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최근 모든 도시계획사업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서울플랜+`를 오는 31일 정식 오픈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공무원을 대상으로 `도시계획사업 모바일 지도시스템`을 구축해 시범 운영한 데 이어, 이번에 PC버전으로 확장하고 시민에게 개방한다.
서울도시공간포털에서 새로 선보이는 서울플랜+는 ▲신속통합기획 ▲재개발ㆍ재건축 ▲모아타운 ▲미리내집 등 28종 시 전체 도시계획사업 정보를 GIS 기반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도시정비사업, 소규모정비사업, 재정비촉진사업, 역세권사업 등 유형별 통계데이터와 총 2671개소 도시계획사업 위치, 건축 규모, 공급 규모, 추진 현황 등을 지도위에서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해당 정보는 시와 자치구별로 분산ㆍ중복 관리돼 시민들이 원하는 정보를 찾기가 어려웠고 각 동네에서 어떤 개발이 이뤄지고 있는지 궁금증에 대한 답을 찾기가 힘들었다.
앞으로는 간단한 키워드 검색뿐 아니라 도시계획 사업 유형별, 자치구별, 진행단계별 등의 조건으로 맞춤형 검색이 가능하고, 통계지도를 통해 해당 자치구의 도시계획사업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용산구에 거주하는 주민이 한남동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개발사업이 궁금할 경우 서울플랜+에서 `한남동`으로 검색하면 한남동을 포함한 도시계획사업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정보기기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플랜+는 단순 지도서비스가 아니라 시민과 더 가까이 소통하고 도시계획의 모든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는 시의 정책 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도시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정찬희 공학박사, 컬쳐앤조이 대표] 전통공예는 자연과 사람, 기술이 오랜 시간 축적되어 형성한 지역 생태계의 결과물이다.
한 지역의 토양, 기후, 식생 조건은 재료의 품질을 결정하고, 그것에 맞춘 기술과 삶의 방식이 공예로 남는다.
그러나 최근과 같은 기후위기 속에서 이 유기적 연결망이 무너지고 있다.
천연염색을 예로 들자. 염재는 땅에서 자라지만, 그 땅이 더는 예전 같지 않다.
최근 5년 사이 전남 나주 다시면(샛골) 일대는 영산강 범람과 홍수 피해를 반복적으로 겪었고, 여름철 염료 수확 시기에 쪽밭이 침수되면서 수확 자체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염료 추출과 발효 과정에서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핵심인데, 기온의 급변으로 인해 공정 실패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작업의 어려움이 아니라, 지역 기반 기술의 위기를 의미한다.
기후의 변화는 염색공방뿐 아니라 도자기, 직조, 목공예 등 다른 전통공예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모시풀과 대마 같은 전통 섬유 원료는 생육 시기 동안 일정한 강수와 온도가 유지되어야 품질이 안정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잦은 폭우와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잎이 썩거나 줄기가 연약해져 실로 뽑아내기 어려운 경우가 늘고 있다.
게다가 모시와 대마는 대부분 여름철 고온 속에서 수작업으로 벗기고 찢는 노동집약적 공정을 거치는데, 고령화된 농촌에서는 이를 감당할 인력 확보조차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이들은 대부분 농촌 지역의 장인이나 소규모 공방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재난 한 번으로도 생태계 전체가 흔들릴 수 있다.
우리는 흔히 ‘지속가능한 공예’를 말하지만, 정작 공예가 지속되기 위한 생태 기반은 점점 취약해지고 있다.
전통공예는 대체 가능성이 낮은 자원을 사용하고, 손작업에 의존하며, 기후와 땅에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은 생태적이지만 동시에 위기에 취약하다.
문제는 이 생태계의 위기가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쪽풀이 자라지 않으면 쪽염색이 불가능하고, 닥이 줄면 한지도 사라진다.
이는 단순히 ‘재료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아니라, 지역에서 수십 년 간 축적해 온 지식과 기술, 공동체 자체가 해체될 위험을 뜻한다.
공장은 기계를 바꾸면 되지만, 공방은 땅과 사람이 함께 있어야 돌아간다.
따라서 전통공예의 지속가능성은 대량생산 기술 개발이나 상품화보다, 공예가 뿌리내리고 있는 지역 현장의 생태 기반을 지키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더불어 지역 공예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재료 확보, 작업 공간 유지, 인력 양성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체계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완성품을 만드는 기술을 넘어, 지역 안에서 공예가 자립적으로 순환하고 작동할 수 있도록 구조적 생태계를 설계하는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재배 기술의 도입, 지역별 자생 자원의 종 다양성 확보, 장인의 체계적인 전수교육 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다.
나아가 원재료 생산 기반의 안정화, 가공 공간 확충, 고령화 현장을 반영한 인력 확보와 교육 지원 체계 마련까지 아우르는 입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여기에 지역의 문화기관이나 재단, 공공시설과 연계하여, 고유의 전통공예 콘텐츠를 교육, 관광, 디자인 산업 등 다양한 분야와 연결하고, 이를 문화·관광 자원으로 확장해나가는 전략 또한 병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천연염색은 재료와 과정에 담긴 지역의 자연환경과 삶의 이야기를 통해, 치유와 감각 놀이, 교육 콘텐츠로 확장될 수 있다.
전통공예는 단순한 기술이나 상품이 아니라, 지역의 자연과 기후, 삶의 방식이 축적된 문화적 서사로 발전시켜야 한다.
전통공예의 현대화나 세계화를 말하기에 앞서, 바로 이 ‘현장’이 지속 가능해야 한다. 이 뉴스는 투데이포커스(www.todayf.kr) 공유 뉴스입니다.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8-01 · 배포회수 : 2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구미시가 22일 '2025 구미라면축제'의 특별 식음존인 ‘세상에서 가장 긴 라면레스토랑’ 운영을 위해 지역 음식점과 셰프를 대상으로 사전 설명회를 성황리 개최했다.
구미영상미디어센터에서 열린 이날 설명회에는 20여 팀 모집에 49팀이 몰리며 벌써부터 지역의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구미라면축제는 지난해 17만여 명이 방문하며 전국적 흥행을 기록했다.
올해는 더욱 다양한 메뉴와 고급화된 요리를 선보이기 위해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음식점과 셰프는 8월 4일까지 구미시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내려받아 이메일 또는 낭만관광과에 방문 접수하면 된다.
시는 서류심사에 이어 8월 14일 조리심사와 면접을 통해 최종 20개 팀을 선정할 계획이다.
선발된 팀에는 푸드 전문 디렉터의 레시피 컨설팅과 함께 위생·플레이팅 교육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세상에서 가장 긴 라면레스토랑’은 한층 더 완성도 높은 라면 요리로 축제의 품격을 높일 예정이다.
올해 구미라면축제는 10월 31일부터 11월 2일까지 3일간 구미역 일원에서 열린다.
메인 무대인 역전로를 비롯해 문화로, 새마을중앙시장, 역후광장, 금오산 잔디광장 등 구미 곳곳이 라면과 함께하는 다채로운 축제의 장으로 변신한다.
구미시 관계자는 “지역 음식점과 셰프들의 열정이 모인 만큼 올해 라면레스토랑은 그 어느 때보다 특별한 메뉴들로 채워질 것”이라며 “구미라면축제가 대한민국 대표 미식축제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이 뉴스는 투데이포커스(www.todayf.kr) 공유 뉴스입니다.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8-01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노후화된 다세대주택이 밀집해 있는 서울 동작구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이 한강 조망이 가능한 아파트 1080가구 규모 주거 단지로 건립된다.
최근 서울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본동구역 주택정비형 공공재개발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동작구 노량진로 256(본동) 일원 5만1696㎡를 대상으로 한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은 공동주택 1080가구(임대 252가구) 주거 단지가 들어서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대상지는 가파른 골목길이 많아 보행이 어렵고 노후한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곳으로, 시 `2030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를 적용받아 분양 가구수가 기존 750가구에서 828가구로 78가구가 늘었다.
아울러 정비계획(안)에는 ▲지형의 고저차를 극복하는 지형순응형 단지 조성 ▲용도지역 상향{제2종(7층)→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적정밀도 확보 ▲열린 커뮤니티 단지 조성 ▲주변 공원을 연결하는 생태녹지축 조성 등이 담겼다.
시는 고저차가 큰 구릉지라는 대상지 특성을 반영해 고층동은 저지대에, 저층동은 구릉지에 각각 배치해 자연스러운 도시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한강 조망권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지하철 9호선 노들역에서 정비구역 반대편까지 연결되는 직선형 통경축을 통해 도심과 한강, 용양봉저정공원까지 이어지는 개방감 있는 경관을 조성한다.
어린이공원, 단지 내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보행자 전용길(공공보행통로), 어르신 돌봄시설(데이케어센터) 등 생활에 필요한 공공시설도 새로 짓는다.
본동구역은 2021년 3월 공공재개발 1차 후보지로 선정된 후, 기획ㆍ공람ㆍ심의를 거쳐 기존 제1종일반주거지역과 제2종(7층)일반주거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과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본동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이 이번 정비계획을 통해 도시 경관 회복과 공공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확보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7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강동구 명일동 신동아아파트(이하 명일신동아)가 재건축을 통해 지상 최고 49층 아파트 947가구 규모 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에서 `명일신동아 재건축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 경관심의(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정비계획에 따르면 강동구 고덕로 240(명일동) 일원 3만9558.8㎡를 대상으로 한 명일신동아 재건축사업은 용적률 300% 이하를 적용한 지상 최고 49층(160m 이하) 공동주택 8개동 947가구(공공주택 135가구 포함) 규모 단지로 건립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1986년에 준공된 명일신동아는 현재 지하 1층~지상 15층 공동주택 7개동 570가구 규모로 조성된 단지다. 강동구 고덕택지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특별계획구역14인 강동구 고덕로 14(명일동) 일대에 해당하며 지난 4월 시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을 마쳤다.
특히 이곳은 지하철 5호선 고덕역이 도보권에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동측 상업지역 학원가, 서측 원터근린공원으로의 접근성이 좋으며, 명일근린공원, 강동아트센터, 강동경희대병원 등 주변 인프라가 풍부한 편이어서 주거 입지가 좋은 곳으로 꼽힌다.
시는 대상지 북측 고덕로 도로폭을 기존 25m에서 5m 더 넓혀 원활한 교통 흐름이 이뤄지도록 했고, 동ㆍ서 방향 공공보행통로를 계획해 원터근린공원 산책로와 유동 인구가 많은 상업지역 미관광장를 연결하고 지역 주민들의 보행 접근성을 높였다.
특히 열린단지 조성을 통해 단지 외곽을 개방하고 고덕로에서 남측 우성아파트까지 폭 10m의 건축한계선 계획을 통해 원터근린공원 출입구로의 접근성을 확보했다. 고덕역 사거리 변과 현재 상가 위치에 연도형 상가를 배치해 역세권(고덕역)과 고덕로62길의 가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단지 외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점진적인 건축 배치로 주변 단지와 조화를 이루는 스카이라인을 구성하고, 주변 경관자원을 고려해 원터근린공원~송림근린공원, 원터근린공원~상업지역 미관광장을 연결하는 통경축 2개소를 계획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명일신동아 재건축 결정을 시작으로 명일동 일대 5개 단지에 약 5900가구(공공주택 약 930가구 포함)가 조성돼 주택 공급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준공된 지 39년 된 노후 단지인 서울 강동구 명일동 고덕현대아파트(이하 명일고덕현대)가 지상 최고 49층 아파트 952가구 규모로 재건축된다.
최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에서 `명일고덕현대 재건축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 경관심의(안)`을 수정 가결했다.
대상지는 1980년대 개발된 강동구 고덕택지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특별계획구역17인 강동구 동남로71길 37(명일동) 일대에 해당하며 명일동 지역의 첫 재건축 구역이다. 2023년 7월 시 신속통합기획을 완료한 바 있다.
이번 정비계획에 따라 명일고덕현대 재건축사업은 강동구 동남로71길 41(명일동) 일원 3만7658㎡를 대상으로 용적률 300% 이하를 적용한 지상 최고 49층(158m 이하) 공동주택 8개동 952가구(공공주택 125가구 포함) 등을 공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곳은 1986년 준공됐으며 공동주택 7개동 524가구 규모다. 지하철 5호선 고덕역과 9호선(예정) 한영외고역 사이에 있으며, 북측 상업지역 학원가, 동측 명일근린공원, 강동아트센터, 강동경희대병원 등 주변 인프라가 풍부하게 갖춰져 있어 주거 입지가 좋은 편이다.
시는 대상지 서측 고덕로62길은 4m, 남측 구천면로는 3m를 각각 확폭해 원활한 교통흐름이 이뤄지도록 했다. 고덕로62길 가로변에는 20층 이하 중저층 주동을 배치해 가로 위압감을 최소화하고 단지 외곽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건축 배치를 통해 점진적 스카이라인을 형성했다.
특히 열린단지 개념을 적용해 단지 외곽을 개방하고 명일고덕현대와 연접한 명일한양아파트 경계에 공공보행통로(폭 10m)와 통경축(폭 30m)을 조성해 지하철 5호선 고덕역에서 대명초등학교까지 연결되는 보행 동선과 개방감 있는 경관을 확보토록 했다. 공공보행통로 변에는 어린이집과 서울형 키즈카페 등 외부 개방형 주민공동시설을 배치했다.
명일근린공원에서 대상지 방향으로 통경축을 추가 확보해 단지 주변과 조화로운 도시경관이 구현되도록 했으며, 구천면로 변에는 신설 예정인 9호선 한영외고역세권에 대응한 연도형 상가를 계획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강동구 첫 신속통합기획사업인 명일고덕현대 재건축 결정을 시작으로 명일동 일대 5개 단지에 아파트 약 5900가구(공공주택 약 930가구 포함)가 조성돼 주택 공급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명일동 일대 재건축사업이 속도감 있게 추진돼 고품격 주거 단지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는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부동산을 취득한 외국인이 허가 목적에 따라 이용하지 않는 사례 3건을 발견해 이행명령 등의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6월 말부터 자치구와 함께 `부동산 불법 행위 신속대응반`을 꾸리고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취득, 무등록 부동산 중개행위 등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토지거래 이용목적 이행 여부를 점검 중이다.
허가 목적에 따라 부동산을 이용해야 하는 의무 대상 총 8000여 건 중 외국인 소유 99건이 대상이다.
시는 인테리어업ㆍ사무실 등 `자기 경영` 목적으로 허가받았으나 실제 영업 활동이 확인되지 않는 2곳과 실거주 목적으로 허가받았으나 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1건에 대해 이행 명령 조치했다.
자기 경영 목적은 영업 활동이 확인될 경우 적정 이용으로 판단했으며, 실거주 목적은 본인 거주 확인ㆍ입주자 등록대장ㆍ우편함ㆍ택배박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거주 사실을 현장 확인했다. 부재 등으로 현장 확인 어려운 경우에는 안내문을 남기고 재방문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진행했다.
토지거래허가 목적에 따른 이용 의무를 다하지 않아 이행명령에 처해지면 3개월 이내에 허가 목적에 맞게끔 조치해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에는 이행강제금(연 1회) 부과, 고발될 수 있다.
아울러 시는 무등록 부동산 중개행위, 중개대상물 표시ㆍ광고 위반, 금지 행위 공모 등 의심 사례에 대한 제보를 접수해 별도 조사를 진행하고 관련 내용을 시 민생사법경찰국에 수사 의뢰했다.
제보에 따르면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이른바 `강남언니`라는 사람이 공인중개사 자격 없이 SNS를 통해 매수자를 모집하고, 특정 공인중개사와 연계해 보수를 받은 정황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이달부터 자치구, 국토교통부가 함께 `부동산 이상 거래 및 토지거래 사후 이용실태 합동 조사`를 운영 중이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횟수를 주 3회 이상으로 확대해 점검을 진행하고 있다.
기존 강남 3구(강남ㆍ서초ㆍ송파) 중심 점검에서 서울 전역 25개 자치구로 대상 지역을 확대하고 점검반을 기존 3개에서 6개로 늘려 실시 중이다. 토지거래허가 의무 이행 여부, 자금조달 내역 등을 확인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앞으로도 토지거래허가 목적에 맞지 않게 이용되는 사례 조사, 불법 중개행위 점검 등으로 시장 교란 행위를 예외 없이 강력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신뢰받는 부동산시장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현장 점검과 행정지도를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7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권혜진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권혜진 기자] 최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아파트 가격동향`에 따르면 2025년 7월 3주(지난 21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상승(0.01%)을 기록했다. 수도권과 서울은 상승폭 축소, 지방은 하락폭 확대한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및 대단지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상승 계약 체결됐으나,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거래가 감소하며 서울 전체 상승폭 축소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주 수도권 아파트값 변동률은 0.06%를 기록했고, 서울의 경우 0.16%로 전주(0.19%) 대비 상승세를 줄인 것으로 파악됐다.
