조사 시험가동 불가’로 합의가 된 경우에 대안으로써 모델링 이용 방안을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환경영향조사에 대한 이해당사자의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원만한 합의 도출을 위해서 긍정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공감하고 이에 대해 각자 검토하고 차기회의에서 발표 논의키로 했다.
한편, 지난 7차 회의 시 환경영향조사 시험가동을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가 있었고 이에 대해 범시민대책위원회는 대안으로 나주 SRF 발전시설과 유사한 국내에서 가동 중인 SRF 발전시설의 대기오염도 측정데이터를 활용하여 확산 모델링을 통해 나주 SRF 환경영향조사 자료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 바 있다.
또한, 이날 8차 거버넌스에서는 주민수용성조사 범위가 주요 쟁점으로 논의됐다. 범시민대책위원회는 발전소 부지중심 반경 5km 이내 행정리 거주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투표를 실시해야한다고 주장한 반면,나주시는 반경 5km의 범위에 걸쳐있는 7개 읍면동 주민 전체로 해석하여 이에 대한 대립 각을 세웠다.
나주시 주장 근거는 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도 범위를 설정할 때 읍면동 단위로 규정한다는 것과 주민투표 결과에 따라 지역전체 재정이 수반될 수 있다는 점을 들고 거버넌스 합의 후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7개 읍면동 주민을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으나, 범시민대책위원회는 빛가람동의 연료선택권에 대한 침해라고 첨예하게 의견이 맞서 이에 대하여 차기 회의에서 재논의하기로 했다.
다음 회의는 6월 17일 10시 40분 동 장소에서 개최할 예정이며, 주요의제는 주민수용성조사 범위 및 환경영향조사에 대해 재논의키로 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5-29 · 뉴스공유일 : 2019-05-29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https://youtu.be/WDsXdfN9GBs
http://edaynews.com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2282793311764497&id=100001015513313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5-26 · 뉴스공유일 : 2019-05-26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고흥군(군수 송귀근)은 기존의 홍보 방식을 탈피하여 스마트 폰 환경변화에 대응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유튜브 크리에이터 교육을 군민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지난 5월 13일부터 7월 29일까지(주1회 총 12회 거쳐) 3개월간 실시되는 교육은 유튜브 운영에 필요한 기본 교육부터 기획, 촬영, 편집, 홍보 방법, 콘텐츠 제작 및 채널 운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크리에이터란 유튜브, 페이스북 등과 같은 플랫폼에 자신만의 채널을 만들어 직접 제작하고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 폰을 통해 다수의 대중과 소통하고 공유하는 1인 방송 제작자를 일컫는다.
고흥군은 이번 교육이 군민 7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며 농어민, 자영업, 귀농‧귀촌인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분과 20대부터 80대에 이르는 연령대가 참여하면서 교육의 기대효과는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한 우리군의 현실을 재구성 할 수 있는 계기 마련과 고흥의 문화, 관광, 농수특산물 등 홍보‧판촉 활동을 함께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교육 참석자 A씨는 “교육생 중에서 최고의 연장자로 다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는 기쁨과 이번 교육을 통해서 고흥의 아름다움을 홍보하고 싶다”고 다짐했고, B씨(풍양면)는 “교육에서 얻는 지식뿐만 아니라 삶의 가치를 다시 한 번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군 관계자는 “교육비는 전액 무료로 진행되며 교육과정 종료 후에도 참가자들이 다양하고 재미있는 콘텐츠를 제작해 군민 여러분이 유튜브 스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5-17 · 뉴스공유일 : 2019-05-17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고흥군(군수 송귀근)이 5월 3일부터 5일까지 전남 고흥군 봉래면 나로 우주과학관 일원에서 제12회 고흥우주항공축제와 연계하여 개최한「고흥 G-드론체험전」을 열였다.
이번 체험전은 고흥군과 전남 테크노파크가 주최하고 전남 드론기업협의회가 후원하여 개최한 드론 종합 체험전으로, 다양한 드론 놀이 프로그램부터 드론 실증 시연회 및 드론 장애물 레이싱대회 개최까지 풍성한 즐길 거리와 볼거리로 가득했다.