자치구별로 성동구(0.37%)는 옥수ㆍ행당동 위주로, 용산구(0.24%)는 이촌ㆍ효창동 주요 단지 위주로, 광진구(0.2%)는 자양ㆍ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중구(0.13%)는 신당ㆍ황학동 대단지 위주로, 서대문구(0.11%)는 남가좌ㆍ홍은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의 경우 송파구(0.43%)는 잠실ㆍ송파동 재건축 단지 위주로, 서초구(0.28%)는 잠원‧반포동 주요 단지 위주로, 양천구(0.27%)는 신정‧목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영등포구(0.22%)는 신길ㆍ여의도동 역세권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광역시(-0.02%)에서 중구(-0.05%)는 중산ㆍ운서동 위주로, 남동구(-0.04%)는 구월ㆍ만수동 구축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입주 물량 영향 있는 학익ㆍ용현동 위주로, 계양구(-0.02%)는 작전ㆍ오류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부평구(-0.02%)는 부개ㆍ삼산동 위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0.03%)은 시ㆍ도별로 부산(-0.02%), 대전(-0.07%), 대구(-0.09%), 충남(-0.01%), 충북(0%), 강원(-0.05%), 광주(-0.05%), 울산(0.01%), 세종(0%), 전남(-0.03%), 전북(0%), 경남(-0.01%), 경북(-0.04%), 제주(-0.03%) 등의 결과를 보였다.
한편,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0.01%)은 전주(0.02%) 대비 상승세를 축소했고, 서울 아파트 전셋값(0.06%)은 전주(0.07%) 대비 상승세를 줄인 상황이다.
한국부동산원은 역세권ㆍ선호 단지 등을 중심으로 매물 부족 나타나며 전세가격 상승 보이는 가운데, 입주 물량 영향 있는 일부 지역에서 가격이 하락하며, 서울 전체 상승폭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용산구(0.11%)는 한강로3가ㆍ한남동 위주로, 광진구(0.1%)는 자양ㆍ광장동 학군지 위주로, 동대문구(0.07%)는 답십리ㆍ휘경동 주요 단지 위주로, 도봉구(0.05%)는 창동ㆍ도봉동 위주로, 성북구(0.04%)는 길음ㆍ돈암동 중ㆍ소형 규모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을 보면 서초구(-0.16%)는 입주 물량 영향 있는 잠원ㆍ서초동 위주로 하락했으나, 송파구(0.23%)는 잠실ㆍ가락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강동구(0.22%)는 명일ㆍ암사동 위주로, 강서구(0.13%)는 화곡ㆍ가양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인천(-0.04%)의 경우 서구(-0.12%)는 마전ㆍ청라동 대단지 위주로, 남동구(-0.06%)는 논현ㆍ간석동 위주로, 미추홀구(-0.03%)는 용현ㆍ주안동 위주로, 부평구(-0.02%)는 갈산ㆍ부개동 구축 위주로, 동구(-0.02%)는 송현ㆍ화수동 소형 규모 위주로 하락했다.
경기(0.01%)에서 평택시(-0.17%)는 서정ㆍ지산동 위주로, 고양 일산동구(-0.14%)는 마두ㆍ백석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으나, 과천시(0.33%)는 원문ㆍ중앙동 소형 규모 위주로, 광주시(0.23%)는 태전ㆍ장지동 위주로, 안양 동안구(0.18%)는 평촌ㆍ관양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다.
지방(0%)은 시ㆍ도별로 부산(0.05%), 대전(-0.06%), 대구(-0.04%), 충남(-0.02%), 충북(-0.03%), 강원(-0.02%), 광주(0%), 울산(0.05%), 세종(0.11%), 전남(0%), 전북(0%), 경남(0%), 경북(-0.04%), 제주(-0.03%) 등의 결과를 보였다. 세종은 대평ㆍ새롬동 정주여건 양호한 단지 위주로 임차 수요 증가하며 상승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7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개운산 자락에 위치한 서울 성북구 종암동 노후 주거지가 지상 최고 22층 공동주택 854가구 규모 친환경 주거 단지로 탈바꿈한다.
서울시는 이달 18일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신속통합기획 정비사업 등 수권분과위원회를 열고 `종암9구역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 결정 및 정비구역 지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종암9구역 재개발사업은 성북구 종암로19라길 14(종암동) 일원 3만2740.5㎡를 대상으로 주변 개운산 경관과 주택 단지를 고려해 제3종일반주거지역은 유지하고 제1종ㆍ2종(7층이하)일반주거지역을 제2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지상 최고 22층 공동주택 14개동 854가구(임대 133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특히 `서울시 2030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사업성 보정계수(2.0) 적용으로 분양 가구수가 기존 684가구에서 721가구로 37가구가 늘었다.
이곳은 개운산 채석장 절개지에 위치해 가파르고 도로가 협소해 주민 보행이 불편하고 주거 안전을 위협하던 노후 주거지다. 2023년 8월 신속통합기획 후보지 선정 이후 신속통합기획 가이드라인을 반영한 정비계획이 수립됐다.
개운산을 삼면에 두른 입지 특성에 맞춰 숲과 어우러지는 친환경 주거 단지를 조성하고 개운산 능선과 어우러지는 스카이라인과 단지 중심에 통경구간을 십자형으로 교차해 어디서나 개운산 경관 조망을 누리도록 했다는 게 시 설명이다. 또 경사형ㆍ수직형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환경과 테라스하우스 특화 주동 등을 계획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정비구역 지정으로 환경이 열악한 노후 주택가 일대에 양질의 주택 공급과 주변 지역을 고려한 조화로운 단지 조성으로 주거환경 개선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7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19차ㆍ25차아파트가 통합 재건축을 통해 공동주택 629가구 규모 주거 단지로 재탄생한다.
서울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신반포19차ㆍ25차 재건축 도시관리계획 변경, 정비구역 및 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서초구 잠원로 136(잠원동) 일원 2만6937.2㎡를 대상으로 한 신반포19차ㆍ25차 재건축사업은 신반포19차(242가구)ㆍ25차(169가구)와 한신진일(19가구), 잠원CJ아파트(17가구)를 하나의 단지로 통합해 추진하며, 앞으로 용적률 300% 이하를 적용해 지상 최고 높이 180m 공동주택 7개동 629가구(공공주택 75가구 포함) 등을 공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신반포19차와 25차는 각각 2018년 12월, 2022년 3월에 정비계획을 수립했으나, 하나의 단지로 통합해 재건축하고자 하는 주민들의 의지에 따라 2022년 12월 두 개의 정비구역을 하나로 통합하는 정비계획(안)을 입안 제안했다. 이후 정비계획 변경 절차를 진행했으나 지난해 하반기까지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에 시가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주민들에게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Fast-Track)으로 추진할 것을 제안했으며, 지난해 11월 주민들이 신속통합기획 자문사업을 신청한 지 9개월 만에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했다.
특히 대지면적이 1000㎡ 내외의 소규모 나홀로 아파트인 한신진일(252.84%), 잠원CJ아파트(249.65%)는 용적률이 높아 단독으로는 재건축이 어려운 여건이었으나, 4개 단지를 하나로 통합함에 따라 재건축이 가능하게 됐다. 부지면적도 넓어져 합리적인 건축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이와 함께 지하철 3호선 잠원역에서 한강으로 가는 길을 따라 공원을 배치해 기존에 좁은 도로와 아파트 숲을 지나 한강으로 향하던 시민들의 접근 동선이 한층 개선될 전망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소규모 단지의 경우 아무래도 재건축 추진이 어려울 수밖에 없으나, 주민들이 합심해 불리한 여건을 극복한 사례"라며 "앞으로도 재건축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고 주택 공급을 지속 확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신반포19차ㆍ25차는 잠원역이 가까워 교통 환경이 양호하고, 교육시설로는 신동초등학교, 신동중학교, 현대고등학교 등이 있다. 인근에 뉴코아, 신세계백화점, 서울성모병원이 있어 생활 인프라도 무난한 편이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도시재생 1호` 사업지로 서울의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꼽히는 종로구 창신동 일대가 아파트 4542가구 규모 대단지로 재개발된다.
최근 서울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창신동 23-606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과 `창신동 629 일대 주택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밝혔다.
창신동 23-606 일대 재개발사업은 종로구 창신8길 31(창신동) 일원 14만3148.7㎡에 공동주택 2667가구(임대 325가구 포함), 창신길 127-1(창신동) 일원 9만2190.8㎡를 대상으로 한 창신동 629 일대 재개발사업은 공동주택 1875가구(임대 229가구 포함) 등을 각각 공급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번 정비계획(안)에서는 신속통합기획에서 제시된 가이드라인 취지 내에서 일부 층수와 건축 배치를 조정해 101가구를 추가 확보하는 등 사업성을 개선했다.
이곳은 한양도성과 낙산으로 둘러싸인 구릉지형으로 가파른 언덕 입지로 인해 교통 및 주거환경이 매우 열악한 곳이다. 2007년부터 뉴타운(재정비촉진사업)이 추진됐지만, 2013년 촉진지구 지정 해제됐다. 이후 노후 주거지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됐으나 주택 공급과 기반시설 등 물리적 주거환경 개선 효과가 미흡해 주민들의 불만이 누적되다 2022년 신속통합기획 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되면서 사업이 재추진됐다.
이번 정비계획(안)에 따라 대상지는 고층타워형, 테라스하우스형 등 다양한 형태의 주동 특화계획이 반영된 공동주택 4542가구 규모 주거 단지로 탈바꿈한다.
시는 대상지와 인접한 낙산과 한양도성 등 다양한 경관자원을 활용한 조화로운 단지 배치와 통경축을 확보했고, 지형의 높이차를 활용해 연도형 상가, 커뮤니티시설, 부대복리시설을 저층에 배치해 경사지에 특화된 건축계획을 수립했다.
지역을 위한 기반시설로는 도로, 공원, 공공청사, 사회복지시설 등이 결정됐다. 기존에 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창신동 23-2(도시빌라) 일대 재개발 정비구역과 공공보행통로를 연결해 창신동 일대 지역 주민의 동ㆍ서간 이동 편의성을 개선하고, 단지 내에 에스컬레이터ㆍ엘리베이터ㆍ경사로 등 수직 동선을 충분히 마련해 고령자, 어린이 등 보행약자도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창신동 일대는 그간 열악한 주거환경이 개선되지 못했던 지역"이라며 "재개발사업을 통해 도심 중심지의 명품 주거 단지로 재탄생하는 발판이 마련됐다"라고 밝혔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8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조명의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조명의 기자] 서울시가 신속통합기획(이하 신통기획) 후보지 8곳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신규 지정하고, 기존 신통기획ㆍ공공재개발 선정지 23곳은 1년간 재지정했다. 투기 수요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최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 18일 열린 제7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지난달(6월) 30일 3차 후보지 선정위원회에서 신통기획 재개발 후보지로 선정된 8개 구역(총 39만2329.7㎡)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신규 지정했다.
신규 지정된 8곳은 ▲용산구 신창동 29-1 일대 ▲구로구 구로동 466 일대 ▲구로구 개봉동 153-19 일대 ▲도봉구 방학동 641 일대 ▲동작구 신대방동 344-132 일대 ▲동작구 흑석동 204-104 일대 ▲동작구 상도동 201 일대 ▲성북구 삼선동1가 277 일대다.
이들 지역은 오는 29일부터 2026년 8월 30일까지 규제를 받게 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면, 주거지역 6㎡, 상업지역 15㎡를 초과하는 토지 지분에 대한 소유권이나 지상권 이전ㆍ설정 계약을 하기 전에 해당 구청장의 허가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또한 기존 신통기획 재개발ㆍ재건축 13곳과 공공재개발 선정지 10곳을 2026년 8월 30일까지 1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 지난해 지정된 이 구역들은 오는 8월 30일 만료를 앞두고 있어 개발 기대감으로 인한 투기 수요 유입을 막기 위해 선제적으로 재지정했다는 게 시 설명이다.
이 중 관악구 신림동 419 일대와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사업구역을 일부 조정했다. 관악구 신림동 419 일대는 도시정비사업 대상에서 도시자연공원과 종교시설이 제외돼 사업구역(기존 4만3247㎡→3만7771.3㎡)이 일부 축소됐다. 강북구 미아동 345-1 일대는 원활한 교통 처리, 통학로 조성을 위한 주변 도로 편입과 종교시설 제외 등의 이유로 사업구역(기존 4만4061㎡→ 4만5479.5㎡)이 다소 늘었다.
기존 신통기획 재개발 대상지인 송파구 183 일대는 주민의 찬반 의견을 반영한 사업구역 조정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기존 7만9069.0㎡→7만338.4㎡)이 일부 조정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개발 기대감이 높은 지역에서 구역 지정이 해제될 경우 투기 수요가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해 조치를 취했다"라며 "앞으로도 주택시장 동향을 철저히 모니터링해 실수요자 중심의 투명한 시장 질서를 유지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8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한국고용정보원(2024년 12월) 자료에 의하면 지방소멸위험지역은 120곳으로 전국 228개 시ㆍ군ㆍ구의 57%를, 소멸고위험지역은 57곳으로 전체 시ㆍ군ㆍ구의 4분의 1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한 번 쇠하기 시작하면 웬만해서는 그 경로를 바꾸기 쉽지 않다(Buzar et alㆍ2007)"는 관성의 법칙이 도시성장론에도 적용되고 있다. 그 성장경로를 바꾸는 개발방식의 주체와 방식은 공공과 민간, 민간이 주도하는 정비사업이 있다.
관성의 법칙이 적용되는 도시의 공간구조 활용과 효율적인 토지 이용을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도시정비사업은 시장에 주택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사업시행자는 빅데이터를 활용하게 된다. 통계청 주택인구조사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0년 모든 도시가 고령화사회로 진입했고, 2024년에는 합계출산률이 0.75명이라는 전세계가 놀랄만한 데이터를 기록한 바 있다.
저성장, 인구감소와 저출산, 고령화, 교외화와 도심환경의 낙후 및 비효율적인 공공인프라는 도시공간의 비효율성을 확산시켰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시공간 재구조화의 필요성과 창의적이고 탄력적으로 거버넌스를 구축해 민간 참여에 의한 사업성과 공공성의 조화를 필요로 했다.
국내외 주요 업체들의 부동산 플랫폼 고찰 및 프롭테크 산업의 역량 강화 방안 모색을 위한 `프롭테크 부동산 플랫폼의 특성 및 비교에 관한 연구(배동현ㆍ2023)`를 보면 도시정비사업 관련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은 닥터필드, 벨류맵, 랜드북, 리치고 및 부동산 플래닛 등이 있고, 빅데이터 활용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가져온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은 도시ㆍ군관리계획의 일부로 사업 유형은 주거환경개선사업, 재개발ㆍ재건축사업이 있다. 일반적으로 도시정비사업은 사업준비단계, 사업시행단계, 관리처분단계 및 완료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별로 다양한 부동산 플랫폼을 활용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프롭테크기업은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사업준비단계에서는 KOSIS, 일사편리, 토지이음, 밸류맵, 랜드북 및 부동산 플래닛 등을 활용한다. 건축 및 경관 등의 심의를 하는 사업시행단계에서는 리치고, 호갱노노, 랜드북, 닥터필드, 하우필드 및 에이플래폼 등을 활용한다. 감정평가, 이주, 착공 및 분양 등을 하는 관리처분단계에서는 밸류모어, 공간의 가치, 랜드북, 청약홈, 아실 및 한국부동산원 등을 활용한다.
하지만 도시정비사업을 수행하는 사업시행자 입장에서 빅데이터 활용능력이 부족하고 심지어 활용능력 자체가 결여돼 있고, 일반적으로 업무수행은 협력 업체를 통해 이뤄지는 구조이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업 수행을 위해서는 인ㆍ허가권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업시행자는 분양시장을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활용 능력이 부족해 필요한 경우 협력 업체를 통해 자료를 받으나 이를 시장 상황에 맞게 해석하는 것과는 다른 문제이다. 사업시행자도 사업시행단계별로 최소한의 빅데이터 활용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사업시행자는 능력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기관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다. 이는 공공이 해결해야 한다.
공공이 사업시행자의 빅데이터 활용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에 교육을 위탁하거나 광역적으로 사업지를 통합해 교육해야 한다.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공공의 지원은 확대되고, 심지어 정비계획 수립 단계부터 직접 개입하는 경우도 있다.
도시정비사업은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필자의 사업지는 2018년 일반분양을 진행해 조합원들에게 많은 이익을 가져다줬다. 하지만 코로나19 상황은 거래가격의 하락을 가져와 조합이 보유한 보류지의 매각금액이 현저히 낮아져 조합의 자금 흐름에 심각을 영향을 미쳤고, 결국에는 추가 부담을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시장 상황은 조합 손익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추가로 사업 기간 등이 손익에 영향을 미친다.
사업시행자는 분양시장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분약시장 예측을 위해서는 분양률 등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야 하고, 플랫폼으로는 청약홈, 아실, 하국부동산원 등이 있다. 미분양아파트시장을 고려할 경우 핫스팟 분석은 Y모양을 나타내고, 향후 대응안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사업을 시행하려는 자는 빅데이터 활용능력을 갖춰어야 한다. 도시정비사업의 성패는 외부적인 요인도 중요하지만, 사업시행자 능력이 절대적이다. 수많은 협력 업체를 통제하고, 다수 조합원의 민원을 경청 및 처리하고, 신속한 인ㆍ허가를 끌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능력을 갖춰야 하는데, 빅데이터 활용능력이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정비계획 단계에서 정비구역 내 토지이용계획을 분석하고, 개략적인 건축계획을 확인하고, 사업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부채납 비율을 최소화하는 것은 사업시행자의 몫이다.