드론 초보자들을 위한 조종 체험과 성공 시 소정의 상품이 제공되는 드론농구 등 6종 경기프로그램은 어린이들로부터 큰 인기를 얻었으며, 온 가족이 참여할 수 있는 미니드론 조립체험은 준비된 물량이 조기 소진될 만큼 체험장은 많은 관광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아울러 전국 초등학생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된 드론 장애물 레이싱 대회에서는 총 100여 명이 참가해 치열한 경쟁을 치른 끝에 부문별 10명을 최종 선정했다.
초등부에서는 이완우(원봉초등학교) 학생이 1위에 올랐고, 중·고등부에서는 임도형(안강정자고등학교) 학생이, 일반부에서는 박승민(동강대학교) 학생이 1위를 차지했다.
이밖에도 행사장 곳곳에서는 전남 드론기업 6개가 전시부스를 열어 다양한 드론제품을 선보였으며, 드론 공공서비스 분야별 실증성과 확산을 위해 실증시연회를 개최하는 등 내실있는 축제 프로그램 운영에 드론체험전이 한몫을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군 관계자는 “지금까지 우주항공축제 때 드론 관련 체험부스를 별도 편성하여 규모있게 운영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앞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여 참신하고 재미있는 드론 체험 프로그램을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고 전했다.상호명:(주) 이데이뉴스 | 제호: 이데뉴스닷컴 | 사업자번호 : 409-86-29149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북동 4-9번지 2층 / 북구 금재로75번길 21. 2층(북동)
등록번호: 광주 아-00144 | 등록일: 2005년 10월 4일 | 발행인/편집인: 강대의(010-4192-5182)
청소년보호책임자 : 강대의 (010-4192-5182) | 제보 및 각종문의 : (062)673-0419(代) | FAX : (062)456-5181
Copyright(c) 2016 :::이데이뉴스닷컴::: All rights reserved.
뉴스등록일 : 2019-05-09 · 뉴스공유일 : 2019-05-09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중소벤처기업부는 온라인 쇼핑과 대형유통점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통시장·상점가의 활력 회복과 자생력 제고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전통시장·상점가 286곳을 신규로 선정해 총 2,130억원을 투입한다고 7일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2일 전통시장 및 상점가 지원 사업 대상 선정을 위한 심의조정위원회를 개최해 2019년도 지원대상 전통시장·상점가를 최종 확정했다.
2019년도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의 특징은 기존의 개별시장·상점가라는 범위에서 벗어나 상권 전체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등 상권육성 기반을 마련하고 전통시장의 특색과개성을 발굴·육성하는 특성화를 가속화하는 한편 편리하고 안전한 쇼핑환경을 갖춰 지역 주민들이 즐겨 찾는 전통시장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에 선정된 주요 사업은 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비롯해 특성화시장(희망사업프로젝트, 첫걸음), 복합청년몰 등 청년상인 지원, 주차환경 개선, 노후전선정비, 화재알림시설 고객 분석, 점포경영 및 마케팅 노하우 등 교육, 실습 자문 등이다.
◇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
작년 12월에 발표된 <자영업 성장·혁신 종합대책>의 핵심과제로 추진되는<상권 르네상스 프로젝트>는 낙후된 구도심 상권을 활성화하기 위해 중점 추진되는 사업으로 기존의 단일시장, 상점가 등의 지원 범위를 벗어나 지역 상권 전반의 활성화를 근본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까지 전국적으로 30곳의 상권을 육성할 계획이며 2019년도에는 상반기와 하반기 공고를 통해 10곳의 상권을 신규 선정할 계획이다.