제1기 신도시 등 구도심의 낙후로 기반시설의 확충 필요성이 높아지고 최근 몇 년간 노후계획도시정비사업에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도시정비사업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활기를 찾아가고 있다. 지방 도시의 소멸 위험은 도시정비사업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자체의 강한 규제는 사업 침체를 가져와 지방 소멸을 앞당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공은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기여라 할 수 있는 기부채납 비율을 최소화하고 사업시행자는 빅데이터 활용능력 제고를 통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부동산 플랫폼은 사업시행자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사업시행자는 빅데이터 활용능력을 제고해 사업에 대한 예측능력을 갖춰야 한다. 빅데이터 활용능력은 사업시행자의 몫이며, 공공의 책임이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4 · 뉴스공유일 : 2025-07-24 · 배포회수 : 8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김진원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김진원 기자]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방향을 이끌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1기 지도부가 사실상 완성됐다. 지난 6월 이재명 대통령은 이상경 가천대 교수를 국토부 제1차관에, 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을 제2차관에 각각 지명한 데 이어 이달 11일에는 국토부 장관 후보자로 더불어민주당 김윤덕 의원을 지명하며 마지막 퍼즐 조각을 맞춘 것이다. 이번 인사는 부동산 공공성 강화, 지역균형 발전, 광역교통망 확충 등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관철하기 위한 조합이라는 평가다. 그러나 동시에 정치인 출신 장관과 학계 인사 중심의 국토부 수장단이 과연 빠르게 변동하는 시장 상황과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힌 부동산 해법을 유연하게 풀어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공존한다.
이에 본보는 이재명 정부의 국토부 첫 수장인 김윤덕 후보자를 비롯한 핵심 인물들을 알아보고, 이번 인선에 대한 시장의 평가는 물론 향후 시장 방향성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김윤덕 장관 후보자, 정무형 장관… 부동산 공공성 강화 시동 걸듯
이재명 대통령이 고심 끝에 선택한 첫 국토부 장관은 정치인 출신 더불어민주당 소속 3선 의원인 김윤덕 후보자로 결정됐다. 그는 전북 부안 출신으로 제19대ㆍ21대ㆍ22대 국회의원을 역임했고 해당 기간 국토교통위원회(이하 국토위)에서 두 차례 활동한 경력이 있다. 시민운동 출신으로 제20대 대선 당시 이재명 후보를 공개 지지한 `친명계 핵심` 인사로 분류되며, 최근까지 더불어민주당 주거복지특별위원장을 맡았다.
이 대통령은 그를 지명하며 "시장 원리를 존중하면서도 부동산 투기를 용납하지 않고, 실소유자를 보호하는 실용적 철학을 실천할 적임자"로 일컬으며 "학자나 관료의 관점이 아닌 국민의 눈높이에서 부동산 문제를 바라보며 지역 균형 발전과 국토ㆍ건설ㆍ교통 등에서 여러 비전을 제시할 것이다"고 기대감을 표했다.
현재 인사청문회를 앞둔 김 후보자는 주택 공급 확대, 재건축 규제 완화, 1ㆍ3기 신도시 속도전, 광역교통망 확충, 지역균형 발전 등 숱한 과제를 앞두고 있다.
김 후보자 역시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직후 "재건축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검토하되, 공공성과 민간 이익의 균형을 고려하겠다"고 밝히며 `핀셋 완화` 기조를 시사한 바 있다. 김 후보자의 국토부 입성이 단순한 자리 배분을 넘어 이재명 정부의 부동산 정책 철학을 실천하기 위한 `정무형 수장`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과거 입법 이력에서도 그의 정책 기조를 엿볼 수 있다. 김 후보자는 국토위 활동 당시 총 44건의 법안을 대표발의 한 바 있는데, 이 중 10건이 균형발전과 관련돼 있다. 지방 대도시에 특례시 지정을 허용하는 「지방자치법」 개정안을 비롯해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지방의회 참여를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등 지방의 역할을 강화하는 법안 발의에 초점을 맞췄다.
교통 정책에서도 그는 일찌감치 광역교통망 확장을 강조해왔다. 제22대 국회에서는 인구 50만 명 이상 도시를 광역교통 권역에 포함하는 법안을 제1호로 발의했으며, 앞선 제19대 국회의원 때는 노면전차ㆍ모노레일ㆍ자기부상열차 등의 정의를 명확히 하는 「국토교통과학기술 육성법」 개정안을 추진한 바 있다.
특히 김 후보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대해서도 "수동적 개혁이 아니라 구조를 바꾸는 대대적 개혁"을 언급하며 LH 전면 혁신을 예고하며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이는 문재인 정부 시절 터졌던 LH 사태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불식시키고 공공기관 개편에 나서겠다는 강한 의지를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경ㆍ강희업 투톱 차관 체제… 설계부터 실행까지 `균형감`
김윤덕 장관 후보자과 함께 국토부 핵심 정책을 실무 차원에서 이끌 차관들의 면면 역시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기 전 지난달(6월) 말 선제적으로 국토부 제1차관에 이상경 가천대 교수를, 제2차관에 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을 각각 임명했다.
먼저 이상경 1차관은 `이재명 부동산 공약의 설계자`로 알려진 인물로 2022년 대선 당시 이 후보의 부동산개혁위원장을 맡아 핵심 정책을 직접 설계했으며, 공공주택 공급 확대와 개발이익 환수 등 공공성 강화 중심의 정책 방향을 주도했다. 이상경 차관의 학계 시절 연구와 발언 역시 민간 개발이익의 공적 환수와 공공임대 확대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그가 기획한 `이상경표 주택 정책`은 민간분양 비중 축소, 장기거주형 공공주택 확대, 지분적립형 분양제 도입, 임대차시장 안정 등이 주된 핵심 내용이며, 문재인 정부 시절 시도되다 민간 반발로 무산됐던 `변창흠표` 공공재개발ㆍ재건축 정책도 재추진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강희업 2차관 역시 국토부 내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정통 실무 관료다. 앞선 직책이 사실상 차관 의전을 받는 만큼 그의 2차관 임명은 사실상 `수평 이동`에 가까워 교통 정책의 일관성과 추진력을 보완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가 엿보인다.
강 차관은 취임 직후 지역 간 이동 격차 해소와 미래 교통체계 전환을 핵심 과제로 제시하며 지방 간 철도망 연계 강화, 자율주행ㆍ드론 물류ㆍ도심항공교통(UAM) 등 첨단 모빌리티 정책도 주도할 것임을 암시했다.
유관 업계 전문가는 "이상경 1차관은 철학과 설계, 강희업 2차관은 교통 및 행정 실무를 담당하며 국토부의 정책 실행력을 강화할 조합으로 평가된다"면서 "결국 이재명 정부 초기 국토교통 정책은 `국토균형발전`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귀띔했다.
유관 업계 "기대와 우려 교차… 실효성 있는 리더십 중요"
하지만 이번 이재명 정부의 국토부 인선을 두고 정책 철학과 행정 실행력을 균형 있게 고려한 조합이라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 동시에 전문성 부족 우려도 동시에 제기되는 모양새다.
특히 김 장관 후보자의 경우, 최근까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활동해 국토부 수장으로는 예상 밖 인사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앞서 문재인 정부 김현미 전 장관, 윤석열 정부 원희룡 전 장관 등 정치인 출신 장관이 시장과 엇박자를 내며 정책 실패로 비판받았던 전례가 떠오른다는 점도 우려 요인이다.
이상경 차관 역시 설계 능력은 인정받고 있지만, 국토부 내부에서는 실무 경험 부족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감지된다. 복잡한 공급 절차와 인ㆍ허가, 현장 갈등 조율에 있어 학자 출신의 한계가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다. 장관으로 지명된 김 후보자가 과거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도(이하 초과이익환수제) 완화를 언급한 바 있어 향후 정책 조율 과정에서 이상경 차관과의 노선 차이가 부각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 대통령 역시 대선 후보 당시 공약에서 초과이익환수제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만큼 현 정부의 주택 정책 철학과 상충한다는 업계 분석도 나온다. 추후 국토부 내에서 언제든 긴장 관계가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주택 공급 확대나 규제 완화 같은 과제는 속도와 정교함이 핵심인 만큼 결국 이번 국토부 인선이 성과를 내려면 정무 감각과 정책 설계, 실행력이 유기적으로 맞물려야 한다"며 "실효성 없는 정책은 여론 악화뿐 아니라 정권의 신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민간과 실무진의 목소리를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유연한 리더십이 필요해 보인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윤덕 국토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오는 29일 열릴 예정이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3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대구광역시가 최근 잇따르는 지역주택조합 관련 분쟁ㆍ민원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실태조사에 나선다.
대구시는 조합의 원활한 추진 및 조합원 보호 강화를 위해 다음 달(8월) 20일까지 관내 23개 지역주택조합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시행한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최근 지역주택조합 추진 과정에서 과도한 공사비 증액, 조합 정보 비공개 및 부당 계약 등 관련 분쟁이 잇따르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
이에 각 구ㆍ군에서는 이달 초부터 실태조사를 진행 중이며, 특히 다수의 민원이 발생한 분쟁 조합에 대해서는 시ㆍ구ㆍ군이 합동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점검은 ▲업무대행사 선정 ▲조합원 모집 광고 ▲조합 가입계약서 ▲회계 처리 등 조합원에게 실질적인 손해를 끼칠 수 있는 문제를 중점적으로 실시한다.
시는 점검 결과 위반 사항이 발견되는 경우 시정명령, 과태료 부과, 고발 등의 행정처분을 내릴 계획이다. 또 점검을 방해하거나 거부하는 조합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계도를 거치고, 지속적인 불응 시 고발 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조사를 통해 지역주택조합 운영 관리 전반에 대해 진단하고, 제도 개선안을 건의하는 등 체계적인 관리 체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역주택조합의 투명한 운영과 조합원 피해 예방을 위해 실태조사를 강화하고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조합원의 권익 보호와 공정한 사업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는 그간 문제가 많이 발생하는 조합원 모집 신고 단계에서 ▲행정지도 ▲홍보 강화 등을 통해 민원을 예방해 왔으며 ▲공사비 검증 방안 마련 ▲전문가 합동점검 법제화 등을 국토교통부에 건의한 바 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세종특별자치시가 도시첨단산단 활성화를 위해 테크밸리에 입주하는 미래전략산업 기업에 임차료를 지원한다.
지난 22일 시는 첨단기술 기업의 안정적인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해 세종테크밸리 이전 기업에 최대 4500만 원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세종테크밸리는 첨단기업 집적화 차원에서 조성된 지역 유일 도시첨단산업단지다. 그러나 지난달(6월) 기준 98%의 분양률을 기록하고 있음에도, 입주율은 약 50% 정도로 아직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시는 세종테크밸리 활성화를 위해 관련 조례 개정을 거쳐 첨단기술 기업 유치를 위한 `임차료 지원 제도`를 시행하게 됐다.
지원 대상은 시 미래전략산업 5+1(▲정보보호산업 ▲미래모빌리티 ▲디지털콘텐츠 ▲디지털헬스케어 ▲방송영상미디어 ▲양자산업) 분야에 해당하면서, 세종 외 지역에서 세종테크밸리로 이전하는 중소기업 본사ㆍ공장ㆍ연구소 등이다.
대상 기업은 향후 2년간 ▲최대 4000만 원의 임차료 ▲최대 500만 원의 사무실 조성 공사비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단, 2년간의 임차료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입주 의무기간 2년을 포함해 총 4년의 임대차계약을 맺어야 한다.
시는 세종테크노파크 임차료 지원기업 선정위원회를 통해 업종, 기술성, 성장 가능성, 고용창출 계획 등을 종합 심의ㆍ평가한 뒤 최종 지원기업을 선정할 방침이다.
세종시 관계자는 "임차료 지원은 단순 예산 지원을 넘어 첨단기업 유치ㆍ정착,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미래전략산업 분야의 유망한 기업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유치해 도시 자족 기능을 확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 투자유치단` 또는 `세종테크노파크 기업성장지원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부천시가 시민에게 체계적인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공간정보통합플랫폼 및 생활지리정보맵 서비스를 운영한다.
부천시는 노후화된 공간정보시스템을 전면 개선하고, 공간정보 데이터를 통합 정비한 `공간정보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고 지난 21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기존 7종의 개별 시스템인 지리정보시스템(GIS) 인트라넷, 도시기반시설물관리시스템, 지하시설물도통합관리시스템, 토지분야공공정보공유포털 등을 하나로 통합한 것이다.
이에 따라 노후화된 운영환경이 개선되고 공간정보 자료의 정합성이 높아졌다. 또한 실시간 자료 갱신 체계를 도입해 공간정보 활용도도 한층 강화됐다.
나아가 시는 부서별로 분산 관리하던 공간정보를 `나만의 지도` 기능을 통해 손쉽게 등록ㆍ관리ㆍ공유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했다.
이에 더해 13종의 행정시스템(▲부동산종합공부 ▲건축행정 ▲도로명주소 등)과 연계해 통합 행정정보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도록 했으며, 새올행정시스템과도 연계해 세분된 인구통계와 모든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결합한 공간분석 기능도 구축했다.
아울러 실생활에서 모바일 등을 통해 각종 공간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부천 생활지리정보맵` 서비스도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공간정보통합플랫폼 내에 포함된 서비스로, 시민 생활과 밀접한 정보를 지도 기반으로 시각화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든 생활 밀착형 공간정보 플랫폼이다.
▲각종 지도 정보 ▲토지정보 ▲인구통계 ▲생활편의 ▲문화관광 ▲일자리 정보 등은 물론이고, 12개년도 항공사진을 지도 위에 구현해 도시변화와 지역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해당 서비스는 시 홈페이지 `부천소개` 메뉴, 시 생활지리정보맵, 큐알(QR) 코드 접속 등을 통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특히 QR 코드를 스캔한 뒤 휴대전화나 태블릿 홈 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추가하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시 도시국 토지정보과 공간정보팀으로 문의하면 된다.
부천시 관계자는 "공간정보통합플랫폼과 생활지리정보맵을 통해 정확하고 신속한 행정처리와 시민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서비스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정확하고 체계적인 공간정보 관리를 통해 시민에게 더 나은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용인시 처인구가 민원인의 번거로움과 비용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건축 행정 서비스 절차를 개선한 것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
처인구는 시민들이 건축 행정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불편함을 겪지 않도록 일부 절차를 간소화ㆍ개선했으며, 이를 통해 시민의 부담을 줄여주는 성과를 거뒀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우선 가설건축물 존치 기간 연장신청 시 필요한 필증을 구청에 방문하는 대신 전자우편으로 받을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에 따라 지난 1월부터 6월까지 연장신청 470건 중 330건을 전자우편으로 처리했다.
기존에는 가설건축물 존치 기간 연장을 하려면 민원인이 담당 부서를 찾아 신청서를 접수하고, 필증을 수령할 때 재방문하는 등 2회 이상 구청을 직접 방문해야 했다.
구는 이 같은 번거로움을 줄이고자 존치 기간 만료를 사전에 안내할 때 담당자의 전자우편 주소를 안내해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 건축물 내부 구획 등 변동 없이 단순히 건축물대장 용도(표시)만 변경하는 경우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건축물 현황도면`을 공무원이 작성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기존에는 건축사 등 자격을 갖춘 사람만 건축물 현황도면을 작성할 수 있어, 단순 용도 변경 시에도 적지 않은 비용을 내고 설계사무소 등에 의뢰해 작성해야 했다.
이에 구는 소상공인이나 임차인이 영업 신고를 위해 건축물 용도 변경 신청을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됐다.
구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건축물 현황도면 작성 총 46건을 지원했으며, 민원인들은 2300만 원~4600만 원 가량의 도면 작성 비용을 아끼는 효과를 얻었다.
처인구 관계자는 "앞으로도 건축 행정 분야를 간소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하겠다"며 "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민원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충남이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업계 관계자들과 의견을 나눴다.
충남은 지난 21일 도청 접견실에서 대한전문건설협회 세종시ㆍ충남도회 회장단과 지역 건설산업 발전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김태흠 지사를 비롯해 최동석 도 건설교통국장 등 관계 공무원, 김종언 세종시ㆍ충남도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대한전문건협회는 도에 ▲공공공사 현장 여건을 반영한 합리적인 감리 요청 ▲소규모 공사 설계 기준 적극 반영 및 적용 대상 확대 ▲민간 공사 지역업체 하도급 수주율 향상을 위한 충남개발공사의 노력 등을 건의했다.
이에 도는 인건비 및 자재 물가 상승 등으로 어려운 건설업계 실정에 깊이 공감하는 한편, 지역 건설산업 발전을 위해 공정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이행할 것을 약속했다.
나아가 발주청ㆍ감리ㆍ시공자 간 유기적 관계를 위해 교육을 확대하고, 충남개발공사의 대규모 사업에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충남 관계자는 "접견 내용을 바탕으로 수렴한 의견을 적극 검토하겠다"며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등 다각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안산시가 상록수역세권 개발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타당성 조사 용역에 착수했다.
안산시는 지난 22일 시청 상황실에서 `상록수역세권 개발 타당성 조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해 용역수행사의 과업수행계획, 향후 추진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날 보고회는 이민근 시장을 비롯해 허남석 부시장, 관계부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용역은 GTX-C 노선의 상록수역 연장에 맞춰 역세권 주변 시유지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고자 추진됐다. 인구 유입 및 GTX-C 이용 수요 확대를 통해 지역 발전을 견인하기 위해서다.
시는 앞서 2024년,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방향 마련하고자 `상록수역세권 개발계획 기본구상 용역`을 수행해 사업 추진 가능성을 사전 검토한 바 있다.
이어 이번 타당성 조사 용역은 당시 수립된 개발계획을 바탕으로 ▲개발계획의 구체화 ▲상록수역의 중심성 확보 방안 등을 마련하고 ▲GTX-C노선 개통 시기에 맞춘 사업화 방안 ▲실행 로드맵 등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민근 시장은 "상록수역세권 개발사업은 구도심의 도시경쟁력을 높이고 인구 유입을 통해 안산시 발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중차대한 사업"이라며 "이번 용역으로 실현가능한 최적의 사업 방안을 마련하고, GTX-C 개통 시기에 맞춰 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강원이 관내 중소형 건축공사장 6곳 대상으로 여름철 온열질환 사고 대비 안전점검을 진행했다.
강원은 여름철 폭염에 따른 온열질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지난 7일부터 9일까지 도내 건축공사장 6개소를 대상으로 현장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고 이달 23일 밝혔다.
이번 점검은 공사비 50억 원 이하 중소형 건축공사장 중 폭염에 취약한 6개소를 표본 선정해 시행됐다.
도, 시ㆍ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합동으로 온열질환 예방수칙 이행 여부 및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했으며, 총 30건의 미흡 사항에 대해 현장 안전조치를 완료했다.
점검 결과는 도내 18개 시ㆍ군과 공유해 유사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건축공사장 안전사고를 선제적으로 예방할 계획이다.
한편, 도 건축안전센터는 장마철 붕괴 위험에 대비해 지난달(6월) 18일부터 26일까지 도내 건축공사장 21개소를 대상으로 집중점검을 실시한 바 있다. 사면 붕괴, 토사 유출 등 위험 요소에 대해 총 17개소ㆍ67건의 안전조치를 완료했다.
강원 관계자는 "현장 중심의 안전점검과 재난 예방활동을 통해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사고를 철저히 방지하겠다"며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책임 있는 건축행정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용인시가 관내 골재 채취업체 및 건설폐기물 처리업체를 방문해 주변 대기질과 안전 실태를 점검했다.
최근 용인시는 지난 21일 기흥구 언남로 30번길 35에 위치한 구성적환장 인근 골재 채취업체 및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현장을 찾아 사업장 운영 실태를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날 이상일 시장은 사업현장 주변의 대기질과 시의 현장점검 상황을 살펴보기 위해 시 관계자들과 함께 현장을 찾았다.
그는 업체 관계자에게 "비산먼지 문제가 어느 정도인지 시가 확인해 보강조치를 요구하겠지만, 업체도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방안을 고안해서 개선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서 이 시장은 "대형 덤프트럭의 통행량이 많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보행자 안전에 각별히 주의해 주시고, 거친 운전은 삼가도록 해달라"며 "시가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협조를 요청했을 때 적극적으로 응해주기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에 골재 채취업체인 신우건업 관계자는 "현재 시에서 진행 중인 점검에 적극 협조할 것이며, 결과에 따라 보완할 부분은 적극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현장방문은 이상일 시장이 지난 10일 구성ㆍ동백 주민 대표들과의 면담 자리에서 이들 업체에 대한 환경 차원의 모니터링을 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한 후속조치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이에 시는 지난 15일부터 22일까지 해당 사업장 2곳을 대상으로 환경ㆍ건축ㆍ생태하천 유관 부서와 합동점검을 진행했다.
점검은 ▲「폐기물관리법」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대기환경보전법」 ▲「소음ㆍ진동관리법」 ▲「골재채취법」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건축법」 등 위반 여부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더불어 시는 ▲사업장 주변 안전 펜스 설치 ▲과속방지턱 설치 ▲가로등(6개) 보수 등 시민 안전을 위한 조치도 병행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4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안양시가 추진 중이던 연현마을 공원조성사업이 4년간의 법적공방 끝에 재개된다.
안양시는 지난 10일 연현마을 공원조성사업 소송에서 최종 승소한 것 관련 회의를 개최해 보상 및 향후 공사 일정에 대해 논의하는 등 본격적인 공원조성사업 재개에 나섰다고 최근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시 도시계획과 및 공원관리과 관계 공무원, 사업시행자인 경기주택도시공사(GH) 관계자 등 9명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서는 ▲기존 토지ㆍ건물 외 지장물에 대한 감정평가 등 잔여 보상 절차에 대한 이행 ▲토지주와의 보상 협의 ▲향후 공사 일정 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아울러 이번 조성사업 재개로 해당 부지에서 영업을 이어오던 한일레미콘 영업이 중단되는 것과 관련, 시는 한일레미콘 근로자들과 간담회 자리를 마련해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한편, 해당 사업은 만안구 석수동 일대 제일산업개발 아스콘공장 부지에 3만7546㎡ 규모의 근린공원을 조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앞서 제일산업개발 등은 시의 도시관리계획(공원) 결정에 의해 재산권이 침해됐다고 주장하며 2021년 4월 도시관리계획결정 등 취소소송을 제기했다. 그러나 지난달(6월) 26일 상고심에서 대법원이 안양시의 손을 들어주며 시의 승소로 최종 종결됐다.
이에 따라 실시계획인가 집행정지 인용이 해제돼 시는 사업을 즉각 재개할 수 있게 됐다.
최대호 시장은 "상고심까지 승소하면서 주민들이 오랜 시간 염원하던 연현공원조성사업을 재개할 수 있게 됐다"며 "공원조성사업을 신속하고 내실있게 추진해 연현마을의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미국이 일본과 상호관세 15% 합의를 이루어 내며 무역협상을 사실상 완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2일(현지 시간) 자신의 SNS(트루스소셜)를 통해 일본과 무역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무역 협상을 통해 일본은 미국에 5,500억달러를 투자하고 미국내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다. 일본이 미국산 자동차와 트럭, 쌀, 특정 농산물 및 기타 제품을 개방한다”고 강조했다. 이 뉴스는 투데이포커스(www.todayf.kr) 공유 뉴스입니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8-01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1. 문제점
「정비사업 계약업무 처리기준(이하 계약업무처리기준)」 제30조는 건설업자 등의 금품 등 제공 금지 등에 관해 정하고 있는데, 이사비, 이주비, 이주촉진비 및 그 밖에 시공과 관련 없는 금전이나 재산상 이익을 무이자나 제안 시점에 「은행법」에 따라 설립된 은행 중 전국을 영업구역으로 하는 은행이 적용하는 대출금리 중 가장 낮은 금리보다 더 낮은 금리로 대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한편, 제3항은 추가 이주비에 관해 규정하면서 "제1항에도 불구하고 건설업자 등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조달하는 금리 수준으로 추가이주비를 사업시행자 등에 대여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는데, 즉, "제1항에도 불구하고"라는 문구로 말미암아 추가 이주비의 경우에는 기본 이주비와 달리 시중은행 대출금리 중 가장 낮은 금리보다 더 낮은 금리로 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해석될 여지가 생긴다.
2. 추가 이주비 제안 시 시중은행 금리보다 낮은 금리 제안이 가능할지
그러나 위와 같은 해석은 받아들여질 수 없다. ①모법인 도시정비법 제132조 및 시행령 제96조의2는 계약업무처리기준 제30조제3항에 해당하는 추가 이주비에 대해선 아무런 정함을 두고 있지 않고, 오히려 이사비 등에 대해서 무상이나 무이자, 시중은행 금리보다 더 낮은 금리로 대여하는 것을 금지하는 규정만을 두고 있다(계약업무처리기준이 제정 당시부터 해당 내용의 규정을 두고 있던 것과 달리 도시정비법은 시공자들의 이주비 무이자 대여 제안 등의 이슈로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하자 2022년 6월 이후에야 해당 규정을 신설했다). 따라서 법이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는 사안에 대해 계약업무처리기준 규정 내용을 모법보다 완화해서 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②2022년 도시정비법 제132조 등에 따른 하위 법령 개정안 입법예고에 따른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및 국토교통부 고시 개정 이유를 참고해보면 위와 같은 법의 취지는 좀 더 명확해진다. 해당 보도자료에는 건설업자 이주비 등 제안금지 범위 규정을 명시하면서, "개정안에서는 재개발ㆍ재건축사업 모두 시중은행 대출금리 수준으로 추가 이주비(금융기관의 이주비 대출 외의 이주비)를 대여하는 제안을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분명히 했으며, 이에 국토교통부 고시 제ㆍ개정 이유를 살펴보면,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및 같은 법 시행령 개정으로 건설업자 등이 이사비, 이주비 등을 무상 또는 은행 대출금리보다 낮은 금리 대여하는 것은 금지되나"라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 보면, 우리 법은 이주비에 대해서는 시중은행 금리보다 낮은 금리로 제안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고 추가 이주비가 사업비의 성격을 갖는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라고 봐야 한다.
3. 결어
관련 규정을 해석할 때는 문언적 해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입법자의 의도를 함께 살펴봐야 한다. 따라서 추가 이주비의 경우 시중은행 금리 대비 낮은 금리로 제안을 하는 경우 법 제113조의2 등에 따라 시ㆍ도지사가 시공자 선정 취소 명령 또는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바, 주의가 필요하다. 아울러 현장에서는 입찰참여예정 시공자의 입찰 참여 조건을 비교ㆍ검토하는 경우, 이주비에 대한 제안 금지 사항에 관한 도시정비법 시행령 제96조의2 규정이 2022년 12월 9일에 신설돼 그달 11일 자로 시행됐다는 점을 고려해 위 시점 이전에 시공자 선정이 이루어진 현장과는 달리 봐야 할 것이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7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사회 > 지역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제주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8월부터 도내 모든 노선 버스를 완전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제주특별자치도가 전국 최초로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시행하고, 어린이 버스 무료 범위도 확대하는 보편적 교통복지를 실현한다.
제주도는 8월 1일부터 도내 청소년(만 13~18세)이 모든 노선버스를 시간과 노선 제한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에는 중·고등학생에 한해 등·하교 시간대 통학교통비를 지원했지만, 앞으로는 학교 밖 청소년을 포함한 모든 청소년이 전 노선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어린이도 기존 시내버스에 더해 급행버스와 공항리무진까지 무료 탑승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한다.
이번 정책은 지난 4월 제주도와 제주도교육청이 체결한 ‘청소년 대중교통 무료이용 업무협약’의 후속조치다. 양 기관은 청소년의 이동권 보장과 교통·교육 복지 강화를 위해 기존 통학교통비 지원을 전면 무료 이용 방식으로 개편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청소년과 어린이의 이동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하는 교통복지 패러다임의 전환”이라며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모든 아이들이 평등하게 교육과 문화 기회에 접근하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어 “친환경 교통수단 이용 활성화로 탄소중립 실천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전국 최초로 시행하는 이 정책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돼 대한민국 교통복지 발전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사회 > 지역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동부농업기술센터(소장 김수미)는 본격적인 당근 파종시기를 앞두고, 폭염 등 기후변화에 철저히 대비한 재배 관리를 당부했다.
올 여름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폭염·열대야 발생빈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여름철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 2024년 여름철은 평균기온, 최고기온, 열대야일수, 폭염일수가 모두 1위로,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웠다.
당근 파종 적기는 7월 하순부터 8월 15일까지로, 해마다 폭염과 국지성 호우가 반복되는 경우가 많아 여름철 당근 발아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지난해에도 파종 시기 가뭄으로 발아가 불량해 재파종을 실시했으며, 이후 태풍과 강풍이 있었으나 비는 내리지 않아 조풍해1)가 발생해 생육에 큰 지장을 줬다.
당근의 안정적인 재배를 위해 파종부터 수확까지 폭염, 국지성 호우, 태풍 등 기상재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우선 기상예보를 주시하면서 파종시기를 선택해 발아가 잘 되도록 해야 한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이므로 파종 후 발아할 때까지 물을 충분히 공급해 입모율2)을 높이고, 국지성 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 배수로 정비를 통해 물이 빨리 빠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당근이 지상부로 출현한 어린 시기에는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잘록병3)에 의해 고사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용약제를 즉시 살포해 입모율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비를 동반하지 않은 태풍이 통과할 때는 조풍해 피해가 우려되므로 스프링클러 등 관수시설을 이용해 식물에 묻은 염분을 즉시 제거해야 한다.
고보성 특화작목육성팀장은 “당근 재배기간 중 폭염, 가뭄, 태풍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며 “안정적인 당근 생산을 위해 기상재해 대비 세심한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 조풍해: 소금기를 지닌 강한 바닷바람으로 인해 식물의 잎 등에 발생하는 피해
2) 입모율: 정상적인 어른 모로 자라는 비율
3) 잘록병: 어린 묘 시기에 잘록증상으로 나타나며, 병든 묘는 잘 쓰러지고 말라 죽음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사회 > 지역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단(단장 오충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고령자 보행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제주시 지역 보행신호 개선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도내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감소세를 보였으나, 65세 이상 고령자 사고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보행 교통사고 사망자 26명 중 20명(76.9%)이 고령자로, 고령자 보행 안전 확보를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자치경찰단은 지난 3월부터 한국도로교통공단과 협업해 제주시 지역의 고령자 비율이 높은 지역과 고령 방문자가 많이 찾는 병원․복지관 주변 139개소 횡단보도를 선정해 보행신호를 개선했다.
99개소 횡단보도는 고령자의 평균 보행속도를 고려해 기존 1.0m/s 기준으로 적용했던 보행신호 시간을 최대 보호구역 기준인 0.7m/s 보행속도로 변경해 평균 4.8초(18%) 연장했다.
- 이는 약 3.36m를 더 보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1개 차로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는 여유시간을 제공한다.
6개소는 차량 신호 종료 후 1~2초 뒤 보행신호가 시작되도록 조정해 보행신호에 횡단하는 고령자와 뒤늦게 횡단보도에 진입하는 차량 간 충돌 위험을 줄였다.
※ 보행시간 연장과 보행 전 시간 중복 5개소
나머지 39개소 중 14개소에는 보행자를 인식해 보행신호를 연장해주는 스마트횡단보도가 설치됐으며, 20개소는 신규 횡단보도를 설치하면서 보행신호 시간을 연장했다. 5개소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횡단보도로 이미 개선을 완료한 상태였다.
개선 결과 보행자가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리는 시간이 기존 40.8초에서 38.3초로 2.5초(6.1%) 감소해 보행자 친화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광조 자치경찰단 교통정보센터장은 “이번 신호체계 개선이 교통사고 감소에 미친 효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앞으로 교차로 횡단보도에 대한 개선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며, “어르신들의 안전한 보행권 확보를 위한 실질적인 대안을 지속적으로 발굴,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자치경찰단은 올해 11월까지 서귀포지역 80개소에 대한 신호체계 개선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사회 > 교육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삼성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SSDA:쓰다)가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한 일자리 연계를 통해 시니어들의 사회 복귀와 자신감 회복에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2025년 T-플랫폼 물류매니저 양성교육 수료식 모습
은퇴 이후 삶의 의미를 되찾고 싶었던 이용규(60대) 씨는 요즘 매일 아침 출근 준비로 바쁘게 하루를 시작한다. 삼성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SSDA:쓰다)의 심화과정(2025년 T-플랫폼 물류매니저 양성교육)에 참여했던 그는 최근부터 수서역에서 ‘T-플랫폼 배송매니저’로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해 고객의 짐 보관 서비스와 공항 및 주요 지하철역 라커에 짐을 배송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또한 각 지하철역에 설치된 T-Locker 및 무인 T-Storage의 점검, 외국인 관광객 안내 등 바쁘게 활약하고 있다.
이용규 씨가 참여한 삼성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SSDA:쓰다)의 교육 과정은 현장 실무 중심 커리큘럼으로 탄탄하게 구성됐다. 짐 보관 및 배송기기 조작법, 무인 라커 점검 시스템, 시니어 맞춤형 고객 응대(CS) 교육, 안전교육 등 실제 업무에 필요한 내용을 다뤘고, 마지막 이틀간의 실습을 통해 현장감각을 익힐 수 있었다. 이용규 시니어는 “직접 장비를 다뤄보면서 ‘이제는 진짜 일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겼다”고 말했다.
그는 “T-Luggage(티러기지)는 단순한 물품 보관소를 넘어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는 지하철 속 사랑방 같은 공간”이라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또한 “수십 건의 물품을 문제 없이 안전하게 처리했을 때의 성취감, 처음엔 낯설던 시스템이 익숙해졌다는 뿌듯함, 그리고 다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는 만족감, 이 모든 게 제가 다시 일하기를 잘했다고 느끼게 해준다”고 덧붙였다.
일자리를 갖게 된 이후 가족과 지인들로부터 많은 응원을 받았고 스스로에 대한 신뢰와 자존감이 크게 회복됐다고 한다. 그는 “이제는 디지털 기기 활용도 익숙해져서 주변 사람들에게 디지털 기기 사용법을 알려드리는 일도 자연스럽게 늘어났다”며, 배움을 통해 본인뿐 아니라 주변 사람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 뿌듯함을 느낀다고 전했다.
삼성시니어디지털아카데미(SSDA:쓰다)는 삼성의 대표 사회공헌(CSR) 사업으로, 디지털 소외계층인 노인들이 키오스크,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일상생활의 불편 해소는 물론 취업 역량 강화까지 지원하고 있다. 에스원과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가 주관사를 맡았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호텔신라·제일기획·삼성웰스토리·삼성서울병원·강북삼성병원·삼성글로벌리서치 8개 관계사도 사업에 참여한다. 또한 중앙노인돌봄지원기관(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사랑의열매도 협력기관으로 참여하며 시니어 디지털 포용 사회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다.