△지원 계획(누계) : 2018년 3곳, 2019년 13곳, 2020년 19곳, 2021년 25곳, 2022년 30곳
동사업은 지자체·상인회 주도로 상권의 특색을 반영하여 쇼핑, 커뮤니티(지역문화, 힐링), 청년창업(인큐베이팅) 등이 결합된 복합상권 조성을 통해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상권으로 관리·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구역당 5년간 80억원내외 지원 기반공사 및 거리디자인(테마별), 테마존운영(청년, 패션, 음식 등)
이번 선정된 4곳의 상권인 진주 중앙시장, 광주 양동시장, 경기 구리시장, 천안 역전시장은 상권이 보유한 잠재적 경쟁력을 토대로 세부적인 콘텐츠 개발·보완을 통해 대·내외 고객을 유입할 동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시재생 뉴딜사업 등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침체되어 가는 상권 회복 및 자생력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
◇특성화시장(희망사업프로젝트, 첫걸음)
특성화시장사업은 관 주도로 추진했던 상향식 방식을 탈피, 상인과 고객이 주도하는 하향식 프로젝트 방식으로 개편하였으며 아울러 한 번도 지원을 받지 못한 시장을 우대하였다.
지역 대표시장 및 특성화 성과 우수시장을 선별하여 지역 거점시장이자 롤모델로 육성하기 위한 지역선도형 시장(1곳, 서천특화시장)과 지역 문화·관광자원을 연계하여 시장의 특장점을 살리는 문화관광형 시장(22곳) 등 특성화시장도 84곳을 지원한다.
△지역선도시장: 특화요소 고도화 및 판로확대 지원, 지역 커뮤니티 교육·문화컨텐츠 양성, 전통시장과 민간, 공공기관과 협업 등 (2년간 최대 20억원 이내)
△문화관광형시장: 지역특색과 연계한 시장 투어코스 개발, 체험 프로그램, 문화컨텐츠 육성, 시장 대표상품(PB상품) 개발, 특화상품 판로개척 지원 등 (2년간 최대 10억원 이내)
이를 통해 시장특성과 지역고유자원을 연계하여 볼거리·즐길거리·먹거리 등을 발굴함으로써 고객이 즐겨 찾는 특색 있는 시장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복합청년몰 등 청년상인 지원
금년부터 입지제한을 완화해 신개념 복합청년몰을 도입하여 청년몰 영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 신규 조성 3곳을 포함해 확장 활성화 등 총 8곳을 지원한다.
△기존: 전통시장 내, 개선: 오픈상점가로 입지제한 완화해 폐공장, 농협창고 등 활용
◇주차환경 개선
또한 전통시장 이용고객들이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주차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2022년까지 주차장 보급률을 100%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 아래 금년에는 주차장 미보유 시장을 중심으로 신규 건립 54곳을 포함하여 총 99곳을 지원한다.
◇노후전선정비, 화재알림시설
전통시장 화재안전 강화를 위해 무분별한 전기배선 및 노후화가 심한 장옥형, 상가주택 복합형 시장 중심으로 노후 전기설비 개선을 29곳 지원하고 화재알림시설도 41곳(4508 점포) 지원한다.
이번에 선정된 시장들은 사업별 추진 계획에 맞추어 사업단 구성 및 전문가 진단 등을 통해 세부 사업계획을 확정한 후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부터 환경·역사·문화·관광 등과 연계한 특색 있는 전통시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설계·디자인 공모를 의무화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소벤처기업부는 침체된 전통시장의 활력회복 및 경쟁력 제고를 위해 청년상인 육성 및 대기업과의 상생협력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청년상인 매출 증대와 청년상인 생존율 제고를 위해 청년상인 조직을 출범하고 유명 상권 회복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한 홍보 활동을 강화함과 동시에 유명 쉐프, 창업, 브랜딩, 디자인 등 국내 정상급 전문가를 초빙하여 백종원식 컨설팅 프로그램도 도입할 예정이다.
△고객 분석, 점포경영 및 마케팅 노하우 등 교육·실습 등을 자문
또한 온라인 쇼핑 확대 등 소비 트랜드 변화의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전통시장·대기업 상생협력 모델도 발굴·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상생스토어, 어린이장난감 도서관 등 집객 콘텐츠를 전통시장에 확대하여 고객 유입 증대를 유도하고 시장별 대표상품을 발굴하고 홈쇼핑 등 대기업 유통채널을 통한 판로지원을 강화하는 등 상생협력 기반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자료제공:뉴스와이어] (ITFOCUS ⓒ www.itfocus.kr)
뉴스등록일 : 2019-05-09 · 뉴스공유일 : 2019-05-12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