한편 지난 7월 21일 광주광역시 서빛마루시니어센터에서 ‘SSDA 호남권역 팝업 체험센터’ 개소식이 열렸다. 경기, 인천, 서울에 이어 호남에서도 운영된 이번 팝업 센터에서는 ‘T-Luggage’ 체험 부스를 비롯해 키오스크, 테이블 오더, AI 로봇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됐다.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된 이 체험존은 어르신들의 디지털 기술, 기기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고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기업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AI 전문기업 솔트웨어가 중동의 스마트팜 시장에서 새로운 싹을 틔운지 10여 년 만에 결실을 맺을 전망이다.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2011년부터 농업과 AI 기술을 융합한 AI 스마트팜 사업에 일찍이 눈을 뜨고 양액, 온·습도, 생육 계측 등 농작물의 최적 생장 환경 조성을 위한 요소기술과 재배 데이터 수집, 분석 등 노하우를 꾸준히 확보한 덕분이다.
왼쪽부터 안창곤 대표, 문홍의 대표, 아흐메드 알잘라젤 회장, 이정근 회장, 이성희 대표, 김창배 전무
솔트웨어 이정근 대표는 지난 7월 19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NABTH ALMASHRA Trading사의 아흐메드 알잘라젤(Ahmed Aljalajel) 회장과 AI 스마트팜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우선 1헥타르(3000평) 스마트팜 시설과 4200㎡(1300평) 식물공장 구축 프로젝트(사업비 45억원)를 진행하고, 재배 면적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대규모 AI 스마트팜 사업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에 따라 솔트웨어는 앞으로 2개월 동안 스마트팜 시설과 식물공장의 세부적인 건축 설계와 냉방 기능 설계를 거쳐 올 10월부터 리야드 북쪽 250km에 위치한 AL-GHAT 지역에 시설을 구축할 예정이다. AI 스마트팜 시설이 완공되면 스마트팜 시설에서는 토마토를 재배하며 식물공장에서는 새싹, 버섯 그리고 토마토 육묘를 재배할 계획이다.
한편 사우디 측에서는 AI 스마트팜 시설 완공 후에도 솔트웨어가 시설의 운영과 작물의 재배를 담당하고 사우디 측에서 마케팅과 판매를 전담하는 신규 조인트벤처를 설립해 향후 25년간 공동 운영하며 수익금을 배분하는 사업 운영 모델을 제시했으며, 향후 세부적인 논의를 하기로 했다.
솔트웨어는 지난 15년간 중동 시장에서 스마트팜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저비용으로 대규모 시설 재배로 확장 가능한 사막형 AI 스마트팜 기술을 개발해 2020년 카타르에 500평 규모의 스마트팜 시설을 구축하고 토마토 시범 재배까지 성공한 사례가 있었으나 코로나 사태로 인해 후속 사업이 이어지지 못한 아픈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카타르에서의 스마트팜 시설 구축·운영과 작물 재배 노하우가 이번 사업 수주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회사는 평가하고 있다.
이번 AI 스마트팜 사업에는 기존의 육묘 기술과 사막에서의 효과적인 냉방 기술 이외에 그동안 자체 개발한 AI 클라우드 기반의 IoT 정보 수집 기술 및 솔트웨어의 우수한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 스마트팜 시설과의 차별화에 역점을 두고 있다. 스마트팜 내외부의 온·습도, CO2, 빛의 세기 등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온실 내부의 온·습도 변화와 냉방기의 운영 데이터를 결합한 사막형 AI 스마트팜 운영 모델을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고성능 카메라를 설치해 작물의 이미지를 주기적으로 수집하고 솔트웨어가 자체 개발해 2024년 미국 Weights & Biases 경연대회에서 오픈소스 부분 1위를 차지한 AI 생성형 언어 모델(Sapie sLLM)을 적용해 작물의 생육 상태와 질병 발생 여부를 자동 진단하는 작물 생육 진단 시스템도 중동의 사막 환경에 맞게 고도화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농업분야의 AI 기술 도입을 활성화하기 위해 사우디 측에서도 조인트벤처를 통해 사우디 정부 국가연구과제 등을 공동 수행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사우디 정부는 지속적인 발전, 혁신, 안보 강화를 위한 ‘Vision 2030’ 전략 내에 농업-식량 생태계 재구축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리야드 주변 신도시 건설 계획안에 대규모 스마트팜 시설도 포함하고 있어 본 사업의 성공이 향후의 K-스마트팜 확산에 중요한 출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사우디는 AI 기술을 농업에 적용하기 위한 National Smart Farming Program을 수립해 추진 중이라 이번 사업을 통해 솔트웨어가 보유한 농업 분야의 AI 기술을 다양한 곳에 적용할 기회를 가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정근 솔트웨어 대표는 “지난 10여 년 동안 국내 농업기술연구소와 농작물 생육을 위한 데이터를 꾸준하게 수집·축적해 왔을 뿐만 아니라 사막 환경에서의 AI 스마트팜 초기 투자와 운영비를 절감하는 노하우를 적용해 이번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중동 지역에 꿈을 현실로 이룩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일반사단법인 카메라 영상기기 공업회(CIPA)(대표이사 회장: 도쿠라 고, 소재지: 도쿄도 미나토구)는 카메라와 사진 영상의 월드 프리미어 쇼 ‘CP+(시피플러스) 2026’을 퍼시피코 요코하마에서의 행사장 이벤트와 온라인 이벤트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합니다. 기간은 2026년 2월 26일(목)부터 3월 1일(일)까지 4일간이며, 입장은 무료(사전 등록제)입니다. 개최에 앞서 출품을 희망하는 기업 및 단체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모든 출품 기업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비용으로 부담 없이 출전하실 수 있는 ‘버짓 플랜’을 신설했습니다. 마감은 9월 30일(화). 상세 정보 및 신청은 공식 웹 사이트(https://www.cpplus.jp/)를 확인해 주십시오.
전문가부터 가족 단위까지 다양한 관람객과 만나 제품과 브랜드의 매력을 직접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
CP+는 카메라, 렌즈 등의 이미징 관련 기업이 최신 기종과 서비스를 소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카메라 및 영상기기 전시회입니다. 전문가나 열성적인 팬들뿐만 아니라 사진과 동영상을 즐기는 가족 및 여성, 청년 등 폭넓은 계층의 사람들이 방문하며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2025년은 역대 최고 수준인 125개사 및 단체가 출전, 약 5만6000명이 방문(전년 대비 112%). 또한 온라인 이벤트는 42만 명(전년 대비 127%)이 참가해 245만 PV를 기록했습니다.
최근에는 교환 렌즈 및 촬영용품 분야에서 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해외 브랜드의 참가도 증가해 동영상 장비나 천체 촬영 장비, 영상 관련 서비스 기업도 출품하는 등 CP⁺ 출품 기업의 영역이 크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벤트 후에는 35% 이상의 관람객이 제품 구입을 계획하는 등, 출품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자사의 신제품과 서비스를 폭넓게 소개해 판매 촉진과 브랜드 인지도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관람객과의 생생한 소통을 통해 사용자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들을 수 있는 절호의 찬스입니다.
모든 기업 대상! 합리적인 비용의 ‘버짓 플랜’이 새롭게 등장
이번에 모든 출품 기업을 대상으로, 합리적인 비용으로 부담 없이 출품하실 수 있는 ‘버짓 플랜’을 신설했습니다. 예산이 한정돼 있는 출품 기업에 최적인 공간 절약형 플랜입니다. 더욱 저렴한 얼리버드 할인 플랜(첫 출품 기업 대상)도 계속 제공합니다. 카메라 및 관련 액세서리 등의 제조사는 물론 새로운 영상 관련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다채로운 업종, 업태의 기업 관계자 분들도 꼭 출품을 검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점점 늘어나는 동영상 수요, 필름 열풍, SNS를 통해 확산 중인 사진 문화
‘최신 트렌드’를 체험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의 매력이 집약된 주목할 만한 이벤트가 가득
CP+2026에서는 점점 늘어나는 동영상 수요와 청년층을 중심으로 인기 있는 필름 카메라, SNS 트렌드를 발 빠르게 도입해 전문 촬영자 및 크리에이터는 물론 초보자와 가족 단위까지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겐코샤의 ‘CREATORS EDGE Spring Edition’에서는 일선에서 활약하는 전문가에게 실용적인 스킬을 배울 수 있으며 영상 제작 플랫폼 ‘Vook’의 토크 세션, 사진가 및 평론가들의 프레젠테이션 스테이지도 개최됩니다. 그리고 평소 찍고 싶었던 사진과 동영상에 대한 바람을 실현해주는, 카메라 마니아층 여성 및 아이를 둔 부모를 위한 ‘체험형 워크숍’과 모든 연령층이 재미있게 볼 수 있는 ‘프라레일 디오라마 전시’ 등, 하루 종일 즐길 수 있는 콘텐츠가 가득합니다. 사진과 영상을 통해 보다 즐겁고 풍요로운 비주얼 라이프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합니다.
[주요 행사장 이벤트]
CREATORS EDGE Spring Edition
영상 크리에이터의 필독서 ‘비디오 살롱’과 프로 포토그래퍼가 신뢰하는 ‘커머셜 포토’. 겐코샤가 주최하고 두 잡지가 협업한 영상 및 사진 크리에이터에게 바치는 이벤트입니다. (Presented by Genkosha)
Vook 특별 기획
영상 제작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에게 ‘배움과 일과 유대감’을 제공하는 일본 최대급의 영상 크리에이터 플랫폼 ‘Vook’이 AI 및 쇼츠 동영상(쇼츠 드라마) 등에 초점을 맞춘 토크 세션을 개최할 예정입니다.
고양이 사진전@CP+ 2026
관람객 리퀘스트 No.1 기획 ‘고양이 사진전’이 CP⁺ 2026에서도 등장! 사진가 호시노 도시미쓰가 감수한 개성 넘치는 ‘고양이 사진’이 올해도 새로운 매력으로 관객을 매료시킵니다.
ZOOMS 사진전
신인 사진가 발굴을 위한 포토 콘테스트 ‘ZOOMS JAPAN’의 수상 작품을 전시하는 사진전을 올해도 개최합니다.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사진가들이 혼신의 힘을 기울인 작품이 전시됩니다.
사진 고시엔 2025 본선 대회
파이널 공개 심사회 작품 전시
일본 전국의 고등학교 사진부 및 서클 등에서 응모한 테마 사진들을 심사하여 선발. 본선에 진출한 18개교의 작품을 CP⁺에서 전시합니다. 고등학생다운 창의성과 감수성으로 진지하게 사진과 마주한 작품을 감상해 보십시오.
학생 서클 출전 구역
일본 전국 대학의 사진 및 영상 관련 동아리와 서클이 한자리에 총집합. 젊은 포토그래퍼, 비디오그래퍼들의 열의와 창의력 넘치는 작품을 접하고 의견을 교환하거나 작품에 대한 조언을 하는 등, 폭넓은 세대와 새로운 교류의 장을 만듭니다.
프라레일 디오라마 전시
큰 호평을 받은 기획 ‘프라레일 거대 디오라마’가 CP+ 2026에서도 등장! 보는 것도 찍는 것도 재미있는 박진감 가득한 전시는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수많은 팬들을 매료시킵니다.
(©TOMY PLARAIL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akara Tomy, Ltd.)
체험형 워크숍
평소에 찍고 싶었던 사진과 동영상의 바람이 실현되는 체험형 워크숍을 개최합니다. 카메라 마니아층 여성 및 아이를 둔 부모를 위한, 본격적이면서도 아이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내용이 가득합니다.
그 외에도 월드 프리미어 발표와 키친카 등, 행사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다양한 기획을 준비할 예정입니다.
[CP+ 2026 개최 개요]
·명칭: CP+(시피플러스) 2026
·개최 일시: 2026년 2월 26일(목)~3월 1일(일) 4일간 10:00~18:00 ※마지막 날만 17:00
*2월 26일(목) 10:00~12:00는 VIP, 보도진 입장 시간입니다.
·장소: 퍼시피코 요코하마(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온라인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 ※온라인은 3월 31일까지 아카이브로 전송합니다)
·출품 신청 마감: 2025년 9월 30일(화) 17:00시
·출품 기업 설명회, 부스 위치 추첨회: 2025년 10월 23일(목) 온라인으로 개최
·방문 등록 시작: 2025년 12월 상순 예정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기업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현대로템이 부산 신항에 스마트 물류 핵심 설비인 항만 AGV를 공급한다.
현대로템이 부산 신항 7부두에 공급한 항만 AGV
현대로템은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ongwon Global Terminal Busan, 이하 DGT)에서 발주한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무인이송장비(Automated Guided Vehicle, AGV) 공급 사업의 발주의향서(LOI)를 수령했다고 17일 밝혔다.
항만 AGV는 부두의 컨테이너를 적재해 하차 장소까지 자동으로 이송하는 항만 물류 자동화의 핵심 설비로, 향후 현대로템은 본계약 절차를 거쳐 부산 신항 7부두에 항만 AGV 57대와 함께 차량 운영에 필요한 관제시스템, 충전기 등 부대설비를 공급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이미 2023년 DGT로부터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AGV 43대를 수주해 개장에 맞춰 적기에 공급했고, 이번 사업을 통해 추가로 항만 AGV 57대를 납품할 예정이다. 지난해에는 광양항 자동화 부두 AGV 44대 공급 사업을 수주하는 등 3년 연속으로 스마트 물류 부문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번 사업은 국가 핵심 전략인 북극항로 개척의 중심 거점으로 지목된 부산 신항에서의 수주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동북 아시아권의 대표적인 글로벌 스마트 물류 허브로 주목받는 부산 신항은 최근 선박 대형화와 세계적인 물동량 증가 추세에 맞춰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물류에 접목하는 대규모 공공 부문 개발 사업을 시작했다.
현대로템은 이번에 납품되는 AGV가 동북아-유럽 교역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부산 신항 물류 고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현대로템은 AGV 제품 경쟁력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운영 효율 제고 방안을 수립하는 고객 맞춤형 서비스에 집중해 왔다.
실제 현대로템은 AGV 성능 개선은 물론 관제시스템 고도화 등 사후 지원을 통해 DGT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최적화 작업에 기여하고 있다. 향후 글로벌 항만 물류 자동화 시장 공략을 위해 시간당 컨테이너 처리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AGV 연구개발(R&D)에도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유지보수 분야도 더욱 체계화해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또 현대로템은 항만 AGV의 국내 제작 이점을 활용해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차체와 주요 기능품의 국산화 비율을 올려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항만 부품 공급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스마트 물류 산업의 역량 강화에도 힘을 보탠다는 것이다. 유지보수 기간과 가동률이 가장 중요한 스마트 물류 부문은 국산화 비율이 높을수록 외산(外産) 대비 더욱 신속한 사후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현대로템은 스마트 항만 기술 경쟁력 강화와 관련 국내 산업 생태계 발전을 위해 연구개발에 힘써 국산 항만 AGV의 핵심 기술 역량을 제고하고 있다며,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고품질의 항만 AGV를 적시적기에 공급하고 최적화된 사후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건국대학교 김기출 교수 연구팀(화학공학과)이 식품첨가물로 널리 알려진 사카린 분자의 화학 구조를 활용해 차세대 리튬 및 나트륨 이온 배터리용 유기 양극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저장 및 배터리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Small’(IF=12.1, JCR 상위 7%의 Q1 저널)에 2025년 7월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 설명 그림
유기 양극 소재는 환경친화적이며 희소금속 자원 제약이 없어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레독스 활성도와 구조적 불안정성 등으로 상용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사카린 유도체의 레독스 활성 코어 구조를 대칭화하고 방향족 백본을 연장하는 한편, 다양한 기능기(functional group)를 도입해 통합 설계하는 방식으로, 기존 유기 전극에서는 관찰되기 어려운 ‘V자형’ 레독스 활성 변화 패턴을 구현해 냈다. 이 현상은 방향족 골격에서 나타나는 국소 유도 효과(local inductive effect)가 전자 전달을 촉진해 레독스 반응을 조절한 결과로 분석됐다. 이는 기존 퀴논계 유기 전극 소재와 달리, 충분히 확장된 고리형 구조가 전극의 사이클 안정성과 레독스 활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번 연구는 사카린 고유의 방향족 구조와 다중 리튬 활성 부위(O, S, N)를 활용해 고성능과 구조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 전극 설계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주목되며,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 개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과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 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기업
안금자 · http://happykoreanews.com
LG화학이 자체 개발한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Eupolio)’ 임상 데이터 확충을 바탕으로 글로벌 소아마비백신 시장에서 기존의 선도적 지위를 한층 확고히 한다.
LG화학 소아마비백신 ‘유폴리오(Eupolio)’
LG화학은 유폴리오의 제품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임상3b상(추가 임상) 결과, 장기적 안전성, 면역원성 지속력, 부스팅 효과 및 생백신과의 교차 접종 적절성을 확인하며 수출 확대 기반을 마련했다고 17일 밝혔다.
LG화학은 2021년부터 글로벌 최대 규모 백신 입찰 시장인 유니세프 등을 통해 유폴리오를 50개 이상 국가에 공급하고 있다. 유니세프 입찰 시장에서 유폴리오 시장 점유율은 약 35%, 누적(2021~2025년) 판매액은 3000억원에 달한다.
LG화학이 제품 상용화 이후 추가 임상을 진행한 것은 경쟁이 심화되는 입찰 시장에서 유폴리오 사용 이점을 폭넓게 확보해 대체 불가한 공급자가 되기 위해서다.
이에 LG화학은 2023년 1월 시험자를 처음 등록하며 임상3b상을 본격화, 필리핀과 태국 11개 기관에서 2000여 명 시험자 대상 장기적 안전성 및 유효성을 평가했다.
이번 임상의 1차 평가 지표인 장기적(6개월) 안전성 평가 결과 백신 접종 후 나타나는 이상반응(AEFI, Adverse Event Following Immunization)은 대부분 경증~중등증이었으며, 약물과 관련 있는 중대한 이상 반응(SADR, Serious Adverse Drug Reactions)은 보고되지 않았다.
LG화학은 유효성 지표로 초기(기초 3회 접종 후 4주째) 면역반응을 평가, 바이러스 감염 예방 정도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혈청방어율(seroprotection) 및 중화항체전환율(seroconversion rate)이 98% 이상인 것으로 확인했다.
장기적(기초 3회 접종 후 1년 차 시점) 면역반응 평가에서도 효과적인 면역원성이 지속됨을 확인했으며, 추가 접종(기초 3회 접종 후 1년 차 시점 4차 접종)에 따른 부스팅 효과 평가에서는 혈청방어율 및 중화항체전환율 100%를 확인하며 4차 접종 유용성 근거를 마련했다.
또 경구용 소아마비백신(OPV)과 유폴리오 교차 접종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해 경구용 백신 투약 이후 유폴리오를 이어 접종한 결과, 혈청방어율 및 중화항체전환율이 100%로 나타났다. 유니세프 등을 통해 백신을 공급받는 국가에서는 경구용 생백신과 주사용 사백신을 교차 접종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LG화학은 이번 임상을 통해 시장 환경에 최적화된 데이터를 갖추게 된 것이다.
LG화학은 한층 강력해진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니세프, PAHO(범아메리카 보건기구) 등 공공조달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개별국 진출 확장에도 속도를 낼 전략이다.
LG화학 김성호 스페셜티-케어 사업부장은 “전 세계 더 많은 영유아들이 양질의 백신을 맞을 수 있도록 백신 사업 지역 확장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며 “6가 혼합 백신 등 우리 아이들이 필수 접종해야 하는 기초 백신의 국산화 적기 달성, 지속적인 신규 백신 개발을 통해 제약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최근 자사의 수두백신 ‘배리셀라주’가 베트남 의약품청(DAV, Drug Administration of Vietnam)으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배리셀라주 1box(10바이알)
GC녹십자는 2020년 배리셀라주의 국내 허가 이후, WHO PQ(Pre-qualification)를 획득했으며 현재 개별 국가 인허가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제 조달 기구 입찰과 개별 시장 진출을 병행하는, 이른바 ‘투트랙 전략’이다.
이번 품목 허가를 위해 GC녹십자는 베트남 현지 임상시험을 수행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입증했다. 최근 베트남 보건부(Ministry Of Health)의 규제 강화 기조에 부합하는 품질 기준을 충족했다는 의미다. 수두백신은 소아 대상 접종이 이루어지는 만큼, 품질 인증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또한, GC녹십자는 베트남 내 민간 시장 중심 백신 유통 구조를 고려해 현지 지사를 통한 직접 판매로 연간 고정 매출 창출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베트남 민간 백신 시장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32% 성장했으며, 2021년 기준 약 3억달러 규모의 민간 시장 중 수두백신 비중이 10%에 달한다*. 민간 접종 수요의 급성장에 따라, 예방 접종률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 Life-course immunization in Vietnam(2024), KPMG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은 “이번 품목 허가는 단순 수출을 넘어 현지화 전략이 반영된 성과로, 동남아 시장 확대의 교두보가 될 것”이라며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는 임상과 품질 수준으로 신뢰받는 백신 브랜드 입지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배리셀라주는 GC녹십자가 자체 개발한 ‘MAV/06’ 균주를 사용한 생백신으로, 높은 바이러스 함량과 고수율이 특징이다. 특히, 무균 공정 시스템을 통해 항생제 없이 생산한 세계 최초의 수두백신이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16일 부산상공회의소가 주최한 제274차 부산경제포럼에서 디지털 돌봄 서비스 ‘케어벨’이 기업 복지와 ESG 경영을 접목한 혁신 모델로 소개되며 기업인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16일 부산롯데호텔에서 열린 제 274차 부산경제포럼 참석자들 앞에서 케어벨을 발표하는 제로웹 이재현 대표이사
이날 포럼은 한양대학교 박재근 석학교수의 ‘AI 시대의 도래로 인한 반도체의 미래’ 특강과 함께 부산 스타트업 특별 세션으로 케어벨이 소개됐다. 이 자리에서 제로웹 이재현 대표이사는 ‘다음 세대는 청년 아닌 시니어’라는 화두로 케어벨이 제시하는 사회 문제 해결형 ESG 모델을 기업인들에게 직접 설명했다.
제로웹 이재현 대표는 케어벨 소개에 앞서, 지금의 기업인들이자 현재 시니어 세대가 직접 겪어낸 격동의 근현대사를 언급하며, 이들이 대한민국을 오늘의 자리로 이끈 주역임을 강조했다.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새마을운동, IMF 등 숱한 위기 속에서도 가난과 고난을 딛고 세계가 주목하는 경제 성장을 이룬 이들이 지금은 외로움과 고독, 불안 속에 놓여 있다는 현실을 지적하며, 이제는 우리가 그 분들을 돌봐야 할 때라고 말했다.
케어벨은 AI와 IoT 기반의 비접촉 모니터링 기술로 독거노인의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관제센터와 연계해 긴급 대응까지 수행하는 지능형 돌봄 서비스다. 특히 부산시 주관 ‘1인가구 돌봄 확산사업’을 통해 ‘고독사 제로’라는 성과를 내며 부산시가 과기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대표는 “기업의 성장을 함께한 퇴직 임직원 또는 재직 중인 임직원의 부모님을 위한 복지로 케어벨을 도입한다면, 가족의 심리적 안정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적 약자 보호라는 ESG 가치 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는 기업 이미지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며 실제 기업 복지로 연계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이날 발표에서 제로웹은 부산에서 시작하는 ESG 캠페인 ‘실버스타 챌린지’를 공개하고, 부산 기업인들에게 돌봄 서비스 후원 참여를 제안했다.
한 참석 기업인은 직원의 가족을 위한 복지가 기업 ESG와 연결된다는 점이 신선하고 인상깊었다며, 가치 있는 일에 동참하고 싶다고 밝혔다.
제로웹은 현재 일본 AI 상장 기업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2400만명의 독거노인 시장을 겨냥해 글로벌 확장을 준비 중이다.
부산경제포럼에서 케어벨 소개를 추천한 코리아스타트업포럼 강석호 동남권센터장은 “지난 4년간 부산경제포럼을 통해 부산을 대표하는 스타트업들 37개사를 소개해왔다”며 “전국적으로 관련 분야 1위는 물론이고 해외시장까지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부산 스타트업이 부산상공회의소와 선배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더 큰 기회를 만들기를 바란다고”고 덧붙였다.
제로웹 이재현 대표는 끝으로 “우리는 누구나 언젠가는 혼자가 되는 시점을 맞이한다”며 “그 순간까지 내가 살던 집에서 안전하고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케어벨의 사명”이라고 강조했다.
실버스타 챌린지는 케어벨 고객센터 또는 케어벨 공식 홈페이지(http://carebell.kr)를 통해 보다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뉴스등록일 : 2025-07-23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부산광역시 범천5구역 재개발사업이 시공자 선정 초읽기에 들어가 도시정비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범천5구역 재개발 정비사업조합(조합장 김동원ㆍ이하 조합)은 지난 16일 오후 2시 조합 사무실에서 시공자 선정을 위한 현장설명회(이하 현설)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그 결과, 4개 사가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현설에 참석한 곳은 ▲포스코이엔씨 ▲동원개발 ▲HJ중공업 ▲제일건설 등 건설사로 파악됐다.
현설에서 좋은 결과를 얻은 조합은 예정대로 다음 달(8월) 13일 오후 2시 현설과 같은 장소에서 입찰을 마감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 사업은 부산 부산진구 만리산로 46(범천동) 일대 3만8277㎡를 대상으로 조합 등이 이곳에 건폐율 17.43%, 용적률 320.49%를 적용한 지하 4층에서 지상 29층에 이르는 공동주택 8개동 1084가구 및 부대복리시설 등을 짓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곳은 부산 지하철 1호선 범내골역이 도보로 7분 거리에 있고 교육시설로는 선암초, 부산진초, 성동중, 데레사여자고, 금성고 등이 2km 반경 내로 학군을 형성하고 있다.
[인터뷰] 범천5구역 김동원 조합장
"범천 철도차량정비단ㆍ북항 재개발 등 대규모 개발 예정… 신흥 주거벨트 기대감 ↑"
"시공자ㆍ조합 모두 `윈윈` 목표로, 원주민 재정착 힘쓸 것"
이달 22일 본보는 범천5구역 재개발사업의 수장인 김동원 조합장을 만나 사업 추진 배경과 청사진 등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했다.
다음은 김 조합장과의 일문일답.
- `범천5구역` 재개발사업이 어떻게 진행돼 왔는지/
처음에는 지난 30여 년간 보금자리가 돼줬던 아파트를 재건축해보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했다. 인근 지역에서 오랜 기간 부동산 중개업을 해온 터라 자문을 구할 기회가 여럿 있었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토지면적이 작아 재건축은 불가능하다"는 대답뿐이었다. 이에 우리 동네 전체를 바꾸는 재개발사업으로 방향을 틀게 됐다. 구역 내에 소규모 아파트가 4곳이나 있었던 탓에 의견 수렴 과정에서 난항을 겪지 않을까 예상했지만, 다행히도 처음 재개발 추진을 제안했을 때 주민 대표들께서 흔쾌히 수락해주셔서 무리 없이 사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됐다. 이후 ▲2024년 4월 정비구역 지정 ▲같은 해 6월 추진위 구성 ▲같은 해 12월 조합설립인가까지 받으며, 현재 시공자 선정과 사업시행인가를 앞둔 상황이다.
- 사업을 추진하면서 어려웠던 점과 해결책은 무엇이었는지/
구역 특성상 나이가 지긋하신 어르신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도시정비사업 관련 지식이 전무한 분들이 많았다. 더군다나 현재 부산시에서는 정비예정구역을 지정하지 않는 대신, 주민 스스로 심의를 통과해야 하는 `사전타당성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추진단은 관할관청으로부터 어떠한 행정적ㆍ경제적 지원도 받지 않고 주민들의 의견 합치를 끌어내야 했는데, 이 과정이 가장 어려웠다. 우선 비용을 최대한 아끼기 위해 사전타당성검토 신청 및 정비구역 지정에 필요한 주민동의서를 주민 스스로 징구했다. 그러나 당시 사전타당성제도가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라 해당 제도에 대한 주민 이해도가 매우 낮았고, 구역 내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주민 극히 일부가 관청에 민원을 제기했다는 이유로 사업에 차질이 생기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주민에 의한, 주민을 위한 재개발사업`인 만큼, 해결 방법은 주민들을 설득하는 것뿐이었다. 주민들에게 매번 사업 내용을 설명하는 동영상을 보여주며 초심을 잃지 않는 마음으로 다가섰고, 이는 곧 추진단을 향한 신뢰로 이어져 주민ㆍ추진단 간 화합한 마음으로 어려움을 극복해낼 수 있었다.
- 향후 사업 일정과 시공자 선정에 있어 중점을 두고 있는 부분은/
오는 8월 13일에 입찰을 마감한 뒤, 곧바로 시공자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시공자 선정에 있어 기존 원주민들의 정착률을 높이는 것을 가장 중점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적정한 공사비를 제시함으로써 조합원 분담금을 최소한으로 낮춰줄 수 있는 시공자를 선정할 생각이다. 그 외에도 시공자 제시 설계안에 우리 구역의 고유한 이점ㆍ특성이 잘 반영됐는지, 탄탄한 시공능력과 재무건전성을 보유한 시공자인지 등도 중요하게 볼 생각이다. 도시정비사업은 조합-시공자가 모두 `윈윈(win-win)`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 시공자 제안서가 그런 방향성과 잘 어우러지는지도 면밀히 살펴볼 계획이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조합원의 의견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시공자 선정 전 과정에 걸쳐 조합원과 충분한 소통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할 방침이다.
- 행정당국에 개선을 바라는 점이 있다면/
향후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해서는 사업 초기인 현재, 그 기반을 다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첫 번째로, 최근 지방 건설 경기가 많이 위축돼 있고 시공자들의 지방 회피 성향도 심화하는 추세인 점을 고려해 하루빨리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줬으면 하는 바람이다. 두 번째로는 사업의 신속성ㆍ투명성 확보를 위한 지원이 이뤄지기를 희망한다. 기존에는 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이하 정비업자)를 선정하기 전에는 추진위(또는 조합)가 전담 공무원을 지정해 행정업무를 지원받고, 정비업자 선정 이후에는 업체로부터 비용적 지원을 받는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시ㆍ도가 직접 개입해 시공자 선정 후 이자를 포함해 반환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대여해준다면, 초기 재개발사업 시행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 정부가 직접 개입하기 때문에 절차적 투명성도 보장될 것이다. 아울러 통합 심의 또는 각종 인가를 관할하는 부처에서 조합에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업 전 과정에 걸쳐 관할관청과 조합 간 이견을 중재해줄 기관도 필요해 보인다.
- `범천5구역`이 누리는 입지적 장점 및 개발 호재는/
우리 구역은 현재 도보 7분 거리에 부산 지하철 1호선 범내골역이 위치해 교통적으로 편리하고, 2km 반경 내로 선암초, 부산진초, 성동중, 데레사여자고, 금성고 등이 있어 학군지로도 손색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부산 최대 상권인 서면과도 도보권에 위치하는 등의 입지적 장점을 갖추고 있다. 이에 더해 `부산진역 CY부지 이전`이 예정돼, 현재 도보 7분 수준인 지하철역 이동이 추후 도보 5분 이내로 단축된다. 더불어 인접한 곳에서 20만4958.678㎡(약 6만2000평) 규모의 `범천 철도차량정비단 부지 개발사업`과 20조 원 규모의 `북항 재개발사업`이 진행되는 등 대규모 개발 호재가 있다. 나아가 철도차량정비단 및 신암로 일대는 연접한 범천4구역 및 주변 재개발 예정지역과 연계해 대규모 신흥 주거벨트로 재탄생될 예정이다.
- 조합원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처음 사업을 추진하기로 마음먹었던 2021년도부터 지금까지 `30년 삶의 터전이었던 이곳을 바꿔보겠다`라는 일념 하나로 쉬지 않고 달려왔다. 많이 부족했던 저였지만, 조합원들이 믿고 따라주신 덕에 정비구역 지정부터 조합설립인가까지 8개월이 채 걸리지 않은 기록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더 막중한 책임감을 갖고 우리 사업이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그 과정에서 조합원 개개인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소통해 나갈 계획이며, 조합원 여러분들도 조합 업무와 사업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의견을 제안해주시면 좋을 것 같다. 또 혹여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라도 주저하지 말고 조합 사무실을 찾아주시길 바란다. 이제까지 전폭적인 신뢰와 지지 보내주신 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사업 마무리까지 많은 협조와 응원 부탁드린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2 · 배포회수 : 5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코스피 시장에서 자진 상장 폐지(상폐)에 속도를 내고 있는 신성통상(대표 염태순)이 최근 주식 2317만 8102주(지분 16.13%)를 공개 매수(2차 공개 매수)한 결과 94.55%의 지분을 확보했지만 95% 충족 요건에 0.45% 부족해 장내매수로 잔여 지분 확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신성통상의 최대주주 가나안과 2대 주주인 에이션패션은 최근 '신성통상 주식 2317만 8102주(지분 16.13%)를 공개 매수(2차 공개 매수)할 예정이다'고 공시(6월 9일 공시) 한 바 있다.
앞서 1차 공개매수 때 낮은 가격을 제시하자 소액주주들이 단체를 결성해 반발하는 등 진통을 겪게되자 주당 가격을 4,100원으로 지난해 6월 진행한 1차 공개매수 가격 보다 78.3% 높은 가격을 제시하면서 상당량의 지분을 확보했다.
그러나 지분 확보가 전체 지분에 94.55%에 그쳐 상장 폐지 조건인 95%를 충족시키지 못해 당장 상폐에는 실패했다.
이에따라 부족한 0.45%의 지분은 장내매수로 확보해 나갈 것으로 예상되며 상장 폐지에는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이 뉴스는 투데이포커스(www.todayf.kr) 공유 뉴스입니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8-01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수원시가 시민들의 안정적인 주거 정착을 위해 전세사기 예방 안내책자를 무료로 배포한다.
수원시는 전세사기 예방 방법 및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사업 등을 간결하게 안내하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 리플릿`을 제작해 시ㆍ구청ㆍ동행지복지센터 등에 배포했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해당 리플릿에는 전세계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핵심 사항 및 피해자 지원 서비스 등의 내용이 1장 분량으로 간결하게 담겼다.
피해자 지원 서비스로는 ▲무료 법률상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긴급복지 지원 ▲새빛청년존(ZONE) 입주 우선권 지원 ▲무료 심리상담 지원 등이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계약 전에 꼼꼼하게 확인하면 전세사기를 예방할 수 있다"며 "시민들이 전세사기 피해 예방 리플릿에 나온 내용을 숙지하고, 안전하게 전세계약을 체결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사기를 예방하려면 계약 전에는 ▲주택 상태 ▲적정 전세가격 ▲선순위 권리관계 ▲임대인의 세금 체납 여부 등을 살펴봐야 한다.
이후 계약할 때는 ▲주택 소유자 및 대리인 ▲공인중개사 정상 영업 여부 ▲계약 내용 및 특약사항 등을 확인하고, 계약 후에는 주택임대차 신고 후 전입신고를 해야 한다.
아울러 전세계약 종료 후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책임지는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도 강력하게 권고된다. 해당 상품은 전세계약기간의 1/2이 경과하기 전까지 가입할 수 있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2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부동산
오수영 기자 · http://www.areyou.co.kr
[아유경제=오수영 기자] 경기 성남시가 시민들의 교통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판교동 및 도촌사거리 일대에 철도역 신설을 추진한다.
성남시는 지난 18일 시청 제1회의실에서 월곶~판교선 판교동과 수서~광주선 도촌사거리에 철도역 신설 검토를 위한 `일반철도 추가 역 신설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착수보고회에는 신상진 시장을 비롯해 철도 분야 민간 전문가, 용역 수행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추가 역사 설치 필요성 및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이번 용역의 목적은 ▲월곶~판교선 노선(미르공원ㆍ판교도서관사거리ㆍ판교공원 중 1곳) ▲수서~광주선 노선(도촌사거리) 등에 대해 추가 역사 신설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추진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기술적 적정성 및 경제성 등을 분석한다.
용역의 주요 과업 내용은 ▲관련 계획 및 현황 검토 ▲추가 역 설치 가능 구간 검토(장래 역 설치 가능한 구조 반영 검토 포함) ▲비용 산정(건설계획, 비용 추정) ▲수요 예측 및 편익 산정 ▲타당성 분석(경제성, 재무성) ▲경제성 확보를 위한 개발 방향 및 대안 제시 ▲정책적 분석 및 제안 등이다.
신상진 시장은 "판교동과 도촌사거리 일대는 철도 이용에 대한 주민들의 지속적인 요구가 있었던 곳"이라며 "주변 개발에 따른 도로 정체까지 더해져 교통 불편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설 중인 철도 노선에 역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철도의 건설 및 철도시설 유지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경제성 확보가 필수"라며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실질적인 교통 개선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경제성 확보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철도 사전타당성조사는 통상 12개월이 소요되지만, 시는 공사 일정과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해 조사 기간을 6개월로 단축했다.
이에 따라 지난 6월에 착수한 용역은 오는 12월 내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후 타당성이 확보될 경우 국토교통부에 추가 역사 신설을 건의해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 AU경제
(http://www.areyou.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2 · 배포회수 : 6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운동은 짧은 시간 안에 큰 에너지를 소비하는 고효율 유산소 운동이다. 특히 허벅지, 엉덩이, 종아리 등 하체 근육을 집중적으로 자극하면서 동시에 심장과 폐를 활발히 움직이게 해 심폐 지구력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된다.
일반적인 걷기보다 2~3배 높은 칼로리 소모를 기대할 수 있어 다이어트에도 탁월하다. 뿐만 아니라 체중 부하 운동이기 때문에 골밀도 유지에도 유리하며, 하체 근육이 강화되면 무릎 관절 보호 효과도 생긴다. 정서적인 면에서도 이점이 있다.
계단 오르기 운동효과가 있다. 다만 이런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올바른 방법으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계단을 오를 때 허리를 구부리고 올라가면 척추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계단 운동을 할 때는 상체를 곧게 편 자세로 올라가야 한다. 손으로 난간을 잡고 올라가는 것도 좋지만, 이때 몸의 힘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신경 써주는 것이 좋다. 또 계단을 오르는 것은 건강에 좋지만 반대로 내려오는 것은 무릎 관절에 좋지 않다. 따라서 내려올 때는 천천히 무릎에 무리가 없이 내려오거나, 엘리베이터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겠다.
중요한 것은 너무 무리하지 않게 적당한 강도로 해주는 것이다. 만약 운동 시 무릎 통증이 느껴진다면 즉시 중단하도록 하고, 이미 무릎 건강이 안 좋은 분들이라면 계단 운동보다는 실내 자전거나 수영을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발에 잘 맞고 가벼운 운동화를 착용한다.
● 발바닥 전체를 계단에 밀착시켜 하체의 힘을 이용하여 올라가며, 양발을 일직선.
● 할 수 있을 정도의 층을 설정하고 점차 층수와 시간을 늘리며 땀이 나도록 강도를 조절.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3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최신 의학 저널에 따르면, 하루 30분 걷기운동으로 무릎 연골의 혈액순 환이 개선되고 관절액 생성이 촉진되며, 근력 강화로 인한 관절 지지력이 향상과, 인지기능 저하위험이 67%나 낮아져, 치매 예방에도 걷기운동이 엄청난 도움이 된다.
평균 수명이 5-7년 증가한다는 것은 '건강수명'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그냥 오래 사는 게 아니라,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것이며, 걷기운동을 꾸준히 한 노인들의 근감소증 발생률이 45% 낮았다. 면역력 증진 효과도 놀랍다. 매일 30분 이상 걷기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감기 걸리는 횟수가 연간 평균 2.3회 감소했다. 이게 다 걷기운동이 면역세포의 활성도를 높이고, 전신 순환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혈관을 깨끗하게 청소하는 운동이다. 가장 효과적인 것은 하루 30분 빠르게 걷기다. 절대로 무리하게 뛸 필요는 없다. 숨이 살짝 찰 정도로 팔을 크게 흔들면서 걷는다.
1. 시선은 10-15m 앞을 본다.
2. 어깨는 자연스럽게 펴고 약간 뒤로 젖힌다.
3. 팔은 90도로 굽혀 자연스럽게 흔든다.
4. 발은 뒤꿈치-발바닥-발가락 순으로 땅에 닿도록 한다.
운동강도
초보자 : 15분 걷기 → 2분 휴식 → 15분 걷기
중급자 : 30분 연속 걷기, 중간중간 속도 높이기
고급자 : 45분 걷기, 중간에 3-5분 조깅 포함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정치 > 행정
문선옥 · http://happykoreanews.com
국가인권위원회가 7월 21일부터 ‘제2회 군인권 사례 공모전 - 모두의 권리를 말하다’를 개최한다. 이번 공모전은 군 복무 중 겪은 인권 침해 사례뿐 아니라, 군대 안에서 인권이 존중된 따뜻한 순간까지 포괄적으로 조명하며, 군 장병과 가족, 예비역, 관련 종사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국가인권위원회 군인권보호관 제도는 군 내 인권 침해에 대한 독립적인 상담과 진정 접수를 수행하는 전담 기구로, 장병의 권익 보호를 위한 실질적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공공디자인 전문기업 오세이프(OSAFE)와 함께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이며 인식 확산에 앞장선다.
웹툰으로 만나는 군인권
오세이프가 제작한 웹툰 콘텐츠는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례 중 주요 사례를 각색해, 폭력·학대·성희롱 등 인권 침해를 이야기 형식으로 다룬다. 무겁지 않으면서도 진지한 접근으로, 군 장병들이 ‘이것이 인권 침해일 수 있구나’라는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기획됐다. 군인권보호관의 역할과 상담 방법도 자연스럽게 녹여 인권 보호로의 접근 문턱을 낮췄다.
OX 퀴즈 ‘군인권, 너의 선택은?’
직접 참여하는 방식의 이 퀴즈는 인권 침해 여부를 스스로 판단하게 해주는 학습형 콘텐츠라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상황 제시와 해설을 통해 장병들의 인권 감수성을 높이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참여자들의 반응도 뜨겁다. ‘작은 불편이 반복되면 누군가에겐 상처가 된다.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통로가 있다는 것만으로도 존엄이 지켜질 수 있겠다는 희망이 생긴다’, ‘이건 단순한 인권 침해를 넘어 학대가 아닌가? 부글부글’ 등 공감과 응원을 담은 댓글이 활발하게 이어지고 있다.
제2회 군인권 사례 공모전 ‘모두의 권리를 말하다’
이번 공모전은 이러한 콘텐츠 활동의 연장선상에서 마련된 참여형 인권 인식 확산 캠페인이다. 지난 5월 열린 1회 공모전 ‘내 권리를 말하다’는 장병과 가족의 다양한 실제 경험을 통해 군 인권의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던 계기였다.
올해 두 번째로 열리는 공모전은 △군대 내에서 인권을 침해당한 경험 △인권이 존중돼 따뜻함을 느낀 경험 등 군인권을 둘러싼 다양한 개인의 목소리를 공모한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군인권보호관 제도의 인지도를 높이고, 인권 감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계기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오세이프 ‘쉽고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인권에 다가서다’
오세이프는 장병들이 상담도 신고처럼 무겁게 느끼는 현실을 고려할 때, 접근성과 감수성을 모두 고려한 콘텐츠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인권 보호의 실질적인 문을 열고자 했다고 밝혔다.
공모전은 7월 21일부터 온라인 접수 방식으로 진행되며, 국가인권위원회 공식 SNS 채널(www.instagram.com/nhrck1331)을 통해 자세한 참여 방법이 안내될 예정이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경제 > 취업
문선옥 · http://happykoreanews.com
업무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효율적인 일 처리와 자기 계발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가운데 일의 효율을 높이고 자기 계발에 집중하는 직장인들을 위한 업무 생산성 페스티벌 ‘2025 일잘러 페스타’가 오는 8월 21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학여울역)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전시 기획사 더피엠디와 국내 최대 HR 커뮤니티 ‘기고만장’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HRD기업협회 및 한국인공지능협회가 후원한다. 직장인의 업무 역량 향상을 주제로, 실무 중심 콘텐츠와 트렌디한 제품 전시, 인사이트 중심의 콘퍼런스를 결합해 기존 박람회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일잘러’가 되는 모든 방법, 한 자리에
전시 현장에서는 직장인의 워크스타일을 바꾸는 최신 기술과 솔루션이 대거 소개된다. 전시장에서는 직장인의 업무 역량을 높여줄 디지털 솔루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할 지식 콘텐츠, 공감을 불러일으킬 다양한 아이디어 문구 등 최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일잘러 마켓’에서는 데스크테리어 소품, 디자인 문구, 자기 계발 키트 등 일하는 공간을 감각적으로 채워줄 아이템이 준비된다.
‘KEY STATION 특별관’에서는 키보드 마니아들을 위한 트렌디한 키보드·키캡 브랜드가 참여하고, ‘템플릿 모음.zip’ 특별관은 엑셀, 노션, 기획서 등 실무에 바로 쓰이는 자료들을 한눈에 큐레이션한다. 또한 AI 솔루션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AI 특별관’, 일과 쉼의 경계를 허무는 ‘워케이션 특별관’ 등 실용성과 체험 요소를 겸비한 특별 공간도 마련된다.
실무에 곧바로 적용되는 콘퍼런스·세미나
행사 기간 다양한 콘퍼런스와 세미나도 함께 진행된다. ‘SPARK Conference’는 AI와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워크 전략, 조직 생산성 혁신 방안을 다루며, ‘인(人) Sight 포럼’은 세대 간 협업, 조직문화와 생산성 균형, HR의 미래를 조망한다.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행정 사례를 소개하는 ‘GOV:Tech 2025’, HRD 업계 종사자들을 위한 ‘HRD 프로그램 콘퍼런스’도 함께 열린다.
특히 실무자 대상 교육 세션인 ‘PRACTICE:ON’은 일하는 방식을 재정비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실전형 콘퍼런스다. 브랜딩, 커뮤니케이션, 루틴, 말 습관 등 실무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미래학자 서용석 교수, 뉴닉(퍼블리) 김소연 대표, 정지우 문화평론가 겸 변호사 등 전문가들이 직접 경험한 업무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전한다. 단순한 강연을 넘어, 실제 일에 바로 적용 가능한 밀도 있는 콘텐츠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성장하는 직장인을 위한 ‘일잘러 아카데미’
또 다른 주목할 프로그램인 ‘큐리어스와 함께하는 일잘러 아카데미 - 일잘러 성장의 기술’은 심리학, 업무 생산성, 퍼스널 브랜딩, AI 활용 등 직장인들이 업무와 일상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주제로 구성된다. 심리학자 허정문의 ‘감정으로 샐로드 만드는 법’, 캔바여왕 미대언니의 ‘업무에 당장 활용하는 캔바 꿀팁’ 인플루언서 러블리은의 ‘기록은 나의 커리어가된다-콘텐츠로 쌓는 퍼스널 브랜딩’, AI 아티스트 마담말랭의 ‘일잘러의 비밀: 프리뷰로 앞서보고 흐름을 장악하라’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직장인을 위한 실질적인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전할 예정이다. 관람객들은 다양한 시각에서 제시되는 ‘일 잘하는 법’을 배우며, 새로운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회는 사전 등록 시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며, 콘퍼런스인 SPARK Conference도 사전 등록자에 한해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이 외에 인(人) Sight 포럼과 PRACTICE:ON은 현장 구매 시 5만5000원, 사전 등록 시 3만3000원으로 할인된다. 모든 사전 등록은 8월 19일까지이며 공식 홈페이지(www.skillupfesta.com)에서 가능하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감성 여행지로서 대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대만 감성’을 한껏 자극할 대만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한국을 찾는다.
타이완문화콘텐츠진흥원(TAICCA)과 타이완 캐릭터브랜드라이선싱협회(TCBLA)는 대만의 대표 오리지널 IP가 오는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24회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TAICCA와 TCBLA의 지원으로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는 대만 IP는 △밈 영상으로 큰 인기를 얻으며 36만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치킨 스몰(小雞汁)’ △라인 이모티콘 Top 5에 이름을 올린 힐링 캐릭터 ‘부사우사(醜白兔)’ △대만 문화 스타일을 연출한 글로벌급 애니메이션 감독의 지도로 많은 인기를 끈 ‘딱! 깨졌네(功夫蛋蛋俠)’ △20년의 역사를 가진 캐릭터로, 아시아에서 탄탄한 팬덤을 보유한 ‘크레이지 푸푸버니(瘋狂邦妮)’ △만화와 아트토이 분야는 물론 라인 이모티콘에서도 큰 인기를 끈 ‘샤크 보이 유니버스(鯊童宇宙)’ △루키 일러스트레이터가 만든 희망 가득한 핑크 솜사탕 토끼 ‘노조미이(nozomii 妯米)’ 6종으로, 행사장 내 마련되는 ‘대만관’에서 소개된다.
이들은 대만 현지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만화, SNS 이모티콘, 아트토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전시 기간 동안 한국 업체들과의 비즈 매칭 회의를 통해 IP, 애니메이션, 게임, 방송, 완구, 상품, 버추얼 캐릭터, K-POP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 기회를 모색할 예정이다.
‘대만의 아름다움을 전달하자’를 주제로 꾸며지는 대만관은 우표 콘셉트를 접목해 축복을 전하는 매개체로서 IP 캐릭터를 연출한다. 각 캐릭터는 우표처럼 나열돼 대만 오리지널 IP만의 창의성과 감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글로벌 바이어와 관람객들에게 대만 IP의 독창적 매력을 전달하게 된다.
특히 TAICCA는 대만 IP 업체들이 한국 시장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실질적인 협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시회를 앞두고 캐릭터 라이선싱 전문가를 초청해 강의와 실전 워크숍을 진행했다. 참가기업들에게는 한국 캐릭터 라이선싱 시장의 트렌드와 저작권 등록, 1:1 컨설팅 등 현장에서의 성과를 극대화할 실무적 지원이 제공됐다.
전시회에 참가하는 대만 IP 업체들은 이번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를 통해 대만 스타일의 캐릭터 IP를 전 세계 라이선싱 무대에 적극 알릴 계획이다. 또한 한국 콘텐츠 산업과의 교류를 확대함으로써 ‘2025 서울국제도서전’ 등 앞서 한국에서 열린 다양한 행사에서 높아진 대만 콘텐츠에 대한 열기를 더욱 확산시킬 방침이다.
TAICCA와 TCBLA는 이번 전시를 계기로 한국과 대만 간의 IP 라이선싱 교류를 적극 추진해 대만 오리지널 IP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캐릭터 라이선싱 페어 2025’ 대만관 참가 IP
· 치킨 스몰(小雞汁): 밈 영상으로 큰 인기를 얻은 치킨 스몰은 웃기고 생각 없는 행동과 낙천적인 성격으로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드라마틱한 일상 이야기를 통해 보는 사람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 부사우사(醜白兔): 대화로 큰 인기를 끌며 사람의 마음을 치유해 준 힐링형 캐릭터다. 모든 문구가 쓸모없지만 현대인의 초조한 마음에 너무나 와닿아서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디자이너 Paul의 창작물로, 라인 이모티콘 Top 5에 오른 바 있다. SNS에서 젊은 층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 딱! 깨졌네(功夫蛋蛋俠): 모험심이 강한 날달걀이 ‘달걀심 보석’을 찾는 여정에 나선다. 코미디, 철학과 성장의 요소를 지녀 애니메이션 분야에 큰 잠재력이 있는 캐릭터다.
· 크레이지 푸푸버니(瘋狂邦妮): 20년의 역사를 지닌 캐릭터다. 자유분방함과 낙천적이고 유머스러운 스타일로 아시아에서 거대한 팬덤을 갖고 있다. 캐릭터를 통해 푸푸 패밀리(FouFou Family)의 세계관을 만든다.
· 샤크 보이 유니버스(鯊童宇宙): 판타지와 우정의 요소를 결합한 ‘육지+해상 탐험의 세상’을 그린 세계관. ‘이커우(一口)’라는 샤크 보이는 친구들과 함께 의인화의 대자연 세계에서 감정과 성장 발전의 길을 탐색해 나가는 이야기다. 독특한 스타일로 만화와 아트 토이 분야에서도 활약 중이다.
· 노조미이(nozomii 妯米): ‘희망’에서 온 솜사탕 토끼, 부드럽고 귀여운 이미지로 힐링과 달콤한 감정을 표현한다. 브랜드 이야기에 따뜻함과 창의성이 가득해 사람들의 기억 속에 오래 남을 수 있는 캐릭터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한여름 밤의 빛과 클래식, 예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PLAY GROUND
감각의 확장을 통한 새로운 상상력의 실현,
연주자와 음악 그리고 미디어 아트가 함께하는 몰입형 클래식 페스티벌
서울에서 한여름 밤을 수놓을 새로운 클래식 음악 축제가 열린다. 국내 대표 몰입형 미디어아트 공간으로 자리한 ‘빛의 시어터’에서 올여름, 오는 8월 8일부터 24일까지 몰입형 클래식 페스티벌 ‘CLASSIC WEEKENDS(클래식 위크엔즈)’(이하 클래식 위크엔즈)가 관객을 찾아올 예정이다. 이번 페스티벌은 ARTPOD와 티모넷 그리고 빛의 시어터가 공동으로 기획하며, 예술감독 홍혜란, 음악감독 정태양이 예술적 완성도를 총괄한다.
‘클래식 위크엔즈’는 기존 클래식 음악의 형식과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감각적 몰입을 통해 관객과 예술이 하나 되는 경험을 선사하고자 한다. 빛과 소리, 공간과 기술을 결합해 클래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이번 축제는 ‘감각의 확장을 통한 새로운 상상력의 실현’을 모토로 내걸고 있다.
홍혜란 예술감독은 “예술은 우리가 살아가는 시대를 가장 정직하게 비추는 거울이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삶의 언어”라며 “이번 무대에서 관객이 클래식을 새롭게 바라보고, 느끼고, 더불어 서로를 연결하는 시간을 경험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몰입형 예술공간에서 만나는 ‘클래식의 새로운 시선’
‘클래식 위크엔즈’가 열리는 빛의 시어터는 1500평 규모, 천장 21m 높이의 대형 공간으로서 전면·측면·천장까지 360도로 펼쳐지는 국내의 대표적인 몰입형 미디어아트 극장이다. 1963년 개관한 서울 최초의 현대식 극장이자, 2022년 대대적인 리뉴얼을 거쳐 첨단 IT 기술과 예술이 융합된 문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이번 페스티벌에서는 이 공간만의 압도적인 스케일과 기술을 적극 활용해, 공연마다 다른 형태의 공간 활용과 몰입 구조를 구현한다. 음악은 더 이상 무대 위에 머물지 않고, 관객을 감싸는 빛과 소리, 미디어를 통해 공간 전체에서 살아 숨 쉬며, 관객의 감각과 호흡을 자극한다.
대한민국 정상급 아티스트 총출연, 클래식의 다양성과 깊이를 한 무대에
이번 페스티벌의 라인업에는 국내외에서 활약하는 대한민국 정상급 클래식 아티스트들이 총출연한다. 총 8회의 공연으로 진행되며, 오페라·실내악·첼로 앙상블 등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는 형식으로 클래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무대를 선보인다.
대표 프로그램으로는 베르디의 명작 오페라 ‘라 트라비아타’ 전막 공연(총 4회, 연출 엄숙정)이 있으며, 홍혜란(비올레타), 손지훈(알프레도), 이동환(제르몽) 등 최고의 출연진이 함께 한다.
이 외에도 바이올리니스트 임지영, 첼리스트 문태국, 피아니스트 손정범이 함께하는 트리오 콘서트, 베이스 바리톤 사무엘 윤, 그리고 카운터테너 이동규의 듀오, 피아니스트 손열음과 고잉홈프로젝트의 공연, 그리고 세계 유수 오케스트라 출신 12명의 첼리스트로 구성된 첼리스타 앙상블 공연 등 클래식 음악의 진수를 다양한 형식으로 만나볼 수 있다.
공연 개요
· 공연명: CLASSIC WEEKENDS(클래식 위크엔즈)
· 기간: 2025년 8월 8일(금)~8월 24일(일) / 매주 금~일, 19:30
· 장소: 빛의 시어터(서울 광진구 워커힐호텔 B1층)
· 공연 형식: 90분 내외, 인터미션 없이 진행
· 관람 연령: 초등학생 이상
· 티켓: R석 20만원, S석 15만원, A석 9만원, 시야 제한석 6만원, 발코니석(스탠딩) 7만원
· 예매처: NOL interpark(단독 판매)
· 주최·주관: ARTPOD, 티모넷, 빛의 시어터
공연 일정
· ‘라 트라비아타’: 8/8, 8/16, 8/22, 8/24
· ‘임지영×문태국×손정범’: 8/9
· ‘사무엘 윤×이동규’: 8/10
· ‘손열음×고잉홈프로젝트’: 8/15
· ‘첼리스타: 첼로 앙상블’: 8/23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일본 최대 전시 주최사 RX Japan이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개최되는 ‘2025 해외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홍보 프로그램 ‘디스커버 코리아’를 소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2025 해외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는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이한 2025년에 개최되는 여러 전시회를 소개하고, 한국 참가 기업 및 단체를 대상으로 일본 시장 진출과 글로벌 비즈니스 확대를 위한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홍보 프로그램 ‘디스커버 코리아’를 통해 전시회 개최 전 한국 기업만을 위한 특별 홍보를 진행하고, 개최 기간 중에도 매력적인 홍보 활동을 통해 한국 기업을 다수의 일본 및 해외 참관자에게 대대적으로 홍보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실제로 RX Japan은 7월 첫 주 성황리에 폐막한 ‘라이프스타일 위크’에서 ‘디스커버 코리아’를 통해 전시회 개최 전 △주최사 DB/SNS 홍보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내 한국 특집 페이지 개설을 통해 한국 기업을 알렸으며, 개최 기간에는 △한국 참가 업체 소개 전용 카운터 설치 △한국 참가사 전용 부스 배치도 △부스 간판 특별 제작 등을 준비했다.
아울러 다음과 같은 특별 이벤트가 진행됐다.
· 특별 홍보 스테이지
- 한국 참가사에게 다양한 바이어와 유통업자에게 자사 제품을 직접 소개하는 특별 홍보 스테이지
· 전시 갤러리
- 한국 제품만을 전시한 갤러리로 다수의 참관객과 바이어의 주목을 받으며 자사 브랜드의 가치를 한자리에서 올리는 장
· 어워드 시상식
- 어워드 시상식을 통해 글로벌 전시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의 장
그 외에도 한일 교류의 장을 마련하는 등 한국 기업과 제품을 일본과 해외 참관자에 폭넓게 홍보해 ‘디스커버 코리아’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렇게 ‘라이프스타일 위크’를 성황리에 마친 데 이어, RX Japan은 또 다른 전시회의 ‘디스커버 코리아’를 준비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2025 해외 진출 전략 세미나’에서 직접 소개된다. ‘디스커버 코리아’는 특별 선정된 전시회에 한해 진행되며, 세미나에서 진행 여부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RX Japan은 해외 전시회 참가가 이제는 선택이 아닌 생존적 전략인 지금, 이번 세미나는 해외 시장의 관문으로 알려진 다수의 일본 전시회를 알아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2025 해외 진출 전략 세미나’는 7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에 걸쳐 롯데월드타워 SKY31 컨벤션에서 열리며, 현재 신청 접수 중으로 마감을 앞두고 있다.
RX Japan은 일본 시장 진출을 고려하거나 해외 시장 진입 방법을 알고 싶은 기업은 이번 세미나 및 개별 상담에 꼭 참가하길 적극 권장한다고 밝혔다.
◇ 세미나 세부 내용
세미나는 총 3일간 진행되며, 첫째 날은 생활용품·패션·화장품·식품·농업, 둘째 날은 IT·AI·XR·교육(EDIX)·고기능 소재/부품/장비, 셋째 날은 자동차·신재생 에너지·건축·스마트 팩토리·전자제조/반도체 관련 시장 정보와 전시회가 소개된다.
각 세미나의 세부적인 내용으로서는 업계별로 △전시 성과로 이어지는 마케팅 전략 △주목받는 전시 트렌드 △부스 참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2025년 특별 이벤트 안내로 구성된다.
◇ 1:1 개별 상담회
세미나 종료 후에는 희망 기업을 대상으로 1:1 개별 상담회가 진행된다. 개별 상담은 기업의 전시 목적과 니즈에 맞춰 △관심 분야에 맞는 최적 전시회 제안 △최신 부스 배치 현황 및 참가 비용 안내 △참가 준비부터 사후 일정까지 전 과정 스케줄 제공 등 실무 중심 정보를 제공한다.
그 외 일본 진출에 있어 필요한 모든 사항을 전시 전문팀과의 일대일 미팅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제주특별자치도가 건설근로자 고용안정 지원사업 신청 현장을 직접 점검하고 접수시간을 연장하는 등 지원 편의를 확대한다.
제주도는 21일 제주상공회의소에 마련된 ‘건설근로자 고용안정 지원사업’ 접수 창구를 방문해 접수 상황을 살피고 관계자 애로사항 등을 청취했다.
이날 현장에는 오영훈 제주도지사를 비롯해 양문석 제주상공회의소 회장, 대한건설협회·전문건설협회·건축사협회·기계설비협회 등 건설 관련 협회장, 건설기업인 등이 함께 자리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개선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제주노동권익센터는 건설노동자들을 위해 쿨마스크와 삼다수를 나눠주며 폭염 예방 캠페인도 전개했다.
이날 현장 점검의 후속조치로 신청자들의 접수 편의를 위해 21일부터 평일 접수시간을 2시간 연장하고, 주말에도 오후 6시까지 접수하기로 했다.
기존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월~금)에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 주말에도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로 확대 운영한다.
(변경전) 2025. 7. 15.(화) 09:00 ~ 7. 31.(목) 18:00(월요일~금요일)
(변경후) 2025. 7. 21.(월) 09:00 ~ 7. 31.(목) 20:00(주말은 18시까지)
문 의 ☏ 070-8900-2164, 070-8900-2168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이번 건설근로자 고용안정 지원금은 전국 17개 시도 중 제주에서 유일하게 시행하는 사업”이라며, “건설경기 침체가 건설근로자뿐 아니라 자영업자 등 지역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최악의 상황은 피해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시작한 정책”이라고 전했다.
이어 “내년에도 이 사업이 지속될 수 있도록 도 차원의 노력을 이어가겠다”며 “건설업계의 고용위기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 상생의 지역 고용 안전망을 더욱 튼튼히 구축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지원사업은 고용노동부의 ‘2025년 지역일자리사업 자치단체 추가 공모’를 통해 확보한 국비 10억원 등을 활용해 건설경기 침체로 고용위기에 처한 건설일용 근로자 1,800명의 고용안정과 상용근로자의 근속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건설 일용근로자 고용안정 지원금은 건설 일감 부족으로 2023년 또는 2024년 대비 근무한 월 기준 평균 일용근로 일수가 5일 이상 줄어든 경우 50만 원을, 월 15일 이상 일용 근로한 경우는 25만 원을 지원하며, 건설 상용근로자 근속지원금은 임금 동결 또는 임금 총액이 감소한 경우 50만 원을 지원한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1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사회 > 지역
문선옥 · http://happykoreanews.com
제주특별자치도가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의 독립과 해방 이후 제주도 재건에 헌신한 도민들의 활동을 널리 알리는 기념사업 추진에 나선다.
제주도는 21일 제주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제3차 광복 8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 및 추진 상황 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에는 문화․예술․역사 및 공연 등 분야별 전문가와 유관기관장, 도 관련 실·국장 등이 참석해 분야별 기념사업 추진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보고회는 기념사업 준비위원회 추진경과, 주요 기념사업 추진상황 보고,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은 ▲기념식 경축행사 ▲역사교육·체험공감 프로그램 ▲문화·전시프로그램 ▲국가유공자 예우·추모 ▲참여확산 경축 분위기 조성 등 5개 분야에 23개 세부사업으로 구성됐다.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은 8월 15일 오전 10시 제주아트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경축식은 도립합창단 40명과 어린이합창단 40명으로 구성된 80인 합창단의 식전공연을 시작으로 기념영상, 유공자 포상, 경축공연 순으로 진행된다.
역사교육·체험공감 프로그램은 제주 독립유공자 공훈록 발간, 항일 유적지 학생답사 프로그램, 나라사랑 모바일 스템프 투어 등 11개 사업이 추진된다.
문화·전시 프로그램으로는 <제주 여성 독립운동가 초상>전, 기념연극 <안녕 칸토>, <(가제)태극기, 바람속의 약속>전 등 4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국가유공자 예우·추모를 위한 광복회원 초청 간담회와 애국선열추모 참배행사, 경축 분위기 조성을 위한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 및 광복 80주년 ‘꿈트리’ 무궁화 나무심기 행사도 마련된다.
이와 함께 제주-경북 해양문화협력 및 교류행사, 재일제주인 공헌자 및 후손 제주 초청행사, 2025 제주 국제관악제 광복 80주년 기념 경축음악회 등 다채로운 행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영훈 지사는 “그동안 독립운동사와 제주 항일 3대 운동의 의미를 잘 전달해왔지만, 광복 이후 치안과 행정 체계를 구축하고 공동체를 유지해온 도민들의 다양한 활동은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다”며 “이번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을 통해 광복 이후 대한민국 발전과정에서 제주가 담당해온 역할을 재조명하고, 도민들이 더욱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특히 오는 8월 6일에 예정된 제주-울릉 해녀 독도물질 퍼포먼스에 대해서는 “일제강점기부터 제주해녀들이 독도에서 경제활동을 해온 역사적 사실을 통해 독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가 지속적으로 이뤄진다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것”이라며 “제주해녀가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국제적 공감대 형성이 용이해진 상황으로 독도 물질에 대한 의미가 도민들에게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3·1절과 현충일, 광복절로 이어지는 애국의 섬 제주의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명확히 하고, 모든 부서가 애국의 섬 컨셉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은 독립과 재건을 위한 선열들의 희생을 ‘기억’하고, 더 나은 미래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약속’과 도민과 함께 하는 ‘화합’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제주의 독립과 재건을 위해 헌신한 모든 분들에 대한 예우와 독도 해녀물질, 재일제주인 학교발전 기여 등 주요 공훈 활동 재조명, 공훈록 발간 등을 통해 역사를 기억하고,
학생 참여 확대를 통한 미래세대와의 역사 공유 및 과거·현재·미래가 공유하는 광복절 경축식 등 미래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이다. 또한 도민 관심 확대를 위한 다양한 문화·전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도민 화합의 장으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 제주도는 지난 6월부터 광복 80주년 기념사업 준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다.
❍ 준비위원회는 광복의 역사를 되새기고 미래 100년을 준비하고자 현재까지 총 3번의 워킹그룹 활동 및 위원회를 개최해 기념사업에 대한 주제 선정 및 추진 방향 등을 조율하고, 신규사업 발굴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정부도 국무총리 소속으로 범정부 광복 80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7월 21일과 31일 두차례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
|
|
사회 > 지역
문선옥 · http://happykoreanews.com
제주특별자치도가 2025년 주민등록 사실조사를 7월 21일부터 11월 26일까지 진행한다.
이번 사실조사는 모든 세대를 대상으로 ‘정부24’ 앱을 통한 비대면 조사와 방문조사 방식으로 진행된다.
비대면 조사는 7월 21일부터 8월 31일까지 42일간 실시되며, 방문조사는 비대면조사 미참여자 또는 중점 조사대상에 대해 9월 1일부터 10월 23일까지 53일간 진행될 예정이다.
비대면 조사는 휴대폰에 ‘정부24’ 앱을 설치한 후 주민등록지에서 직접 접속해 응답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같은 주소지에 거주하는 세대는 대표 1인이 세대 전체의 조사에 응답할 수 있다.
다만, 100세 이상 고령자, 5년 이상 장기 거주불명자, 사망의심자, 복지취약계층, 장기 미인정 결석 및 학령기 미취학아동 등 중점 조사대상이 포함된 세대는 비대면 조사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직접 방문조사가 실시된다.
조사 결과 주민등록 사항과 실제 거주 상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직권으로 주민등록 사항이 수정될 수 있으며, 조사기간 내에 자진 신고할 경우 과태료의 최대 80%까지 감면받을 수 있다.
김인영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주민등록 사실조사는 도민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 작업인 만큼 도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뉴스등록일 : 2025-07-22 · 뉴스공유일 : 2025-07-23 · 배포회수 : 0
 FREE
|
공유받기
스크랩
신고하기
기사원문
|
|